본문 바로가기

읽다

윤동주 쉽게 씌어진 시 해석 정리. 또 다른 자아가 등장하는 작품

반응형

오늘의 시는 윤동주의, 쉽게 씌어진 시'입니다. 먼저 시 전문을 안내하고 핵심정리, 쉽게 씌어진 시 속의 두 자아와, 또 다른 자아가 등장하는 윤동주의 작품들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윤동주 쉽게 씌어진 시 해석 정리

쉽게 씌어진 시

 

 

창(窓)밖에 밤비가 속살거려

육첩방(六疊房)은 남의 나라,

 

 

시인(詩人)이란 슬픈 천명(天命)인 줄 알면서도

한 줄 시(詩)를 적어 볼까,

 

 

땀내와 사랑 내 포근히 품긴

보내 주신 학비 봉투를 받어

 

 

대학 노-트를 끼고

늙은 교수의 강의를 들으러 간다.

 

 

생각해 보면 어린 때 동무들

하나, 둘, 죄다 잃어버리고

 

 

나는 무얼 바라

나는 다만, 홀로 침전(沈澱)하는 것일까?

 

 

인생은 살기 어렵다는데

시가 이렇게 쉽게 씌어진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육첩방은 남의 나라

창밖에 밤비가 속살거리는데,

 

 

등불을 밝혀 어둠을 조금 내몰고,

시대(時代)처럼 올 아침을 기다리는 최후(最後)의 나.

 

 

나는 나에게 작은 손을 내밀어

눈물과 위안으로 잡는 최초의 악수.

 

 

 

 

 

 

쉽게 씌어진 시 시어 시구 풀이

시어 풀이

 

1) 속살거리다 : 자질구레한 말로 속닥거리다.

 

2) 육첩방 : 다다미(일본식 돗자리) 여섯 장을 깐 일본식의 작은 방.

 

3) 천명 : 타고난 수명, 하늘이 내린 피할 수 없는 운명. 여기에서는 하늘이 내린 피할 수 없는 운명의 의미.

 

4) 침전 : 액체 속에 섞인 작은 고체가 밑바닥에 가라앉음. 또는 그 앙금.

 

5) 밤비 : 현실의 어두움과 괴로움을 암시

 

6) 등불 : 현실 극복의 의지

 

7) 어둠 : 일제 강점기의 암울한 현실

 

8) 아침 : 희망찬 미래, 새로운 세계, 조국의 광복

 

 

 

 

시구 풀이 

1) 창 밖에 - 육첩방은 남의 나라

시적 화자가 처한 상황을 시·공간적 배경을 통해 나타내고 있는 구절이다. 여기서 '밤비'는 시적 화자의 자기 성찰이 이루어지는 시간적 배경으로, 현실의 어둠과 괴로움을 암시한다. '육첩방'은 익숙지 않은 일본식 생활공간으로, 시적 화자를 구속하고 억압하는 시대 상황을 가리킨다.

 

 

2) 시인이란 슬픈 - 적어볼까

시인은 현실에 직접 참여해서 싸우는 이가 아니라 언어를 다루는 사람이다. 즉 암담한 현실에 힘을 발휘하지 못하는 사람이 시인이라는 것을 인식하면서도 시를 쓸 수밖에 없는 괴로움을 '슬픈 천명'으로 표현하고 있다.

 

 

3) 나는 무얼 바라 - 홀로 침전하는 것일까?

일상적인 무의미한 삶에 대한 회의감을 통해 자기 성찰을 보여 주고 있다. 즉 현실적 자아와 내면적 자아의 갈등 속에서 이루어지는 끝없는 자기 성찰의 과정을 의문문의 형식으로 나타낸 것이다.

 

 

4) 등불을 밝혀 - 아침을 기다리는 최후의 나

끝까지 어두운 현실과 타협하지 않고 새로운 시대를 기다리며 부끄럽지 않은 삶을 살겠다는 시적 화자의 현실 극복 의지가 드러나 있다.

 

 

5) 나는 나에게 - 최초의 악수

이상과 현실의 괴리로 인한 내면적 자아와 현실적 자아의 갈등을 경험해야 했던 시적 화자가, 처음으로 '눈물과 위안'을 통해 화해에 도달하는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미래에 대한 희망이 나타나 있다.

 

 

 

윤동주의 쉽게 씌어진 시 핵심 정리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성격 : 저항적, 미래지향적

 

제재 : 현실 속의 자기 자신의 삶(시가 쉽게 씌어지는 것에 대한 부끄러움)

 

주제 : 어두운 시대 현실 속에서의 고뇌와 자기 성찰

 

출전 :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1948)

 

 

특징 

1) 서술에 의한 심상의 제시

2) 시각적 심상을 지닌 상징어의 대립

 

 

 

 

시 구성

1연 : 구속과 부자유의 현실

2연 : 슬픈 천명

3연 - 4연 : 현재 삶에 대한 회의

5연 - 6연 : 현재 삶에서의 상실감과 회의

7연 : 나와 삶에 대한 부끄러움

8연 : 내면의 각성과 현실의 재인식

9연 : 나의 희망적 의지

10연 : 현실을 긍정하고 새로운 각오를 다짐

 

 

 

 

◈ 이해와 감상

이 시는 윤동주가 일본에 유학 중이던 1942년 씌어진 현존하는 작가의 최후작으로, 작가의 일반적 주제인 자기 성찰을 담고 있습니다. 

 

 

시적 정서의 측면에서 이 시를 보면, 시적 상황을 제시한 1, 2연에 이어 3연에서 6연까지의 자학적 고뇌와 갈등이, 구성상 전환점에서 해당되는 7연을 경계로 부끄러움을 통한 자아 성찰로 집중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9, 10연에서는 고뇌와 갈등으로부터의 해방을 예감하고, '시대처럼 올 아침'과도 같은 새로운 시대를 기다리면서, 마침내 '눈물과 위안'을 통해 갈등하던 두 자아의 화해(최초의 악수)에 도달하게 됩니다.

 

 

 

1 - 2연은 '창밖에 밤비가 속살거려' 어둔 밤하늘의 별조차 볼 수 없으며, 이국땅에서 다다미 여섯 장의 넓이로 갇혀 있는 시적 화자의 처지를 단적으로 보여 주고 있습니다.

 

 

3 - 7연은 바로 이러한 상황 속에서 무의미한 유학 생활을 하고 있는 자신의 현재 삶을 우울하고 회의적인 시선으로 인식하고 있는 자기 성찰의 기록입니다.

 

 

8 - 10연은 이 음울한 상황에서 벗어나는 모습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어두운 시대를 살아야 하는 자신의 운명을 받아들이면서도 절망하거나 체념하기 않고 '시대처럼 올 아침'을 기다리며 자신을 손을 잡습니다. 이때 두 사람의 '나'는 현실 속에서 우울한 삶을 살아가는 현실적 자아와 그것을 반성적으로 응시하는 또 하나의 자아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연에서 '악수'를 통해 자아의 두 얼굴이 서로 만나는 자기 성찰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최후의 나'에서의 '나'는 현실적 자아, 즉 잘못된 현실과 타협하면서 우울하고 무력하게 무의미한 삶을 살아가는 '나'와 뚜렷하게 구별되는 '또 다른 나'로, 잘못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끊임없는 자기 성찰의 과정을 통과한 끝에 도달한 내면적 자아입니다.

 

 

 

쉽게 씌어진 시 속의 두 자아. 또 다른 자아가 등장하는 윤동주의 작품들

이 시는 두 자의 대립과 갈등, 화해의 과정이 시상 전개의 중심축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 시의 마지막 연에는 '나'가 두 번 나오는데요. 첫 번째 나는 최후로 지조를 지키며 지키는 내면적 자아로, 시적 화자가 바라는 삶의 모습이고, 두 번째 자아는 늙은 교수의 강의를 들으러 가는 모습으로 형상화되어 있는 이제까지의 부끄러운 현실적 자아이며 시적 화자가 부끄러워하는 삶의 모습입니다.

 

 

즉, 두 자아란 잘못된 현실을 어쩔 수 없는 것으로 체념하고 무기력하게 살아가는 현실적 자아와, 이 잘못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끊임없는 자기 성찰의 과정을 통과한 끝에 도달한 내면적 자아를 말합니다.

 

 

이 두 자아는 어두운 시대 현실을 살아가는 시적 화가가 마주칠 수밖에 없는 이상과 현실의 어긋남을 표현하기 위한 시적 장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자아가 등장하는 윤동주의 작품들 

작품명 또 다른 자아
자화상  우물 속의 사나이
또 다른 고향  백골, 아름다운 영혼
 담 저쪽에 남아 있는 나
참회록  거울 속의 얼굴

 

 

 

현실 인식을 통한 자기 인식의 비극성

이 시에서 우선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육첩방은 '남의 나라'로 요약되고 있는 현실의 인식 문제입니다. 이러한 상황적 인식이 선행되고 있기 때문에 시적 화자는 '시인이란 슬픈 천명'을 감수할 수밖에 없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시에서 시적 화자가 가장 아파하는 순간은 '시가 이렇게 쉽게 씌어지는 것은 부끄러운 일'임을 깨닫는 순간입니다.

 

 

 

시를 쓰는 일을 통해서만이 자신의 존재를 확인할 수밖에 없는 시인이 시를 쓰는 것 자체를 요구하는 삶의 총체적인 인식을 통했을 때에나 가능한 일일 것입니다. 그러므로 '등불을 밝혀 어둠을 조금 내몰고, 시대처럼 올 아침을 기다리는 최후의 나'에게서 우리가 느낄 수 있는 것은 시대의 고통을 자기 내면에 끌어들여 놓고 그것을 고뇌하는 시적 화자의 '자기 인식의 비극성'입니다.

 

 

 

이어서  주요 내용을 문답 형식으로 정리하겠습니다.

 

 

1) 화자가 위치하고 있는 현실적 공간을 상징적으로 보여 주는 시어는? 육첩방

 

2) 화자의 외로움을 자아내며 시의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기여하는 소재는? 밤비

 

3) 부정적 현실과 그에 대응하는 화자의 희망을 보여주는 시어는? 어둠, 등불

 

4) 화자의 내면적 갈등이 해소되었음을 보여 주는 시어는? 악수

 

 

 

마지막으로 함께 감상하면 좋을 이육사의 시 '광야'를 안내해 드리고 마치겠습니다

 

 

 

이육사 광야

 

까마득한 날에

하늘이 처음 열리고

어데 닭 우는 소리 들렸으랴.

 

 

모든 산맥들이

바다를 연모해 휘달릴 때도

차마 이곳을 범하던 못하였으리라.

 

 

끊임없는 광음을

부지런한 계절이 피어선 지고

큰 강물이 비로소 길을 열었다.

 

 

지금 눈 내리고

매화 향기 홀로 아득하니

내 여기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

 

 

다시 천고의 뒤에

백마 타고 오는 초인이 있어

이 광야에서 목놓아 부르게 하리라.

 

 

 

 

이상 윤동주의 시 쉽게 씌어진 시의 핵심정리, 쉽게 씌어진 시 속의 두 자아, 또 다른 자아가 등장하는 윤동주의 작품들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한용운 알 수 없어요 해석 정리. 제목에 담긴 의미

 

한용운 알 수 없어요 해석 정리. 제목에 담긴 의미

오늘의 시는 한용운의 시 '알 수 없어요'입니다. 먼저 시 전문을 안내하고 핵심 정리, 제목에 담긴 의미, 역설적 논리, 등불의 의미 그리고 의문형 형식이 지니는 기능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

nocturne13.tistory.com

 

 

 

[다시 읽는 국어책] 이육사 시 청포도. 손님의 상징적 의미. 푸른색 흰색 색채 대비

 

[다시 읽는 국어책] 이육사 시 청포도. 손님의 상징적 의미. 푸른색 흰색 색채 대비

오늘의 시는 이육사의 '청포도'입니다. (청포도, 손님의 상징적 의미, 푸른색과 흰색의 색채 대비) [다시 읽는 국어책]에서는 교과서에서 읽었던 작품들을 감상하며 추억해 보겠습니다. 학창 시

nocturne13.tistory.com

 

 

 

화자의 어조와 태도. 헷갈리는 어조 정리. 반성 성찰. 관조 달관 초월

 

화자의 어조와 태도. 헷갈리는 어조 정리. 반성 성찰. 관조 달관 초월

오늘은 화자의 어조와 태도 그리고 헷갈리는 어조를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우리가 말을 할 때 사람마다 목소리나 말투에 특성이 있듯이 시에도 시적 화자의 목소리(말투, 말씨)가 각각 다르게

nocturne1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