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읽다

[비문학 용어] 중농학파 중상학파 실학 뜻 정리. 이수광 지봉유설

반응형

오늘은 비문학 지문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 중농학파 중상학파, 실학의 뜻(의미)과 특징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중농학파와 중상학파 개념을 정리한 후 지문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이어서 지문의 핵심 내용은 문답 형식으로 정리하겠습니다.

 

 

 

중농학파 중상학파

중농학파와 중상학파는 조선 후기 실학의 분파들입니다.

중농학파는 농업을 중시한 학파로 유형원, 이익, 정약용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들은 주로 남인 출신으로 붕당 정치에서 밀려나 지방에 살며 농민들의 실상을 접하게 되면서 개혁수단으로 농업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농민들의 균등한 토지 분배를 주장하며 이를 통해 나라의 부강을 주장하였습니다.

 

 

 

이익은 토지 소유의 최저치를 정하자는 주장을 하였으며, 정약용은 마을 단위로 토지를 공동으로 소유하고 경작하는 공동 노동을 주장했습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토지 개혁과 농민 생활의 안정을 중시하였습니다.

 

 

 

중상학파는 상공업의 발달에 관심을 가진 학파로 대표적인 인물로는 박지원, 홍대용, 박제가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정권을 가진 노론 계열로 한양 부근에 거주하며 상공업 발달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청나라의 발달된 문물을 배우자고 주장하여 북학파라 불리기도 했습니다.

 

 

 

 

이어서 '실학'이라는 지문을 통해 위에서 설명한 '중농학파'와 '중상학파'를 문답 형식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실학>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백성들의 고통이 더 커지는 여러 *폐해가 나타났지만 조정에서는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 성리학만이 옳다고 여겼던 관리들은 현실의 다양한 문제에 관심을 가지지 않았고 오히려 실용적인 기술을 천하다고 무시했다. 하지만 젊은 유학자들의 생각을 달랐다. 성리학이 이론과 형식에 너무 치우쳐 있다고 비판하여 중국을 통해 들어온 서양 학문과 과학 기술에 큰 관심을 보였다. 이처럼 젊은 유학자들이 현실을 중요하게 여기면서 등장한 개혁적인 유학이 바로 실학(實學)이다.

 

 

 

17세기 초, 이수광은 중국에 *사신으로 갔다가 조선보다 앞선 서양 문물을 접했다. 이수광은 그 후로도 몇 차례 더 중국을 다녀왔다. 당시에 습득한 지식과 *견문을 영역별로 나누어 정리했는데, 그 책이 자신의 호를 딴 「지봉유설」이다. 「지봉유설」은 총 20권으로 되어 있는 조선 최초의 백과사전이다. 이수광은 실학이 성장할 수 있는 토양을 만든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수광의 업적을 토대로 후배 학자들이 본격적으로 발전시틴 것이 바로 실학이기 때문이다.

 

 

 

이후 실학은 농업 중심의 사회 개혁을 주장한 중농학파와 상공업을 중심으로 한 개혁을 주장한 중상학파의 두 가지 흐름으로 발전했다. 18세기 후반에는 중농학파인 정약용이 상공업에 관심을 보였고 중상학파인 박지원이 토지 개혁을 주장하는 정책에 거의 반영되지 못했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실학자들이 당시 권력과 거리가 먼 *붕당이나 가문 출신이 많았기 때문이다.

 

 

 

실학자들의 개혁 방안이 제대로 수용되지는 못했지만 실학의 영향으로 우리 민족 문화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현실에 도움이 되는 학문을 연구하다 보니 우리 민족의 역사를 살펴보게 되었고 우리 영토에 대해 관심을 가졌으며 우리말을 연구하기 시작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실학의 정신은 19세기 후반 개화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쳐 우리나라의 근대화에 기여하였다.

 

 

 

 

 

용어 정리

1) 폐해 : 폐단으로 생기는 해.

 

2) 사신 : 임금이나 국가의 명령을 받고 외국에 사절로 가는 신하.

 

3) 붕당(朋黨) : 뜻이나 이익을 같이하는 사람들끼리의 결합체. 예전에 중국이나 조선에서 정치적 이념과 주장 또는 이해관계에 따라 결합한 사람의 집단을 이르던 말.

 

 

 

 

내용 이해

주제 - 실학의 등장과 발전 및 한계와 가치

 

 

 

이 글은 조선 후기 실학이 등장한 배경과 실학의 발전 방향 및 가치에 대해 설명하는 글입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백성들의 삶은 피폐해져 갔지만, 관리들은 백성의 실적적인 삶보다는 성리학의 이념에만 관심이 치우쳐 있었다. 이제 조선의 젊은 유학자들이 현실의 이념에만 관심이 치우쳐 있었다.

 

 

 

이에 조선의 젊은 유학자들이 현실의 삶의 문제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면서 실학이 등장하였다. 이수광의 「지봉유설」을 시작으로 실학은 정약용을 중심으로 한 중농학파와 박지원을 대표로 하는 중상학파로 발전하였다. 비록 현실 정치에 실학자들의 개혁안이 제대로 반영되지는 못했지만 실학은 우리 민족 문화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켰으며 이후 개화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쳐 우리나라의 근대화에도 기여하였다.

 

 

 

 

핵심 정리

1문단 : 실학의 등장 배경

 

2 문단 : 실학의 토대를 마련한 이수광

 

3 문단 : 실학의 발전과 한계

 

4 문단 : 실학의 영향과 의의

 

 

 

 

1. 윗글을 통해 답변할 수 있는 질문이 아닌 것은?

① 조선 후기 젊은 유학자들은 왜 성리학을 비판했는가?

② 조선 후기에 백설들이 겪었던 고통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③ 이수광의 「지봉유설」이 갖는 의의는 무엇인가?

④ 중농학파와 중상학파의 차이는 무엇인가?

⑤ 실학자들의 개혁안이 정부 정책에 반영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

 

 

☞답) 2

조선 후기에 백성들의 고통이 커졌다는 내용은 1 문단에 있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고통을 겪었는지에 대한 언급은 없다.

 

 

 

 

2. <보기>의 (가)는 정약용의 작품이고, (나)는 박지원의 작품 중 일부이다.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를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가) 제비 한 마리 처음 날아와 / 지지배배 그 소리 그치지 않네.

말하는 뜻 분명히 알 수 없지만 / 집 없는 서러움을 호소하 듯

"느릅나무 홰나무 묵어 구멍 많은데 / 어찌하여 그 곳에 깃들지 않니?"

제비 다시 지저귀며/ 사람에게 말하는 듯

"느릅나무 구멍은 황새가 쪼고 / 홰나무 구멍은 뱀이 와서 뒤진다오."

 

 

- 고사 8

 

 

 

(나) 허생은 조선의 현실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조선이란 나라는 배가 외국에 통하질 않고, 수레가 나라 안에 다니질 못해서, 온갖 물화가 제자리에 나서 제자리에 사라지지요."

그리고 허생은 당시의 현실을 타개할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주장을 하기도 했다.

"국중의 자제들을 가려 뽑아 머리를 깎고 되놈의 옷을 입혀서, 그중 선비는 가서 빈공과에 응시하고, 또 서민은 멀리 강남에 가서 건너가서 장사를 하면서, 저 나라의 실정을 정탐하는 한편, 저 땅의 호걸들과 결탁하다면 한번 천하를 뒤집고 국차를 씻을 수 있을 것이다."

 

 

- 허생전

 

 

 

① (가)의 '제비'는 조선 후기 고통 받는 백성을 가리킨다고 볼 수 있겠군.

② (가)의 '황새'와 '뱀'은 어려운 처지에 빠진 백성들을 수탈하던 관리들이겠군.

③ 정약용은 (가)의 '집 없는 서러움'을 호소하는 '제비'의 호소에 문제의식을 갖고 있겠군.

④ 박지원은 (나)에 나타난 것처럼 상업이 발달하지 못한 조선의 현실을 비판적으로 보았겠군.

⑤ (나)에 제시된 '되놈의 옷을 입'고, '저 땅의 호걸들과 결탁'하는 것은 성리학자들의 주장이겠군.

 

 

 

☞답) 5번

 

박지원은 중상학파이자 북학파의 한 사람으로서 「허생전」의 '허생'을 통해 자신의 주장을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나)에 제시된 '되놈의 옷을 입'고 '저 땅의 호걸들과 결탁'하여 뜻을 이루자는 허생의 제안은 성리학자의 주장이 아니라 청나라를 배움으로써 실질적으로 조선의 발전을 이루자는 실학자 박지원의 주장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마지막으로 이수광의 「지봉유설」의 의의와 빈칸을 채워 가며 실학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겠습니다.

 

 

 

이수광이 쓴 「지봉유설」의 의의를 정리해 보면,

「지봉유설」은 이수광이 사신으로 중국을 다녀오면서 습득한 지식과 견문을 영역별로 정리한 조선 최초의 백과 사전입니다.

 

 

 

 

다음 빈칸을 채워 가며, 실학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보면,

 

 

실학의 등장 : 이론과 형식에만 치우친 성리학에 반대하며 현실을 중시한 (개혁)적인 유학의 등장

 

실학의 토대 : (이수광)의 「지봉유설」

 

실학의 발전 : 농업을 중시하는 (중농학파)와 상공업을 중시하는 (중상학파)의 두 가지 흐름으로 발전

 

실학의 의의 : (민족문화)에 대한 관심의 고조 - 우리 역사, 우리 영토, 우리말을 연구하기 시작. 우리나라의 근대화에 기여

 

 

 

이상 중농학파 중상학파, 실학의 뜻(의미)과 특징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비문학 용어] 르네상스 계몽주의 뜻 . 고대 중세 근대 특징

 

[비문학 용어] 르네상스 계몽주의 뜻 . 고대 중세 근대 특징

오늘은 비문학 지문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 르네상스와 계몽주의와, 고대 중세 근대 뜻(의미)과 특징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르네상스와 계몽주의 개념을 정리한 후 지문을 분석해 보겠습

nocturne13.tistory.com

 

 

 

[비문학] 독해의 원리와 방법 4 논증 방법을 파악하며 읽기 연역법 귀납법

 

[비문학] 독해의 원리와 방법 4 논증 방법을 파악하며 읽기 연역법 귀납법

독해의 원리와 방법에는 예측하며 읽기, 요약하며 읽기, 설명 방법을 파악하며 읽기, 논증 방법을 파악하며 읽기, 표현 방법과 의도를 평가하며 읽기가 있습니다. 오늘은 논증 방법을 파악하며

nocturne1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