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읽다

문장 부호 바르게 쓰는 방법. 것 줄이는 방법

반응형

오늘은 문장 부호를 바르게 쓰는 방법과 '것'을 줄이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문장 부호는 각 어절의 논리 관계를 분명히 하고 의미를 확실히 전달하고자 붙이는 기호입니다. 그 종류와 올바른 사용 방법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문장 부호 바르게 쓰는 방법

문장 부호는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지는데요. 예를 들어 '학교에 안 갈래'는 문장에 온점을(.)을 붙이느냐, 느낌표(!)나 물음표(?)를 붙이느냐에 따라 의미가 완전히 달라집니다.

 

 

즉 글은 말이 지닌 현장감이 없는데 문장 부호를 통해 그 현장감을 보완하고자 만든 것입니다. 그러므로 문장 부호를 제대로 붙여야 읽는 속도를 맞추며, 전달하고자 하는 뜻을 바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1. 마침표에는 온점(.) 물음표(?) 느낌표(!)가 있습니다.

주로 문장을 마칠 때 붙이는 부호들이지만, 때에 따라서 특별하게 사용됩니다.

 

 

1) 표제어나 표어에는 온점을 붙이지 않습니다.

예> 한강은 흐른다(표제어)

바른 예절 싹트는 믿음(표어)

 

 

 

2) 아라비아 숫자만으로 연월일을 표시할 때는 온점을 붙입니다.

예> 2023. 10.30.

 

 

 

3) 특정한 어구 또는 그 내용에 대해 빈정거림, 비웃음 등을 표시하거나 적절한 말을 쓰기 어려울 때는 소괄호 안에 물음표를 넣습니다.

 

예> 그것 참 이상한(?) 일이군.

우리 집 강아지가 가출(?)했어요.

 

 

 

4) 한 문장 안에서 선택적인 질문이 몇 개 겹쳤을 때에는 맨 끝에만 물음표를 붙입니다. 그러나 각각 독립하여 물을 때는 묻는 곳마다 물음표를 붙여줍니다.

 

예> 너는 중학생이이, 고등학생이니?

언제 왔니? 어디서 왔니? 무엇하러 왔니?

 

 

 

5) 의문형 어미로 끝나더라도 놀림이나 항의를 표현할 때는 물음표 대신 느낌표를 붙입니다.

 

예>이게 누구냐!

내가 왜 나빠!

 

 

 

6)의문형(감탄형) 어미로 끝나더라도 묻는 정도가 약할 때는 물음표(느낌표) 대신 온점을 붙일 수 있습니다.

 

예> 이 일을 도대체 어떻게 해결하라는 말이니. (물음표 대신)

가을이 오긴 왔구나. (느낌표 대신)

 

 

 

2. 쉼표에는 반점(,), 가운뎃점(·), 쌍점(:), 빗금(/)이 있습니다. 

주로 문장 안에서 쓰이는 부호이나, 때에 따라서 특별하게 사용됩니다.

 

 

1) 같은 자격으로 열거할 때 반점을 붙이나, 조사로 연결할 때는 붙이지 않습니다.

 

예> 근면, 검소, 협동이야말로 우리가 지켜야 할 덕목입니다.

근면과 검소와 협동이야말로 우리가 지켜야 할 덕목입니다.

 

 

 

2) 짝을 지어 구별해야 할 때는 반점을 붙입니다.

 

예> 닭과 지네, 개와 고양이는 상국입니다.

 

 

 

3) 바로 다음 말을 꾸미지 않을 때는 반점을 붙입니다.

 

예> 성질이 급한, 철수 누이동생이 화를 냈습니다.

 

 

 

4) 도치된 문장에 반점을 붙입니다.

 

예> 이리 오세요, 선생님.

 

 

 

5) 문장 첫머리에 붙는 접속어나 연결어 다음에는 반점을 붙입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쓰이는 접속어(그러나, 그러므로, 그런데...) 뒤에는 붙이지 않습니다.

 

예> 첫째, 몸이 튼튼해야 합니다.

아무튼, 나는 학교로 돌아가겠습니다.

그러나 너는 지각하지 말아라.

 

 

 

6) 수의 폭이나 개략의 수를 나타낼 때 반점을 붙입니다.

 

예> 5, 6세기

6, 7세

 

 

 

7) 가운뎃점은 되도록 쓰지 않되 열거한 여러 단위가 대등하거나 밀접한 관계일 때 붙입니다.

 

예> 경상도· 전라도 · 충청도

지우 · 민수 · 윤주· 지윤 · 지수는 서로 친구가 되었다.

 

 

 

8) 전체적으로 공통된 격을 만들 때에 가운뎃점을 붙입니다.

 

예> 언론 · 출판의 자유

보통 · 직접 · 비밀 선거

 

 

 

9) 특정한 날을 나타낼 때도 가운뎃점을 붙입니다.

 

예> 3 · 1 운동

8 · 15 광복

6 · 25 전쟁

 

 

 

10) 결합한 형태로 오랫동안 쓰여 굳어진 말은 가운뎃점을 붙이지 않습니다.

 

예> 동식물, 농어촌, 농수산물, 위아래, 예체능

입출항, 입퇴원, 휴폐업, 석박사

 

 

 

11) 내포되는 종류를 들 때는 쌍점(:)을 붙입니다.

 

문방사우 : 붓, 벼루, 먹, 종이

 

 

 

12) 대응하거나, 대립하거나, 대등한 것을 함께 보여 줄 때 빗금을 붙입니다.

 

예> 백이십오 원/125원

착한 사람/악한 사람

맞딱뜨리다/맞닥트리다

 

 

 

3. 말줄임표(······)와 줄표( - )

 

1) 말줄임표는 할 말을 줄였을 때나 말없음을 나타낼 때 붙입니다. 다만, 말 처음과 중간에는 점을 3개 붙이고, 말 끝에는 점 6개를 붙입니다. 말 전체를 줄일 때는 9개를 붙입니다.

 

월···월요일이다!

한심하다, 한심해·····,

그럴 수 있니? 말해 봐! "······"

 

 

 

2) 줄표는 문장 중간에서 이미 말한 내용을 다른 말로 부연하거나, 정정하거나, 변명할 때 붙입니다. 그러나 '곧'이나 '즉'으로 바꾸어 쓸 수 있으므로 되도록 붙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예> 그 아이는 네 살에 - 보통 아이 같으면 천자문도 모를 나이에 - 벌써 시를 지었습니다.

 

 

 

것 줄이는 방법

우리말에서 '것'은 아주 다양하게 사용됩니다.

 

 

1) 문장 속에서 어떤 사물을 가리킬 때 '것'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이 떡은 맛있는 빵이다'라는 문장에서 '빵'을 하나 빼고 '것'으로 대신할 수 있습니다.

 

 

2) '황금을 돌같이 보라는 것이다'처럼 남의 말을 인용할 때나 '그 사람도 많이 공부했다는 것이다'같이 남이 한 말을 듣고 다른 사람에게 전달할 때도 '것'을 사용합니다.

 

 

3) '-ㄹ 것'이라는 형태로 어떤 사실을 '추측'할 때 사용되며

 

예> 지우는 집에 갔을 것이다.

 

 

'-(느)ㄴ 것' 형태로 '회상' 할 때도 사용합니다.

 

예> 많이 먹었던 것이다.

 

 

4) '강구해야 할 것이다, 검토해야 할 것이다,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처럼 '-ㄹ 것이다'라는 형태로 쓰여 '당위'를 좀 더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

 

 

5) 영어식 강조법 (It is ~ that `)에 따라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것'을 사용합니다.

 

예> '그 사람이 확실히 온다'에서 '확실히'를 강조하려고 명사절을 만들어 '그 사람이 오는 것이 확실하다(It is certain that he will come)'와 같이 글틀을 바꿉니다.

 

 

 

이처럼 사람들이 본인 주장을 '빨리, 뚜렷하게, 강하게' 상대방에게 전달하고자 할 때 '것'을 넣어 문장을 사용합니다. 그러나 강조해야 할 때 강조하지 않고 처음부터 끝까지 모두 강조하면 글쓴이가 궁극적으로 어떤 것을 강조하려고 하는지 읽는 이가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글을 쓰고 나서 본인 글 속에 '것'이 있는 곳을 표시한 다음, '것'이 꼭 있어야 하는지를 따져봅니다. 그리고 '것'을 빼보거나 다른 단어로 바꾸거나, 문장 구조를 바꿔줍니다. 

 

 

 

이상  문장 부호를 바르게 쓰는 방법,  '것'을 줄이는 방법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국어 개념] 보조사 의미 종류 특징 보조사 쓰임 정리

 

[국어 개념] 보조사 의미 종류 특징 보조사 쓰임 정리

오늘은 보조사의 의미와 종류, 특징 그리고 보조사의 쓰임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보조사의 성격과 그 쓰임을 알아보고 각 예문을 들어가며 그 의미를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보조사의 종류 특

nocturne13.tistory.com

 

 

예 와 의 의 발음. 민주주의의 의의 계몽주의의 의의 발음. ㅎ 받침의 발음

 

예 와 의 의 발음. 민주주의의 의의 계몽주의의 의의 발음. ㅎ 받침의 발음

오늘은 예와 의의 발음과 민주주의의 의의, 계몽주의의 의의 발음과 자주 틀리는 받침의 발음, 받침의 대표음, 홑받침과 겹받침의 발음, 그리고 연음 규칙과 받침 'ㅎ'의 발음을 설명해 드리겠습

nocturne13.tistory.com

 

 

사이시옷 붙이는 경우 안 붙이는 경우. 이와 히 구별 정리. 으를 넣는 경우

 

사이시옷 붙이는 경우 안 붙이는 경우. 이와 히 구별 정리. 으를 넣는 경우

오늘은 사이시옷을 붙이는 경우와 안 붙이는 경우, '이'와 '히'를 구별하는 방법 그리고 '-으-'를 넣는 경우와 안 넣는 경우를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사이시옷 붙이는 경우 안 붙이는 경우 두 말이

nocturne1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