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국어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고전시가 주요 어휘를 해석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고전시가를 공부하다 보면 한자어나 낯선 어휘들이 많아 작품을 해석하기 어려운데요. 고전시가에 자주 등장하는 어휘들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고전시가 주요 어휘 해석 정리. 국어 문학 교과서 수록 어휘
◈ 고전시가 어휘 ㄱ - ㄴ
1) 간장(肝腸) : 간과 창자를 뜻하며,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구곡간장(九曲肝腸) : 굽이굽이 서린 창자라는 뜻이며, 깊은 마음속 또는 시름이 쌓인 마음속을 의미합니다.
예) 구곡간장(九曲肝腸) 깊은 설울 그 말 끝에 실실 풀려(작자 미상, 덴동어미화전가)
2) 건듯 : 문득, 갑자기
예) 동풍(東風)이 건듯 부러 젹셜(積雪)을 헤텨 내니(정철, 사미인곡)
3) 고텨 : 다시
예) 평생에 고텨 못할 일이 이뿐인가 하노라(정철, 훈민가)
4) 곳 : 앞말을 강조하는 역할
예) 부모곳 아니면 이 몸이 이실소냐(김상용, 오륜가)
밤비에 새나곳 나거든 날인가도 너기쇼서(홍랑)
5) 곳 : 꽃
예) 하물려 못다 핀 곳이야 닐러 므슴 하리오(유응부)
6) 괴다 : 사랑하다
예) 내 얼골 내 보거니 어느 임이 날 괼소냐(허난설헌, 규원가)
7) 금수(錦繡) : 수 놓은 비단
예) 청상이 엷게 치니 절벽이 금수(錦繡)로다(이이, 구산구곡가)
8) 녀다(녜다, 예다) : 가다
9) 녀다 : 살아가다
10) 녹사의(綠蓑衣) : 도롱이(옛날식 비옷)
예) 청악립은 써 잇노라 녹사의(綠蓑衣) 가져오냐(윤선도, 어부사시사)
삿갓세 되롱이 닙고 세우중(細雨中)에 호뫼 메로(김광필)
11) 늣기다 : 흐느끼다
12) 니르다 : 이르다, 말하다
예) 하물며 못다 핀 곳이야 닐러 므슴 하리오(유응부)
◈ 고전시가 어휘 ㄷ - ㅅ
1) 다정(多情) : 생각이 많다
예) 다정(多情) 병인 냥하여 잠 못드러 하노라(이조년)
2) 단심(丹心) : 굳은 마음, 일편단심
예) 우리도 단심(丹心)을 직희여 명월(明月) 볼 날 기다리노라(최헌, 명월음)
3) 머흘다 : 험하다, 먹구름이 끼다
예) 세사(世事)는 구름이라 머흐도 머흘시고(정철, 성산별곡)
백설이 자자진 골에 구르미 머흐레라(이색)
4) 무심(無心) : 욕심이 없다
5) 박주산채(薄酒山菜) : 변변치 못한 술고 안주(산나물), 손님에게 내는 술과 안주를 겸손하게 이르는 말
6) 백구(白鷗) : 흰 갈매기(선비들이 자연에 동화되는 모습을 표현할 때 사용)
7) 사창(紗窓) : 여인이 머무르는 방(=옥창, 규방)
8) 삼기다 : 만들다, 생기다
9) 셩그다 : 듬성하다
예) 어리고 셩근 매화(梅花) 너를 밋지 안얏더니(안민영, 매화사)
10) 수간모옥(數間茅屋) : 작은 초가집(초려삼간, 띠집, 묘쳠)
11) 수이 : 쉽게
예) 청산리(淸算裏) 벽계수(碧溪水)야 수이 감을 자랑 마라(황진이)
12) 승지(勝地) : 경치 좋은 곳
13) 싀여디다 : 죽다
14) 시비(柴扉) : 사립문(나뭇가지를 엮어 만든 문)
15) 실솔(蟋蟀) : 귀뚜라미(쓸쓸한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소재로 사용)
◈ 고전시가 어휘 ㅇ- ㅈ
1) 약수(弱水) : 신선이 살았다는 중국의 전설 속의 강. 길이가 3,000리나 되고 부력이 매우 약하여 기러기의 털도 가라앉는다고 함(화자의 대상 사이를 가로막는 소재로 사용)
2) 양류(楊柳) : 버드나무
3) 어리다 : 어리석다
4) 여엿브다 : 가엽다, 불쌍하다
5) 여희다 : 잃다
6) 역군은(亦君恩) : 역시 임금의 은혜
7) 외다 : 그르다, 틀리다
8) 옥창(玉窓) : 여인이 머무는 방
9) 인간(人間) : 인간 세상
10) 임천(林泉) : 은일지사가 세상을 등지고 자연을 즐기며 은거하는 장소로서의 자연
11) 입신양명(立身揚名) : 세상에 나가 이름을 떨침(사회적 자아 실현을 의미)
12) 자규(子規) : 접동, 두견, 소쩍새(외로움과 한의 정서를 환기하는 자연물)
13) 져근뎟 : 잠깐
14) 좋다 : 좋다, 깨끗하다
◈ 고전시가 어휘 ㅊ - ㅎ
1) 청약립(靑蒻笠) : 비가 올 때 쓰던 삿갓(푸른 갈대로 만듦)
2) 초야우생(草野優生) : 시골에 묻혀 사는 어리석은 사람(재야의 선비가 자신을 낮춰 말하기 위해 쓰는 표현)
3) 태평연월(太平煙月) : 편안하고 즐거운 시절
4) 하다 : 많다
5) 햐암, 향암(鄕闇) : 시골에서 지내 세상물정에 어두운 사람
6) 혀다 : 켜다
7) 혬 : 생각(혜다 - 생각하다, 헤아리다)
8) 호시절(好時節) : 좋은 시절
9) 홍안(紅顔) : 젊은 시절의 생기 있고 아름다운 얼굴
10) 홍진(紅塵) : 인간세상의 더러움(붉은 먼지라는 뜻)
이외 고전시가 어휘
1) 빈천(貧賤) : 가난하고 천한
예) 빈천도 내 분수니 서러워해 무엇하리(정훈, 탄궁가)
2) 삼경(三更) : 하룻밤을 오경(五更)으로 나눈 셋째 부분, 밤 열한 시에서 새벽 한 시 사이임.
예) 이화에 월백하고 은한이 삼경(三更)인 제(이조년의 시조)
*오후 7시부터 오전 5시까지를 밤으로 보는 시간 표현입니다.
일경(一更) : 오후 7시 - 오후 9시
이경(二更) : 오후 9시 - 오후 11시
삼경(三更) : 오후 11시 - 오전 1시<십이지신을 이용한 시간 표현에 따르면 삼경은 '자시(子時)'>에 해당합니다.
3) 망혜 (芒鞋) : 삼이나 노 따위로 짚신처럼 삼은 신. 흔히 날을 여섯 개로 함.
예) 복건 망혜로 실컷 다니다가(권섭, 독자왕유희유오영)
'망혜(芒鞋)'는 마혜(麻鞋) 를 잘못 이르는 말로, 순우리말로는 '미투리'라고 합니다. '성호사설유선'에는 망혜는 가난한 사람이 신이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죽장망혜(竹杖芒鞋)'는 대지팡이와 짚신이라는 뜻으로, 먼 길을 떠날 때의 아주 간편한 차림새를 이르는 말입니다.
4) 만고(萬古) : 아주 오랜 세월 동안
예) 성현(聖賢)의 가신 길이 만고(萬古)에 한가지라(권호문, 한거십팔곡)
5) 나위(羅幃) : 얇은 비단으로 만든 장막
예) 꽃 지고 세 잎 나니 녹음이 깔렸는데 나위 적막하고 수막이 비어 있다.
6) 성현(聖賢) : 지혜롭고 현명하며 인격이 훌륭하여 많은 사람들이 볻받들이 만한 사람.
예) 성현도 많거니와 호걸도 많고 많다.
* 중국 공자의 사상을 중심으로 하고 사서오경을 경전으로 하는 학문을, '유학(儒學)'이라고 합니다. 보통 옛 사에서 성현(聖賢)이라 하면, '공자(孔子)'나 '맹자(孟子)'와 같은 사람들을 일컫습니다. 또한 옛 사람을 의미하는 '고인(古人)'이라는 말도 있습니다.
이상 국어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고전시가 주요 어휘 해석 정리를 마치겠습니다.
[어휘.사자성어] 고전 시가/ 자연 친화와 관련된 어휘 사자성어/강호가도/역군은이샷다 의미
[어휘] 고전 시가/선조들의 삶/시간과 관련된 한자 어휘/십이간지 십이지신 시간 정리
'읽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어 개념] 언어의 특성. 언어의 기능 정리 분석 (30) | 2023.12.07 |
---|---|
윤동주 쉽게 씌어진 시 해석 정리. 또 다른 자아가 등장하는 작품 (4) | 2023.12.05 |
[고전소설 이해] 허균 홍길동전 정리 분석 줄거리. 내적 외적 갈등 양상.일대기적 구성 (26) | 2023.12.02 |
[현대소설 이해] 김승옥 무진 기행 정리 분석 줄거리. 여로형 구조 (19) | 2023.11.27 |
196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이후 소설 경향 특징 작가 작품 정리 (15) | 2023.11.25 |
1920년대 - 1945년. 광복 이후 - 1950년대 소설 경향 특징 작가 작품 정리 (32) | 2023.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