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김동리의 소설 역마를 해석 분석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전체 줄거리를 살펴보고 역마살과 세 갈래 길의 의미와 화개 장터와 운명의 순환성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김동리의 역마 해석 분석
1. 전체 줄거리
화개 장터에서 주막을 운영하고 살고 있는, 마음 착하고 인심 좋은 옥화는 아들 성기의 타고난 역마살을 없애기 위해 갖은 노력을 기울입니다. 어느 날 체 장수 영감이 딸 계연을 데리고 와 옥화네 주막에 맡기고 떠납니다. 옥화는 계연을 성기와 맺어 주어 성기가 역마살을 극복하고 정착하기를 바랍니다. 그러던 중 옥화는 계연의 왼쪽 귓바퀴 위에 난 사마귀를 발견하고 자신이 동생이 아닐까 의심합니다.
체 장수 영감이 돌아와 들려준 이야기로 인해 의혹은 사실임 밝혀집니다. 36년 전 화개 장터에서 어떤 떠돌이 여인과 하룻밤 관계한 일로 태어난 딸이 옥화이며, 계연은 결국 옥화의 이복동생인 것입니다. 그 일이 있은 후, 계연은 아버지인 체 장수를 따라 떠나고, 성기는 한참 앓아눕습니다. 결국 옥화는 성기에게 모든 사실을 밝히고 얼마 후 자리에서 일어난 성기는 엿판을 꾸려 집을 떠납니다.
2. 김동리의 역마 핵심 정리
갈래 : 단편 소설, 순수 소설
성격 : 무속적, 운명적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배경
1) 시간적 배경 -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음.
2) 공간적 배경 - 전라도와 경상도의 경계인 화개 장터.
주제 : 한국적 운명관(역마살)에 순응하며 사는 삶과 인간 구원의 문제.
3. 인물 소개
성기 : 역마살의 운명을 타고난 인물. 계연과의 사랑이 좌절되고 역마살을 극복하지 못하자 운명에 순응하며 엿판을 메고 떠난다.
옥화 : 성기의 어머니. 주막을 운영하면서 역마살을 없애려고 하지만 실패하고 운명을 받아들인다.
계연 : 옥화의 이복동생. 성기를 사랑하나 사랑을 이루지 못하고 아버지를 따라 떠난다.
체 장수 : 옥화와 계연의 아버지. 역마살이 낀 인물이다.
4. 어휘 풀이
1) 미투리 : 삼이나 노 따위로 짚신처럼 삼은 신.
2) 하직 : 먼 길을 떠날 때 웃어른께 작별을 고하는 것.
3) 여의찮거든 : 일이 마음먹은 대로 되지 않거든.
4) 어뜩어뜩 : 머리가 몹시 어지러워 자꾸 정신을 잃고 까무러칠 듯한 모양.
5) 장승 : 돌이나 나무에 사람의 얼굴을 새겨서 마을 또는 절 어귀나 길가에 세운 푯말.
6) 향라 : 명주, 모시, 무명실 등으로 짠 옷감의 하나.
7) 회춘 : 중한 병에서 회복되어 건강을 되찾음.
8) 남사당 : 무리를 지어 이곳저곳 떠돌아다니면서 소리나 춤을 팔던 남자.
9) 통정 : 통사정. 딱하고 안타까운 형편을 털어놓고 말함.
10) 명도 : 태주가 지핀 사람. 즉 점쟁이를 말함. 태주는 마마를 앓다가 죽은 계집아이의 귀신.
11) 달포 : 한 달 이상 되는 동안.
12) 방물 : 여자가 쓰는 화장품, 바느질 기구, 패물 따위의 물건
5. 구절 풀이
1) 지리산 속에서 우연히 - 나오는 길이라......
사건이 요약적으로 제시된 부분으로 계연이 떠나야 하는 까닭을 설명하고 있다.
2) "여수 쪽으로 가시게 되면 영영 못 보게 되겠구만요."
체 장수 영감은 사실 옥화의 아버지로, 아버지와 영영 헤어져야 하는 딸의 안타까운 심정이 드러나 있다.
3) 계연은 애걸하듯 - 쳐다보고만 있었다.
성기와 헤어지기 싫은 마음에 떠나지 않게 해 달라고 애원하는 몸짓이다.
4) "할아부지 거기 - 여기 와서 우리하고 같이 삽시다."
육친에 대한 정을 간접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5) 그해 아직 봄이 오기 전 - 그에게 보여 주었다.
옥화가 계연을 떠나보내야만 했던 이유를 성기에게 설명해 주고 있는 부분으로 인물들의 관계가 드러난다.
6) 그런 지도 다시 한 보름이나 지나 - 젖어 흐르는 아침이었다.
계절적 배경이 여름인데, 여름은 성장의 계절로, 성기가 자신의 운명을 받아들일 만큼 성장했음을 의미한다.
김동리 소설 역리 역마살과 세 갈래 길의 의미
'역마살'은 '역마(驛馬)'+살(煞)'의 합성어입니다. '역마'란 말이 중요한 운송 수단이었던 시절에 역참(驛站)에 대기시켜 두고 관용(官用)으로 쓰던 말을 의미하며, '살'은 사람이나 물건 따위를 해치는 독하고 모진 기운, 곧 악귀의 짓을 의미합니다.
즉, '역마살'이란 역마의 귀신이 독기를 품어 사람에게 씌어지는 것이므로, 역마살을 타고난 사람은 결국 한 곳에 안주하지 못하고 길 위를 떠도는 삶을 살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이 작품의 결말 부분의 '세 갈래 길'은 주인공 성기의 역마살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세 갈래 길 중 화갯골로 난 길은 지금까지 성기가 살았던 곳을 의미하며 성기에게는 과거의 삶을 의미하는 길입니다. 또한 구례로 난 길은 계연이 떠나간 길로 성기가 구례 방향의 길을 택한다면 결국 운명을 거부하고 계연을 따라가는 삶을 사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우면을 거역하는 삶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성기는 결국 화갯골에서 나와 하동을 향하게 되는데 이때 하동 쪽으로 난 길은 운명에 순응하는 삶, 역마살을 받아들이는 삶을 의미합니다.
화개 장터와 운명의 순환성
소설의 공간적 배경이 되는 '화개 장터'는 3대에 이르는 가계의 사건이 벌어지는 곳일 뿐만 아니라 인물들의 삶에서 매우 중대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화개 장터는 성기의 외할머니가 하룻밤 놀다 간 젊은 남사당패와 정을 통하여 육화를 갖게 된 장소이며, 육화마저 떠돌이 승려와 인연을 맺어 성기를 잉태한 장소입니다.
뿐만 아니라 성기마저도 어머니의 이복 여동생인 계연과 부부의 연까지 맺을 뻔한 장소입니다. 즉 이 가족들이 비슷한 사건들을 겪게 되는 장소인 것입니다.
이처럼 화개 장터가 갖는 가장 흥미로운 성질은 대를 잇는 운명의 순환성에 있습니다. 일회적인 만남에서 정을 통하게 되어 일생에 지우지 못할 추억과 연민을 갖게 하고 결국 인생의 커다란 전환점을 맞게 된다는 점에서 그러합니다.
김동리 역마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역마살'을 소재로 하여 운명에 의해 상처를 받고 좌절하면서도 이에 순응해 나가는 모습을 그림으로써 인간과 운명의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주인공인 성기의 역마살은 외할아버지인 체 장수 영감에게서 비롯된 거으로, 체 장수의 외손자인 성기와 체 장수의 딸인 계연의 결합은 불가능해집니다. 이와 같이 이 소설의 주된 갈등은 운명에 맞서는 인간들의 노력과 대결 과정입니다.
성기는 사랑하는 계연과 정착하려 하지만 운명은 그에게 죽음과 유랑의 길 중 어느 하나만을 강요합니다. 여기서 성기가 유랑을 택한 것은 현실적으로 운명에 대한 순응이나 패배를 뜻하지만, 그 내면에는 한국인의 의식 속에 흐르는 극기, 달관의 의지가 담겨 있습니다. 자연법칙과 인간의 생명이 하나의 원리에서 조화되는 세계를 그리는 작가의 작품 세계를 엿볼 수 있습니다.
◈ 성기의 선택
이 작품의 결말에는 세 갈래 길이 등장하는데 이는 성기가 처한 운명을 상징하며, 성기가 택한 '하동'쪽은 자신에게 주어진 운명과 역마살을 따르는 길이라 할 수 있습니다.
화갯골(쌍계사) | 선택(운명) → | 하동 | → | 구례 |
성기가 살아온 곳 | 성기가 떠난 길 | 계연이 떠난 길 |
◈ 성기가 하동 쪽으로 향하는 이유
계연과의 인연을 뒤로하고 자신의 운명에 순응하여, 앞으로는 자신의 삶을 살아가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옥화가 계연을 떠나보내는 이유
옥화는 아들 성기가 사랑하는 여인인 계연이 자신의 이복동생임을 알게 되면서 계연을 며느리로 삼으려 했던 마음을 접게 됩니다. 따라서 불가능한 사랑을 하는 두 사람을 떼어 놓기 위해서 계연이 아버지인 체 장수 영감을 따라가게 하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김동리의 역마의 주요 내용을 문답 형식으로 정리하며 마치겠습니다.
1) 이 소설의 시점은? 전지적 작가 시점
2) 이 소설의 공간적 배경은? 화개 장터
3) 제목이 의미하는 바는? 인물의 역마살(운명)
4) 옥화가 계연과 자신의 관계를 의심하게 된 계기는? 계연의 왼쪽 귓바퀴 위 검정 사마귀
5) 옥화가 계연과 성기를 헤어지게 한 이유는? 혈연관계이므로
6) 옥화나 성기의 삶의 태도를 한마디로 말하면? 운명론적 태도
7) 성기의 운명을 암시하는 소재는? 엿판
8) 성기가 길을 떠나면서 콧노래를 부른 이유는? 운명을 받아들이고 마음이 가벼워졌기 때문에
이상 김동리 소설 역마의 줄거리, 역마살과 세 갈래 길의 의미, 화개 장터와 운명의 순환성, 인물 소개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현대소설 이해] 이광수 무정 정리 분석 줄거리. 무정의 문학사적 의의
[현대소설 이해] 황순원 독 짓는 늙은이 정리 분석 줄거리. 송영감의 독 짓기 의미
'읽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휘] 경제. 법률과 관련된 어휘. 염가 상설 추산 분기 관습 (0) | 2024.05.13 |
---|---|
[어원.유래] 단위와 관련된 어원 유래/조선시대 도량형/국제 단위계/신발 의류 옷 사이즈표 (0) | 2024.05.08 |
현대소설 이해/이청준 소문의 벽 해석 분석 줄거리. 소문의 벽 액자식 구성 (19) | 2024.05.01 |
이상화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해석 분석 정리. 푸른 웃음 푸른 설움 제목의 의미 (21) | 2024.04.24 |
면담과 토의의 개념 특징 정리. 면담 과정 토의 규칙 방법 (5) | 2024.04.20 |
점층법 점강법 과장법. 열거법 연쇄법 정리 설명 예시문. 동해 바다 점층법 (12) | 2024.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