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읽다

[국어 개념] 고전 시가의 흐름과 특징. 고대 가요. 향가. 고려 가요. 경기체가. 악장

반응형

오늘은 고전 시가의 흐름과 흐름에 따른 특징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고전 시가(古典詩歌)는 예로부터 전하여 내려오는 시가로, 고대 가요, 향가, 고려 가요(고려 속요), 가사, 악장, 무가, 한시 등이 있습니다. 원시 시대부터 갑오개혁까지의 각 시대를 간략히 정리한 후 고전 시가의 흐름과 특징을 설명하겠습니다.

 

 

 

고전 시가의 흐름과 특징

원시 시대를 시작으로 하여 갑오개혁 때까지의 고전 시가의 흐름과 특징을 각 10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요. 먼저 각 시대를 간략하게 정리한 후, 단계별로 순서에 맞게 설명하겠습니다. (각 고전 시가의 갈래와 특징은 세분화 하여 순차적으로 포스팅할 계획입니다.)

 

 

 

원시 : 고조선 건국(B.C. 2333) -  신라 건국 (B.C. 57) - 고구려 건국(B.C. 37) - 백제 건국 (B.C. 18)

 

통일신라 : 신라의 삼국 통일(676)

 

고려 : 고려 건국(918) - 무신의 난(1170) - 몽고의 고려 칩입(1231)

 

조선 전기 : 조선 건국(1392) - 훈민정음 창제(1443) - 계유정난(단종폐위, 1453)

 

조선후기 : 임진왜란(1592) - 병자호란(1636) 

 

갑오개혁 : 1894

 

 

 

고전 시가의 흐름과 특징을 10단계로 나누면, 

1) 고대 가요의 발생 2) 향가의 발생 3) 한시의 정착 4) 고려 가요의 발생 5) 경기체가의 등장 6) 악장의 등장 7) 시조의 발달 8) 가사의 정착 9) 시조와 가사의 변화 10) 민요와 잡가의 유행입니다. 바로 순서대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고전 시가에는 고대 가요, 향가, 고려 가요, 가사, 악장, 무가, 한시 등이 있습니다.

 

 

1. 고대 가요의 발생

고대 가요(古代歌謠)는 삼국 시대 이전의 노래로 시와 노래, 무용 등이 합해진 원시 종합 예술에서 분리되어 나온 노래이며, 우리 시가 초기 단계의 형식입니다. 주술이나 제천 의식이 중시되었던 생활상이 반영되었으며, 집단 서사시에서 개인 서정시의 형태로 발전되었습니다. 대부분의 고대 가요는 배경 설화와 함께 전해집니다. 고대 가요의 대표 작품으로는 백수 광부의 아내의  '공무도하가', 구간 등의 '구지가' , 유리왕의 '황조가'가 있습니다.

 

 

2. 향가의 발생

향가(鄕歌)는 신라 때부터 고려 초기까지 불린 서정시로 *향찰로 기록된 우리 고유의 노래이며, 우리 문학 최초의 정형화된 서정시이자, 최초의 국문 시가입니다. 주로 불교적이거나 민요적인 내용이 많습니다. 

 

*향찰 :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국어 문장을 적은 표기법입니다.

 

 

향가의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서동의 '서동요', 득오의 '모죽지랑가', 처용의 '처용가', 월명사의 '제망매가', 충담사의 '찬기파랑가'가 있습니다.

 

 

3. 한시의 정착

한시(漢詩)는 삼국 시대에 한문학의 도입 이후 7세기경에 본격적으로 창작된 귀족 문학입니다.한시도 우리나라 사람이 우리의 정서를 담아 창작했으므로 우리 문학으로 분류합니다.  한시의 대표 작품으로는 을지문덕의 '여수장우중문시', 최치원의 '추야우중', 양태사의 '야청도의성'이 있습니다.

 

 

 

4. 고려 가요의 발생

고려 가요(高麗歌謠)는 고려 시대에 평민들 사이에서 불린 노래이며, 평민들의 감정과 삶이 담겨 있는 문학입니다. 3음보 율격과 *분연체 구성이 많으며, 연마다 후렴구가 있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분연체 : 몇 개의 연이 거듭하여 한 작품을 이루는 형식입니다.

 

 

고려 가요는 특이하게 민간에서 부르던 노래가 궁중 등으로 흡수되는 형태로 발전되었습니다. 문자 생활을 하지 못했던 평민들이 즐기던 갈래라 처음에는 구전되다가 훈민정음 창제 이후 채록되거나 궁중에서 부른 속악에 수용되어 전해졌습니다. 

 

 

고려 가요의 대표 작품으로는 작자 미상의 '가시리', 작자 미상의 ' 동동', 작자 미상의 '서경별곡', 작자 미상의 '청산별곡'이 있습니다. 

 

 

 

 

5. 경기체가의 등장

경기체가(景幾體歌)는 고려 중엽 무신의 난 이후 새롭게 등장한 신흥 사대부들이 향락적인 생활과 자부심을 드러내기 위해 부른 노래이며, 교술적인 성격을 지닌 갈래입니다. 작품 속에서 '경기하여' 또는 '경긔 엇더하니잇고'라는 구절이 반복됩니다. 경기체가의 대표 작품으로는 한림의 여러 학자들의 '한림별곡, 안축의 '죽계별곡' 이 있습니다.

 

 

 

 

6. 악장의 등장

악장(樂章) 은 조건의 건국과 번영을 송축하고 조선의 문물과 제도 그리고 왕의 덕을 찬양하는 노래로 조선 초기에 창작되었습니다. 이에 궁중의 여러 의식과 행사, 연례 등에 사용되었으며, 악장의 대표 작품으로는 정인지 외의 '용비어천가', 정도전의 '신도가'가 있습니다.

 

 

 

 

7. 시조의 발달

시조(時調)는 고려 중기에 발생하여 조선 시대를 거쳐 오늘날까지 창작되고 있는 우리 시가 문학의 대표적 갈래로, 훈민정음 창제 이후 활발하게 창작되었습니다. 기본 형식으로는 3장 6구 45자 내외, 4음보 율격이며, 종장의 첫 음보는 3글자로 고정이 됩니다. 주된 창작층은 양반, 기녀였으며 시조의 주된 내용으로는 연군, 절개, 충성, 전원생활, 사랑과 이별입니다.

 

 

 

시조의 대표 작품으로는 정몽주의 '단심가', 길재의 '오백 년 도읍지를~, 성삼문의 '수양산 바라보며', 송순의 '십 년을 경영하여~', 황진이의 '동짓날 기나긴 밤을~'이 있습니다.

 

 

 

8. 가사의 정착

가사(歌辭)는 시조와 더불어 조선의 시가 문학을 대표하는 국문 시가로 운문과 산문의 중간 형태인 갈래로, 4음보 율격을 이루며 행의 수에 제한이 없습니다. 주된 창작층은 양반이며 내용으로 임금에 대한 감사와 충성, *연군지정, 자연에서의 삶, 여행세서 보고 듣고 깨달음 것을 담으며 다양한 내용을 다루었습니다.

 

 

 

*연군지정(戀君之情) : 임금을 그리워 하는 마음이라는 의미로, 정치적으로 유배를 당했던 이들이 자신의 정치적 복원을 꿈꾸며 임금에게 연군지정을 표하기도 했습니다.

 

가사의 대표 작품으로는 정극인의 '상춘곡', 송순의 '면앙정가', 정철의 '사미인곡' 정철의 '관동별곡'이 있습니다.

 

 

 

9. 시조와 가사의 변화

조선 후기에 평민 의식이 성장하면서 평민과 여성으로 작가층이 확대되었으며, 이에 사설시조가 등장했습니다. 사설시조의 주된 내용으로는 현실에 대한 비판, 평민들의 생활과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했습니다. 또한 장편 가사가 등장했으며 일상적이고 현실적인 체험을 사실적으로 표현했습니다.

 

 

사설시조의 대표 작품으로는 작자 미상의 '개를 여남으이나 기르되~', 작자 미상의 '두꺼비 파리를 물고~', 작자 미상의 '귓도리 저 귓도리~'가 있습니다. 

 

 

가사의 대표 작품으로는 박인로의 '누항사', 김인겸의 '일동장유가', 홍순학의 '연행가'가 있습니다.

 

 

 

10. 민요와 잡가의 유행

민요(民謠)는 평민들의 일상 생활과 관련하여 노동, 의식, 놀이 등을 위해 불려 온 구전가요로 이 시기에 잡가도 함께  유행했습니다. 민요에는 평민들의 일상적인 삶과 애환이 실감나게 표현되어 있습니다. 민요는 기능에 따라 크게 노동요, 의식요, 유희요로 나눌 수 있습니다. 또한 기능과 관계없이 노래의 즐거움을 위해 부르는 민요도 있었습니다.

 

 

민요의 주제로는 노동의 보람이나 고달픔, 삶의 애환, 사회 비판, 남녀 간의 사랑, 놀이 또는 의식이 사용되었습니다.  민요의 대표 작품으로는 작자 미상의 ' 잠 노래' , 작자 미상의 ' 정선 아리랑', 작자 미상의 '시집살이 노래', 가 있으며, 잡가의 대표 작품으로는 작자 미상의 ' 유산가', 작자 미상의 '선유가'가 있습니다.

 

 

 

 

이상 고전 시가의 흐름과 고대 가요, 향가, 고려 가요, 가사, 악장, 한시, 민요 등의 특징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국어 개념] 시의 갈래. 내용 형태에 따른 갈래. 서정시 서사시 자유시 정형시 시조

 

[국어 개념] 시의 갈래. 내용 형태에 따른 갈래. 서정시 서사시 자유시 정형시 시조

오늘은 시의 갈래를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시의 갈래는 내용과 형태에 따라 각각 세 가지로 나뉘는데요. 내용에 따라서는 서정시, 서사시, 극시로 나뉘며 형태에 따라서는 자유시, 산문시, 정형

nocturne1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