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읽다

이상화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해석 분석 정리. 푸른 웃음 푸른 설움 제목의 의미

반응형

오늘은 이상화의 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입니다. 먼저 시 전문을 안내하고(해석, 분석 정리) 작품 속 푸른 웃음과 푸른 설움 그리고 제목의 의미를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이상화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해석 분석 정리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지금은 남의 땅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나는 온몸에 햇살을 받고,

푸른 하늘 푸른 들이 맞붙은 곳으로,

가르마 같은 논길을 따라 꿈속을 가듯 걸어만 간다.

 

 

입술을 다운 하늘아, 들아,

내 맘에는 나 혼자 온 것 같지를 않구나!

네가 끌었느냐, 누가 부르더냐, 답답워라, 말을 해 다오.

 

 

바람은 내 귀에 속삭이며,

한 자욱도 겄지마라, 옷자락을 흔들고.

종다리는 울타리 너머 아씨같이 구름 뒤에서 반갑다 웃네.

 

 

고맙다 잘 자란 보리밭아,

간밤 자정이 엄어 내리던 고운 비로

너는 삼단 같은 머리를 감았구나. 내 머리조차 가뿐하다.

 

 

혼자라도 가쁘게나 가자.

물 마른 논을 안고 도는 착한 도랑이

젖먹이 달래는 노래를 하고, 제 혼자 어깨춤만 추고 가네.

 

 

나비, 제비야, 깝치지 마라.

맨드라미, 들마꽃에도 인사를 해야지.

아주까리기름을 바른 이가 지심 매던 그 들이라 다 보고 싶다.

 

 

내 손에 호미를 쥐어 다오.

살진 젖가슴과 같은 부드러운 이 흙을

발목이 시도록 밝아도 보고, 좋은 땀조차 흘리고 싶다.

 

 

강가에 나온 아이와 같이,

짬도 모르고 끝도 없이 닫는 내 혼다,

무엇을 찾느냐, 어디로 가느냐, 웃어웁다, 답을 하려무나.

 

 

나는 온몸에 풋내를 띠고,

푸른 웃음, 푸른 설움이 어우러진 사이로,

다리를 절며 하루를 걷는다. 아마도 봄 신령이 지폈나 보다.

 

 

그러나 지금은 - 들을 빼앗겨 봄조차 빼앗기겠네.

 

 

이상화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해석 분석 정리 푸른 설움 푸른 웃음 제목의 의미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시 시어 시구 풀이

시어 풀이

 

1) 가르마 : 이마에서 정수리까지의 머리카락을 양쪽으로 갈랐을 때 생기는 금. 

 

2) 삼단 : 삼을 베어 묶은 단. 길고 풍성한 머리채를 표현할 때 자주 쓰임.

 

3) 지심 : '김'의 경상도 방언으로 논밭에 난 잡초를 말함. '김매다'는 것은 잡초를 뽑는 일을 말함.

 

4) 짬 : 현재의 상황이나 형편.

 

5) 웃어웁다 : '우습다'의 방언

 

 

 

 

시구 풀이 

1)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겨울이 지나면 봄이 찾아 오듯이, 빼앗긴 국토에도 봄, 조극 광복이 찾아올 가능성에 대한 의구심을 드러낸 부분임.

 

 

2) 네가 끌어느냐, 누가 부르더냐, 답답워라, 말을 해다오

빼앗긴 들인 줄 알면서도 아름다운 봄에 빠져 걸어가고 있는 자신에 대한 안타까움. 그리고 침묵하고 있는 조국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현하고 있음.

 

 

3) 내 손에 호미를 쥐어 다오

우리 국토에서 직접 노동을 하며 활력 있게 살고자 하는 의지를 나타낸 부분으로, 시적 화자의 국토에 대한 애정이 드러나 있음.

 

 

4) 살진 젖가슴과 같은 부드러운 이 흙을

우리 국토를 모성적 심상으로 비유하여, 국토의 풍요로움과 정겨움을 표현하고 있다.

 

 

5) 푸른 웃음, 푸른 설움

아름다운 봄을 보며 느끼는 기쁨과 국토를 상실했다는 현실 인식에서 나오는 슬픔의 감정이 복합적으로 일어나는 상태를 시각화하여 역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6) 다리를 절며 하루를 걷는다

기쁨과 슬픔이 교차하는 시적 화자의 불안정한 심리 상태를 함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7) 그러나 지금은 - 들을 빼앗겨 봄조차 빼앗기겠네

1연의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에 대한 답변 형식을 띤 시구이며, 절망적 현실 인식을 보여 주고 있다.

 

 

 

 

이상화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핵심 정리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성격 : 낭만적, 상징적, 저항적

 

제재 : 빼앗긴 땅에 찾아온 봄

 

주제 : 국토를 빼앗긴 민족의 비통한 현실

 

 

특징

1) 향토적 소재와 시어를 구사함.

2) 격정적인 호흡과 영탄적 어조를 사용함.

3) 시상의 흐름이 전후 관계에 따른 *대칭 구조

 

 

*이 시의 대칭 구조 

이 시는 국토를 빼앗긴 비애와 울분이 구조적 상관성을 가지고 형태화되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먼저 1연과 11연이 질문과 대답의 형식을 띠고, 2연과 10연, 3연과 9연이 각각 대칭 구조를 보이며, 질문으로부터 대답에 이르기까지 화자의 의식의 변화 과정을 드러내고 있다.

 

 

출전 : 개벽(1926)

 

 

 

 

시 구성

1연 : 현실 인식.

 

2연 : 아름다운 봄 경치에 이끌림.

 

3연 : 침묵하는 조국에 대한 답답한 심정.

 

4 - 6연 : 봄을 맞은 국토의 활기찬 모습.

 

7 - 8연 : 국토에 대한 애정.

 

9연 : 현실에 대한 재인식.

 

10연 : 감정의 혼란.

 

11연 : 절망적 현실 인식.

 

 

 

◈ 이상화 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이해와 감상

이 시는 민족의 현실에 대한 자각을 바탕으로 국권 회복에 대한 염원을, 향토적 소재를 통해 서정적으로 그리고 있습니다. 전체적인 시상의 흐름은 2연과 10연, 3연과 9연을 서로 대응시키는 대칭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연은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올 수 있는가?'라는 의문으로 시작하고 있습니다.

 

 

 

2-3연에서 시적 화자는 몽상의 상태에서 자신도 모르게 봄의 들판으로 나섰으나 곧 몽사에서 벗어나 자신이 들판에 서 있는 까닭을 묻습니다. 4-6연은 이런 상태에서 눈앞에 모든 사물이 활기찬 모습으로 되살아나고 있는 아름다운 봄의 정경이 전개됩니다. 7-8연은 자연속에서의 시적 화자의 국토에 대한 애정이 드러납니다. 그러나 9-10연에서 시적 화자는 화자 내면의 감정적 불균형 상태를 나타내 줍니다.

 

 

 

11연에서는 1연에 대한 답을 하며 시상이 마무리 되고 있습니다.

 

 

 

이 시에서 시적 화자의 정서의 흐름은 '고통스러운 현실 인식→ 몽상의 상태 → 국토의 아름다움 발견 → 국토에 대한 애정 → 일하고 싶은 충동 → 현실 재인식 → 절망감'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즉 시적 화자의 정서가 점진적인 상승과 급격한 하강의 흐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질문>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아름다운 봄 경치에 동화됨.

- 노동을 통해 국토에 대한 애정을 드러냄.

- 자연의 봄과 국권 상실의 현실 상황의 대비로 인해 혼란스러움.

 

 

 

<대답> : 들을 빼앗겨 봄조차 빼앗기겠네.

 

 

 

제목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의 의미

이 시의 제목은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라는 의문형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 시에서 '빼앗긴 들'과 '봄'은 상반된 상징적 의미를 지닙니다. '빼앗긴 들(국권 상실)'은 현재 상황이며, '봄(조국 광복)'은 기다리는 상황입니다. 그런데 시의 제목에서는 '봄이 오는가'라는 의문의 형태를 취하고 있습니다.

 

 

 

이는 시적 화자는 그 봄을 기다리지만 현재 상황으로 볼 때 봄이 오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회의하고 있는 것입니다. 즉, 이 시는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라는 의문형의 제목을 통해 국권을 상실한 민족의 비통한 현실이라는 주제를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 '푸른 웃음'과 '푸름 설움'의 의미

공감각적 심상이 드러나는 '푸른 웃음, 푸른 설움'에 나타나는 역설적인 의미 결합은 자연의 봄과 현실 상황에 대한 모순된 감정에서 비롯됩니다. '푸른 웃음'이란 자연의 들판에 펼쳐져 있는 봄기운 속에서 느끼는 정취입니다. 

 

 

푸르게 변해 가는 자연 속에서 시적 화자는 즐거움을 느끼는 것입니다. 그라나 '푸른 설움'이란 그 자연의 푸르름 속에서 시적 화자가 다른 한편으로 느끼는 서러움이며, 이는 현실의 고통스러움, 즉 국권 상실의 슬픔 때문입니다. 곧 웃음은 자연에 찾아든 봄을 맞이하는 감정이며, 설움은 현실 속에서 겪고 있는 시대적 고통에 따른 감정입니다. 

 

 

 

'웃음'과 '설움'은 각기 다른 감정적 상태이나, 시적 화자에게 느껴지는 이러한 모순적인 감정은 상황 자체가 지닌 모순에 기인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어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의 주요 내용을 문답 형식으로 정리하겠습니다.

 

 

1) 1연에서 '님'이 가리키는 것은? 일제

 

2) '빼앗긴 들'에 사용된 표현법은? 대유법

 

3) '봄'이 갖는 두 가지 의미는? 조국의 광복, 자연의 계절

 

4) 8연서 '흙'을 '살진 젖가슴'에 비유한 이유는? 국토를 모성애 비유하여 국토의 풍요로움을 나타내기 위해.

 

5) 10연에서 '푸른 웃음, 푸른 설움이 어우러진'에 사용된 표현법은? 역설법

 

 

 

 

마지막으로 함께 감상하면 좋을 김소월의 시, '바라건대는 우리에게 우리의 보습 대일 땅이 있었더면'을 안내해 드리고 마치겠습니다.

 

 

 

김소월의 '바라건대는 우리에게 우리의 보습 대일 땅이 있었더면'은 민요조를 통해 전통적 정서를 노래하는 김소월의 시 중에서 드물게도 현실 인식을 강하게 드러낸 작품입니다. 이 시에서 화자는 일제의 수탈로 인해 땅을 빼앗긴 농민의 안타까운 심정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바라건대는 우리에게 우리의 보습 대일 땅이 있었더면'과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의 공통점은 국토라는 소재를 통해 주권 회복에 대한 열망을 드러내고 있다는 것입니다. 보습 대일 땅에 대한 바람과 호미를 들고 땀을 흘리고 싶은 땅에 대한 소망은 모두 나라를 되찾고자 하는 열망의 표현인 것입니다.

 

 

 

 

김소월  바라건대는 우리에게 우리의 보습 대일 땅이 있었더면

 

 

나는 꿈꾸었노라, 동무들과 내가 가지런히

벌 가의 하루 일을 다 마치고

석양에 마을로 돌아오는 꿈을,

즐거이, 꿈 가운데.

 

 

그러나 집 잃은 내 몸이여,

바라건대는 우리에게 우리의 보습 대일 땅이 있었더면!

이처럼 떠돌으랴, 아침에 저물손에

새라 새로운 탄식을 얻으면서.

 

 

동이랴, 남북이랴,

내몸은 떠나가니. 볼지어다,

희망의 반짝임은, 별빛의 아득임은,

물결뿐 떠올라라, 가슴에 팔다리에.

 

 

그러나 어쩌면 황송한 이 심정을! 날로 나날이 내 앞에는

자칫 가늘은 길이 이어 가라. 나는 나아가리라.

한 걸음, 또 한 걸음. 보이는 산비탈엔

온 새벽 동무들, 저 저 혼자 ...... 산경(山耕)을 김매이는.

 

 

 

 

이상 이상화의 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의 해석, 분석 정리와  작품 속 푸른 웃음과 푸른 설움 그리고 제목의 의미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1910년대 - 광복 이전 시가 문학사 개념 특징 정리. KAPF. 모더니즘 시. 저항 시. 청록파 시

 

1910년대 - 광복 이전 시가 문학사 개념 특징 정리. KAPF. 모더니즘 시. 저항 시. 청록파 시

오늘은 1910년대와 광복 이전 시기의 특징과 시가 문학사 개념, 특징(자유시, 모더니즘 시, 저항 시, 청록파 시)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910년대에는 신체시보다 형식적으로 자유로우며 시

nocturne13.tistory.com

 

 

 

[국어 개념] 현대시의 흐름과 경향 특징. 개화기 광복직후 1990년대 이후

 

[국어 개념] 현대시의 흐름과 경향 특징. 개화기 광복직후 1990년대 이후

오늘은 현대시의 흐름과 경향 특징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현대시의 흐름은 개화기를 시작으로 해서 1990년대 이후까지 크게 8단계로 구분됩니다. 먼저 각 시대별 역사적 특징을 간략히 정리한

nocturne13.tistory.com

 

 

정지용 유리창 1 해석 분석 정리. 유리창 별 의미. 대위법

 

정지용 유리창 1 해석 분석 정리. 유리창 별 의미. 대위법

오늘의 시는 정지용의 유리창 1입니다. 먼저 시 전문을 안내하고 핵심정리(해석 분석 정리), 유리창과 별의 의미와 대위법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정지용 유리창 1 해석 분석 정리 유리창1 유리(

nocturne1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