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읽다

[비문학] 독해의 원리와 방법 6 관점이나 형식의 차이를 파악하며 읽기

반응형

독해의 원리와 방법에는 요약하며 읽기, 예측하며 읽기, 논증 방법을 파악하며 읽기, 표현 방법과 의도를 파악하며 읽기, 설명 방법을 파악하며 읽기, 관점이나 형식의 차이를 파악하며 읽기가 있습니다. 오늘은 관점이나 형식의 차이를 파악하며 읽기를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독해의 원리와 방법 관점이나 형식의 차이를 파악하며 읽기

1. 글에 나타나는 관점이나 형식의 차이

동일한 화제를 다루더라도 글마다 서로 다른 관점에서 쓰일 수 있으며 글의 화제나 목적이 같더라도 글의 형식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글의 관점 파악하기

1) 관점의 개념 : 사물이나 현상을 관찰할 때 그것을 바라보는 사람의 태도나 방향 등을 의미합니다.

 

2) 관점의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 : 사람마다 인식 수준, 경험, 가치관 등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3) 관점을 파악하며 읽기

▶글쓴이가 글을 쓴 목적을 판단하며 읽습니다.

 

▶글쓴이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를 파악하며 읽습니다.

 

▶글쓴이의 관점이 글의 내용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파악하며 읽습니다.

 

▶글의 어조나 표현 등에서 대상을 바라보는 글쓴이의 시각을 파악하며 읽습니다.

 

 

 

4) 관점을 파악하며 읽을 때의 효과

▶글쓴이가 전달하려는 내용을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한 편의 글에서 글쓴이의 관점은 일관성 있게 유지되므로, 글의 앞부분에서 관점을 파악하면 뒷부분의 내용을 예측하며 읽을 수 있습니다.

 

 

 

3. 관점이나 형식의 차이를 파악하며 읽기

1) 필요성

한 가지 관점이나 형식으로 쓰인 글만 읽으면 사고의 폭이 좁아질 수 있고, 글의 내용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거나 자신의 지식에만 의존하여 비판하게 됩니다.

 

 

 

2) 방법

▶동일한 대상이나 비슷한 화제를 다룬 여러 글들을 찾아 읽습니다.

 

▶내용이나 형식에서 각각의 글들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봅니다.

 

▶글쓴이의 관점이나 주장, 또는 글의 내용이나 근거가 각각 어떻게 다른지 파악해 봅니다.

 

▶두 글의 공통점이나 차이점을 비교하며 글쓴이의 의도와 그 글이 나오게 된 사회·문화적 맥락을 파악해 봅니다.

 

 

 

3) 효과

▶대상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얻고 의견들을 비교해 봄으로써 대상 자체에 대해 폭넓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글이 쓰인 사회·문화적인 상황, 글에 담긴 의도나 목적을 좀 더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대상에 대한 선입관이나 성급한 판단을 수정하고 균형 있는 시각을 가질 수 있습니다.

 

▶여러 글을 비교하며 읽는 과정에서 대상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뚜렷하게 가질 수 있고, 자신의 관점에서 대상을 평가할 수 있게 됩니다.

 

 

 

4. 자신의 관점을 세워 능동적으로 글 읽기

▶관점이나 입장, 형식 등을 고려하여 서로 관련성 있는 글을 폭넓게 읽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관점을 정리합니다.

 

▶글이나 화제에 대해 다른 사람과 이야기를 나누며 생각을 비교해 봅니다.

 

 

 

 

5. 관점이나 형식의 차이를 파악하며 읽기의 예

사회의 도움으로 모은 재산을 다시 사회에 돌려주려는 마음, 자신이 모은 재산으로 사회의 어려움과 함께 나누려는 마음의 표현이 바로 기부이다. 함께 잘 살기 위해 돈을 쓰는 일이야말로 돈의 주인이 되어 인간의 본성을 실현하는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부 행위를 통해 자녀에게 돈보다 훨씬 귀중한 진짜 삶의 가치를 물려줄 수 있다. 재산을 자녀들에게 물려주시 않고 사회에 환원할 때, 오히여 자녀들에게 더 좋고 아름다운 세상이 열릴 수 있다는 것을 하루빨리 깨달아야 할 것이다.

 

 

 

우리 사회에는 재산 상속을 비판하며 재산의 사회 기부를 역설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물론 우리 사회의 역설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물론 우리 사회의 부유층이 자발적으로 기부한다면, 그것은 분명히 우리 사회의 발전에 이바지하는 좋은 일이다. 그러나 은연중에 기부는 옳고 상속은 나쁘다는 식으로 상속 대신 기부를 강요하는 듯한 분위기를 만드는 것은 옳지 않다. 왜냐하며 이는 자본주의 경제의 기본 원리, 즉 사유 재산을 소유하고, 그것을 소유자 뜻대로 사용할 수 있는 권리는 침해하고 간섭하는 부당한 행위이기 때문이다.

 

 

 

1) ㉮, ㉯의 공통 화제 파악하기

㉮, ㉯의 두 글에서 다루고 있는 공통 화제는 '재산을 (기부)하는 문화'이다.

 

 

2) ㉮, ㉯의 관점의 차이 파악하기

→ ㉯에서는 (재산 상속)이 자본주의 사회에서 정당한 권리임을 말하며 일방적으로 기부를 강요하는 문화에대한 부정적 관점을 드러낸다.

 

 

 

 

지금까지의 설명을 활용하여 아래 문제들을 풀이해 보겠습니다.

 

 

 

문제 1) 관점이 서로 다른 두 글을 읽는 적절한 방법을 정리해 보세요.

▶두 글의 중심 내용을 정확히 파악한다.

 

▶대상에 대한 글쓴이의 시간을 파악한다.

 

▶두 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해 본다.

 

▶두 글의 관점을 평가하고 자신의 관점을 정리한다.

 

 

 

문제 2) <보기>는 삶의 방식과 속도에 관한 두 개의 글입니다. ㉮와 ㉯를 비교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요? (5번)

 

 

 

<보기>

㉮'빨리 빨리'라는 특성이 안고 있는 부작용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제는 이 특성을 약화시키기보다는 오히려 잘 활용하여 발전의 에너지로 전환하는 일이 중요할 것 같다. '빨리빨리'의 성격은 에너지를 함축하고 있다. 한국인의 '뛰고, 튀고, 저돌적'인 이유가 바로 이 에너지 때문이다. <중략> 정직과 질서 그리고 친절이 가미된 '빨리빨리'가 진짜 '빨리빨리'이고, 이렇게 튀는 한국에 미래와 희망이 있다는 이야기가 아닐까?

 

 

- 문용린, 빨리빨리에 희망이 있다

 

 

㉯'느림'은 빠름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속도에 빠져든 사회를 치유하기 위해 꼭 필요한 요소이다. '느림'은 우리를 기본과 원칙에 충실하게 한다. 무엇보다도 '느림'은 우리를 보다 인간답게 만들어 준다. '느림'은 남을 제치고 자기만 아는 경쟁적인 삶에서 벗어나 남들과 더불어 사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중략>우리는 24시 놀기고 해야 하는 사람이다. 기계가 아니라 사람으로서 존엄을 지키려면 속도 전쟁에서 벗어나 '느림'의 가치를 재발견해야 한다.

 

 

- 김종덕, 느림의 가치를 재발견하자

 

 

 

㉮와 ㉯는 우리 사회가 '빨리빨리'문화에 익숙함을 전제하고 있다.

 

㉮와 달리 ㉯는 속도에 빠진 우리 사회를 치유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는 '빨리빨리'의 특성을, ㉯는 '느림'의 특성을 긍정적으로 여긴다.

 

㉮에는 '빨리빨리' 특성을 긍정적으로 에너지로 활용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드러난다.

 

㉯에는 남들보다 더 빨리 나아간 뒤에 '느림'의 특성을 즐겨야 한다는 생각이 드러난다.

 

 

 

 

이상 독해의 원리와 방법 중 관점이나 형식의 차이를 파악하며 읽기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비문학] 독해의 원리와 방법 1 예측하며 읽기

 

[비문학] 독해의 원리와 방법 1 예측하며 읽기

독해의 원리와 방법에는 예측하며 읽기, 요약하며 읽기, 설명 방법을 파악하며 읽기, 논증 방법을 파악하며 읽기, 표현 방법과 의도를 평가하며 읽기가 있습니다. 오늘은 이중 하나인 예측하며

nocturne13.tistory.com

 

 

[비문학] 독해의 원리와 방법 2 요약하며 읽기

 

[비문학] 독해의 원리와 방법 2 요약하며 읽기

독해의 원리와 방법에 예측하며 읽기, 요약하며 읽기, 설명 방법을 파악하며 읽기, 논증 방법을 파악하며 읽기, 표현 방법과 의도를 평가하며 읽기가 있습니다. 오늘은 이중 하나인 요약하며 읽

nocturne13.tistory.com

 

 

[비문학] 독해의 원리와 방법 3 설명 방법을 파악하며 읽기

 

[비문학] 독해의 원리와 방법 3 설명 방법을 파악하며 읽기

독해의 원리와 방법에는 예측하며 읽기, 요약하며 읽기, 설명 방법을 파악하며 읽기, 논증 방법을 파악하며 읽기, 표현 방법과 의도를 평가하며 읽기가 있습니다. 오늘은 설명 방법을 파악하며

nocturne1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