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시의 갈래를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시의 갈래는 내용과 형태에 따라 각각 세 가지로 나뉘는데요. 내용에 따라서는 서정시, 서사시, 극시로 나뉘며 형태에 따라서는 자유시, 산문시, 정형시(시조, 현대시조)로 나뉩니다. 시의 갈래를 알아야 각 시가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특성을 알 수 있으므로, 각각의 시가 어떤 갈래에 속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시의 갈래
문학은 크게 운문과 산문으로 나뉩니다. (*운문 문학 산문 문학 갈래는 글 하단 지난 포스팅을 참고해 보세요) 시는 운율이 있는 운문이지요. 그렇다면 갈래란 무엇일까요? '갈래'란 문학 작품을 유형에 따라 구분한 것입니다.
시의 갈래는 내용에 따라, 그리고 형태에 따라 나뉩니다.
내용에 따라서는 : 서정시, 서사시, 극시
형태에 따라서는 : 자유시, 산문시, 정형시(시조,현대시조)로 나뉩니다.
이처럼 내용과 형태에 따른 시의 갈래를 차례대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내용에 따른 시의 갈래 서정시
서정시는 개인의 주관적인 체험이나 느낌, 감정 등을 담은 시입니다. 서정시(抒情詩)에서 '서정(抒情)'은 '감정을 펼치다'라는 뜻이며, 주로 예술 작품에서 자기의 감정을 그려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서정시는 시인의 감성과 정서를 드러낸 시입니다. 그래서 독자도 시인이 느꼈던 감동과 체험을 상상하며 공감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현대시는 서정시에 포함됩니다. 대표적인 서정시로는 김소월의 시 '엄마야 누나야' 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랜된 서정시는 고구려의 유리왕이 지은 '황조가'입니다.
유리왕 황조가
펄펄 나는 저 꾀꼬리
암수 서로 정다운데
외로운 이내 몸은
누구와 함께 돌아갈꼬.
이 시는 유리왕이 아내와 헤어지고 난 뒤 꾀꼬리를 보면서 이별을 슬퍼하는 내용입니다. 훨훨 날고 있는 꾀꼬리도 짝이 있는데 정작 본인은 짝(아내)을 잃고 혼자 돌아가야 하는 허탈하고 슬픈 마음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또한 정다운 꾀꼬리를 부러워하는 마음도 담겨 있습니다. 이처럼 '황조가'는 허탈감과 슬픔 그리고 부러움이 느껴지는 서정시임을 알 수 있습니다.
내용에 따른 시의 갈래 서사시
서사시는 영웅적인 인물들이나 신들의 이야기, 역사적 사건등을 웅장하게 엮어낸 시입니다. 서사시(敍事詩)에서 '서사(敍事)'란 있었던 일을 시간 순서대로 적은 것을 의미하며 영웅의 일대기나 위대한 업적, 역사적인 사건 등을 소재로 쓴 시입니다.
신화적인 이야기도 서사시로 만들어지며, 서사시의 특징은 대체로 아주 길고 웅장한 느낌이어서 마치 산문(이야기)을 읽는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 의 대표적인 서사시로는 고려시대 때 이규보가 지은 <동명왕기>가 있으며, 이는 고구려를 건국한 주몽, 동명왕의 일대기와 건국에 관한 내용입니다.
서양의 대표적인 서사시로는 고대 그리스의 시인 호머가 지은 <일리아드>와 <오디세이>가 있으며, 이는 트로이 전쟁을 배경으로 그리스 영웅들과 신들의 활약을 담은 서사시입니다.
현대에도 서사시가 창작되고 있는데요. 김동환의 <국경의 밤>과 신동엽의 <금강>이 있습니다. <국경의 밤>은 무려 전체 72장 930여 행이며,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두만강 근처 국경 지대에 살던 '순이'라는 여성의 삶을 통해 우리 민족이 처한 상황이 얼마나 비극적인지 노래하고 있습니다. 또한 <금강>은 4800 여 행이며 동학농민운동부터 3·1 운동 그리고 4·19 혁명을 하나로 연결해 민중의 저항 정신이 오늘날까지도 이어지고 있음을 나타낸 서사시입니다.
내용에 따른 시의 갈래 극시
극시는 연극 대본과 같이 극의 형식을 가진 시입니다. '극시(劇詩)'에서 '극(劇)'이란 등장인물들의 대화 형식으로 이루어진 예술 작품이며, 극시는 등장인물의 대사로만 되어 있습니다.
★고대에는 연극을 할 때 그 대사가 전부 시로 쓰였으나 산문 형식이 등장하면서 극시가 희곡으로 변하게 되었습니다.
지금까지 내용에 따라 나눈 시의 갈래 서정시, 서사시, 극시를 알아보았습니다. 이어서 형태에 따라 나누어서 알아보겠습니다.
형태에 따른 시의 갈래 자유시
자유시는 형식의 제약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쓴 시입니다. 현대에 창작이 되는 시 대부분은 자유시입니다. 자유시는 형식이 정해져 있지 않은, 말 그대로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쓴 시입니다. 이에 따라 꼭 지켜야 하는 글자수도 없고 연과 행의 구성도 정해져 있지 않아서 시인이 쓰고 싶은 시어들을 자유롭게 배열하면 됩니다.
우리나라에는 1910년대 이후부터 자유시가 창작되었으며, 주요한의 '불놀이'가 대표적입니다. 시 '불놀이'는 4월 초파일의 불놀이를 소재로 임을 잃은 슬픔과 그것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담고 있습니다.
형태에 따른 시의 갈래 산문시
산문시(散文詩)는 산문의 형태로 된 시입니다. 산문시는 형식이 자유로웠던 '자유시'보다 형식(형태)에 있어 더 파격적인 시입니다. 형식이 자유로웠던 자유시는 그래도 시행의 구분이 있는데요. 산문시는 시행의 구분이 없이 줄글로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얼핏 보기에는 산문을 감상하는 느낌이 듭니다.
시행의 구분이 없는 독특한 형식 외에도 여느 시들이 '연'으로 나뉘는 반면 산문시는 문단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하지만 산문시도 운문이므로 반복해서 감상하다 보면 시의 가장 중요한 특성이기도 한 '운율'이 느껴집니다.
바로 아래에서 안내해 드릴, 대표적인 산문시로 꼽히는 서정주 시인의 '신부'는 산문시의 형태(형식)처럼 시행의 구분이 없이 두 문단으로 되어 있습니다. 시의 내용은 신부가 자신의 옷자락을 잡은 줄 알고 새신부가 응큼하다는 생각에 남편이 첫날밤에 그냥 도망가 버렸다는 내용입니다. '신부'를 감상하며 산문시 속 운율을 느껴보겠습니다.
서정주 신부
신부는 초록 저고리 다홍치마로 겨우 귀밑머리만 풀리운 채 신랑하고 첫날밤을 아직 앉아 있었는데, 신랑이 그만 오줌이 급해져서 냉큼 일어나 달려가는 바람에 옷자락이 문 돌쩌귀에 걸렸습니다. 그것을 신랑은 생각이 또 급해서 제 신부가 음탕해서 그새를 못 참아서 뒤에서 손으로 잡아당기는 거라고, 그렇게만 알곤 뒤도 안 돌아보고 나가 버렸습니다. 문 돌쩌귀에 걸린 옷자락이 찢어진 채로 오줌 누곤 못쓰겠다며 달아나 버렸습니다.
그리고 나서 사십년인가 오십년이 지나간 뒤에 뜻밖에 볼일이 생겨 이 신부네 집 옆을 지나가다가 그래도 잠시 궁금해서 신부방 문을 열고 들여다보니 신부는 귀밑머리만 풀린 첫날밤 모양 그대로 초록 저고리 다홍치마로 아직도 고스란히 앉아 있었습니다. 안스러운 생각이 들어 그 어깨를 가서 어루만지니 그때서야 매운재가 되어 폭삭 내려앉아 버렸습니다. 초록 재와 다홍 재로 내려앉아 버렸습니다.
형태에 따른 시의 갈래 정형시
정형시는 시의 구조나 시구, 또는 리듬에 있어서 정해진 형식의 제약을 받는 시입니다. 정형시(定型詩)의 '정형(定型)'은 일정한 형식이나 틀을 의미하며, 정형시는 바로 형식과 틀이 정해는 시입니다.
정형시의 정해진 형식과 틀로는, 글자수에 규칙을 주거나, 같은 소리가 나는 글자를 시구의 첫머리나 끝머리에 되풀이하여 쓰거나, 글자의 수를 일률적으로 맞추는 등 여러 가지 제약이 있습니다.
이런 정형시의 형식은 나라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는데요. 나라마다 대표하는 정형시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시조, 중국의 율시, 일본의 하이쿠, 서양의 소네트가 모두 정형시입니다. 여러 나라를 대표하는 정형시 중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정형시인 '시조'를 함께 정리하겠습니다.
우리나라 대표적인 정형시 시조
시조는 고려 중엽에 시작하여 고려 말기에 발달하여 온 우리나라 고유의 정형시입니다. 초반에는 사대부층이 향유하는 문학이었지만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평민부터 왕까지 두루 창작할 정도로 작가층도 두터워지고 인기가 높았습니다. 시조는 오늘날까지도 창작되고 있으며, 1919년 전후부터 오늘날까지 창작되고 있는 시조를 두고 '현대시조'라고 부릅니다.
정형시인 시조(평시조)의 기본적인 형식으로는
1) 3장(초장, 중장, 종장) 6구 45자 내외.
2) 각 장은 4음보 (끊어 읽는 덩어리가 4개)
3) 종장의 첫 음보는 3음절(=3글자)
이와 같은 시조의 기본적인 형식을 정몽주의 '단심가'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정몽주 단심가 (평시조)
이 몸이 V 죽어죽어 V / 일백번 V 고쳐 죽어 (초장, 1구 2구, 4음보)
백골이 V 진토되어 V / 넋이라도 V 있고없고 (중장, 3구 4구, 4음보, )
임향한 V 일편단심이야 V / 가실줄이 V 있으랴.(종장, 5구 6구, 4음보, 종장의 첫음보 3음보 '임향한' 3글자)
* V : 음보 (4음보)
* / : 구 (6구)
* 45자 내외
* 종장의 첫 음보 3음보 (임향한) 3글자.
지금까지 대표적인 정형시인 '시조'의 형식(형태)을 알아보았습니다. ★이와 같은 형식을 갖춘 '시조'를 평시조라고 합니다.
(시조는 형식에 따라 평시조, 연시조, 엇시조, 사설시조로 나뉘는데요. 오늘은 시의 전체적인 갈래만 설명하는 포스팅이라 시조의 세분화된 갈래는 추후 포스팅을 통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이밖에 중국의 정형시인 율시는 전통적인 한시로 총 여덟 구로 되어 있으며, 두 구씩 짝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때 한 구가 다섯 자면 오연율시, 일곱 자면 칠언율시라고 합니다. 일본의 하이쿠는 5·7·5조의 3구 총 17자로 되어 있는 아주 짧은 시이며, 서양의 소네트는 14행으로 지어진 정형시입니다.
하이쿠의 대표적인 시 바쇼의 '오래된 연못'을 살펴보겠습니다.
바쇼 오래된 연못
오래된 연못
개구리 뛰어든다
물소리 퐁당
하이쿠의 형식에 맞게 5·7·5조의 3구 총 17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리말 번역도 자연스럽게 형식에 맞춰 5·7·5조 3구 총 17자로 했습니다.
현대시조
현대시조는 1919년 전후부터 오늘날까지 창작되고 있는 시조이며, 현재도 창작되고 있습니다. 현대시조는 각 작품마다 제목이 붙는다는 특징이 있으며 대체로 평시조의 형식을 따르지만 시행을 배열할 때 변화를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초장, 중장, 종장으로 배열하는 것이 아니라 음보나 구를 하나의 시행으로 배열하는 것입니다.
유재영의 현대시조이자 연시조인 <둑방길>을 감상하며 형식을 알아보겠습니다.(*시 속에서 /는 '행바꿈', // 는 '연' 표시입니다.)
유재영 둑방길
어린 염소 / 등 가려운 / 여우비도 / 지났다. // (초장)
목이 긴 / 메아리가 / 자맥질을 / 하는 곳 // (중장)
마알간 / 꽃대궁들이 / 물빛으로 / 흔들리고. // (종장, 첫 음보 3음절 '마알간')
부리 긴 / 물총새가 / 느낌표로 / 물고 가는 // (초장)
피라미 / 은빛 비린내 / 문득 번진 / 둑방길 //(중장)
어머니 / 마른 손 같은 / 조팝꽃이 / 한창이다. //(종장, 첫 음보 3음절 '어머니')
이 시는 비 개인 둑방길의 맑고 생동감 넘치는 풍경을 그려낸 현대시조입니다. 하지만 시조(평시조)와는 달리 시행을 자유롭게 배열했으며, 각 음보를 한 시행으로 배열해 각 장을 하나의 연처럼 보이도록 했습니다.
이에 1연은 초장, 2연은 중장, 3연은 종장
4연부터 6연까지도 각각
4연은 초장, 5연은 중장, 6연이 종장입니다.
그러므로 이 시는 두 개의 평시조가 연결된 연시조임을 알 수 있습니다. 시행이 자유롭게 배열된 시조이지만 종장의 첫 음보는 3음절(3글자)의 형식을 지켜 각 종장에 해당하는 3연의 첫 음보 '마알간' 6연의 첫 음보 '어머니'는 각 3음절입니다.
지금까지 설명한 내용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시의 갈래 | |||
내용에 따라 | 서정시, 서사시, 극시 | ||
형태(형식)에 따라 | 자유시, 산문시, 정형시(시조, 현대시조) |
★국어 학습을 할 때 현재 학습하는 글이 1) 문학인지 비문학인지 2) 문학이라면 운문인지 산문인지 3) 운문이라면 오늘 설명한 시(운문)의 갈래를 구분한 후 해석(감상)을 하면 시의 기본적인 특성을 함께 학습할 수 있습니다.
이상 시의 갈래, 서정시, 서사시, 극시, 자유시, 산문시, 정형시(시조, 현대시조)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앞으로도 국어 학습에 필요한 국어 개념을 꾸준히 연재할 계획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출처 및 참고 - 국어 개념 교과서, 이서영, 강승임 공저, 아주큰선물)
예비중1. 예비 중학생 국어 시간 용어 개념 정리 (1) 글의 갈래 정리
'읽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어 개념] 고전 시가의 흐름과 특징. 고대 가요. 향가. 고려 가요. 경기체가. 악장 (6) | 2023.04.06 |
---|---|
[국어 개념] 복수 표준어 의미 예. 표준어 조항 제18항 제19항 제26항 (7) | 2023.04.05 |
[순우리말] 날씨 바람과 관련된 순우리말 꽃샘바람 높새 마파람 하늬바람 (9) | 2023.04.01 |
[다시 읽는 국어책] 김소월 시 먼 후일. 반어법 의미. 문학 속 반어법 예시 (10) | 2023.03.29 |
국어 문장 표현(5) 부정 표현 안 의지. 못 능력. 말다 금지 부정문. 부정문 중의성 해소 방법 (5) | 2023.03.27 |
국어 문장 표현(4) 피동 사동 주동 능동 표현. 피동 사동 만드는 방법. 피동 사동 구별 방법 (14) | 2023.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