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고전시가에 등장하는 자연 친화와 관련된 어휘와 사자성어 그리고 강호가도, 고전 문학에서의 '역군은 이샷다'와 '빈'의 의미를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고전 시가에 나타나는 자연 친화와 관련된 어휘는 다양한데요.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고전 시가의 자연 친화와 관련된 어휘
1. 강호 : 1) 강과 호수를 아울러 이르는 말입니다. 2) (옛날에) 시인이나 정치인 등이 현실을 도피하여 살던 시골이나 자연을 의미합니다.
★고전 시가에서 '강호'는 단순히 강과 호수가 아니라 옛사람들이 현실을 떠나 지냈던 자연을 의미합니다.
강호가도 : 강호에서 시인들이 자연을 벗삼으며 일으킨 시가 창작의 한 경향입니다.
강호한정 : 강호가도에 담긴 한가로운 심정을 의미합니다.
2. 은거 : 1) 세상을 피하여 숨어서 사는 것을 의미합니다. 2) 벼슬자리에서 물러나 한가로이 지내던 일을 의미합니다.
▶ 방옹시여 : 정계에서 밀려난 신흠이 은거 상황을 배경으로 창작한 시조 작품을 모아 놓은 것입니다.
3. 은자 : 은자는 속세를 떠나 자연 속에 은거하며 평생을 살아간 사람들입니다. 이들은 부정적 현실을 피해 자연 속에서 살았습니다. ★하지만 꼭 부정적인 세상을 피해서가 아니라 벼슬자리에서 물러나 자연 속에서 살아가며 은거하는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4. 풍류 : 풍류는 멋스럽고 풍치가 있는 일. 또는 그렇게 노는 일을 의미합니다.
예) '거문고와 노래'는 매화가 불러일으킨 시흥을 즐기기 위한 풍류적 요소입니다.
멋스럽다 : 보기에 썩 좋으며 훌륭하다는 의미입니다.
풍치 : 격에 맞는 멋을 의미합니다.
풍류 : 격에 맞추어 훌륭하게 노는 것입니다.
흥취 : 즐거움을 일어나게 하는 감정을 의미합니다.
5. 자규(子規): 두견과의 새. 한국, 일본, 말레이시아 등지에 분포합니다.
'자규'는 다른 말로 '두견새' 또는 '귀촉도'라고 불립니다. 시가에 자주 등장하여 한(恨)이나 슬픔을 나타냅니다.
실솔(蟋蟀): 실솔은 귀뚜라미이며, 귀뚜라미도 시가에 종종 등장하여 가을이라는 계절감을 환기하거나 쓸쓸한 정서를 나타냅니다.
6. 사립문 : 사립문은 사립짝(나뭇가지를 엮어서 만든 문짝)을 달아서 만든 문입니다.
양반들이 격식 있게 대문을 만든 것과 달리 서민들이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싸리나무를 엮어 만든 문이 사립문입니다. 처음에는 싸리를 엮어 만들어 '사립문'이라고 불렀는데 나중에는 서민들 집의 대문을 통칭하는 말로 쓰였습니다.
7. 탈속 : 1) 부나 명예와 같은 현실적인 이익을 추구하는 마음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2) 속세를 벗어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세속적 : 높은 이상이나 종교적 믿음이 없어 세상의 일반적인 풍속을 따르는 것을 의미합니다.
탈속 : 세상의 풍속을 벗어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세상의 일반적인 풍속이란 돈이나 권력과 같은 현실적인 이익을 추구하는 것을 말합니다.
8. 고황 : 심장과 횡경막의 사이. 이 사이에 병이 생기면 낫기 어렵다고 합니다.
고황 : 고항은 고치기 어려운 병을 의미합니다.
천석고황 : 자연을 몹시 사랑하여 고치기 어려운 병이 된 것을 의미합니다. 비슷한 말로 '연하고질'이 있습니다.
9. 홍진(紅塵) : 1) 거마(車馬)가 일으키는 먼지를 의미합니다. 2) 번거롭고 속된 세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홍진은 '붉은 먼지'라는 뜻으로, 차나 말이 지나다니면서 일으키는 먼지를 의미합니다. 그런데 ★사람들이 일으키는 이 먼지가 속세의 어지러운 모습을 나타내기 때문에 '속세'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됩니다.
10. 공명 : 공을 세워서 자기의 이름을 널리 드러냄. 또는 그 이름을 의미합니다.
부귀공명 :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으며 공을 세워 이름을 떨친다는 의미입니다.
출세 : 공명과 비슷한 말로, 사회적으로 높은 지위에 오르거나 유명하게 되는 곳을 의미합니다.
11. 군은 : 군은은 임금의 은혜를 의미합니다. (=성은, 역군은)
'성은이 망극하옵니다'에서의 '성은'도 '임금의 은혜'입니다. 그리고 종종 자연을 노래한 시가에서 '역군은'이라는 말이 나오는데요. 이것 또한 '임금님의 은혜'라는 뜻입니다.
예) 이 몸이 한가하옴도 역군은이샷다. 맹사성의 '강호사시가' 중에서
더 알아보기. 강호가도(江湖歌道)
우리 선조들은 노장사상의 영향을 받아 자연을 인간과 더불어 살아가는 친화적 대상으로 인식했습니다. 특히 조선 시대 사대부들의 '이상적인 삶'은 벼슬에 나아가 나라를 위해 몸 바쳐 일하고 은퇴 후 자연과 하나 되어 살아가는 것이었습니다.
연산군 이후 계속되던 당쟁으로 벼슬길에서 일신을 보전하는 일이 어렵게 되자 스스로 정치적 소용돌이에서 벗어나 자연에 파묻혀 사는 삶을 더욱 지향했습니다. 이처럼 자연 속에서 유유자적한 삶을 살아가려면 경제적인 여유가 뒷받침되어야 가능했는데요. 정치적, 경제적 요건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형성된 조선 시대의 자연 예찬 문학의 한 사조를 '강호가도'라 합니다.
★조선 시대 사대부(士大夫)는 '사(士)'와 '대부(大夫)'의 두 가지 정체성을 갖고 있었습니다. 이에 사대부들이 창작하고 향유했던 시가 작품에는 이 두 가지 태도가 함께 드러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 사(士) : 선비로서 자신의 마음을 갈고 닦음. 도학적 자세로 자연 속에 묻혀 살며 인격을 수양하고 자연과 하나가 되어 풍류를 즐기는 삶을 예찬함.
▶ 대부(大夫) : 벼슬길에 나아가 신하로서 관직 수행을 제대로 함. 자연 속에서 즐길 수 있는 것은 임금의 은혜 덕분이라고 생각 하며 신하로서 나라와 임금을 걱정하는 충(忠)의 마음을 드러냄.
'역군은(亦君恩)이샷다' 의미
★역(亦 또한) 군(君 임금) 은(恩 은혜) + 이시다
이 모든 것은 '임금의 은혜 덕분이다'라는 의미로 임금의 선정(善政)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표현을 통해 임금을 향한 칭송과 감사의 마음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고전 문학에서 '빈(貧)'의 의미
고전 문학에서 '빈'은
1) 가난한 삶 2) 사사로운 욕심에 지배받지 않는 태도 3) 청빈한 삶의 태도를 의미합니다.
주로 가난한 삶을 의미함과 동시에 청렴결백하고 자신의 분수를 알며 남의 것을 탐내지 않고 가진 것에 만족할 줄 아는 삶의 자세를 가키는 의미로 사용했습니다.
자연 속에 묻혀 살아가는 삶과 관련된 사자성어 (한자성어)
1) 안빈낙도(安貧樂道) : 가난한 생활을 하면서도 편안한 마음으로 도를 즐겨 지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2) 안분지족(安分知足) : 편안한 마음으로 제 분수를 지키며 만족할 줄을 아는 것을 의미합니다.
3) 단표누항(簞瓢陋巷) : 누항에서 먹는 한 그릇의 밥과 한 바가지의 물이라는 뜻이며, 선비의 청빈한 생활을 의미합니다.
4) 산림처사(山林處士) : 벼슬을 하지 않고 세속을 떠나 산골에 파묻혀 글이나 읽고 지내는 선비를 의미합니다.
위 사자성어들과 반대의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로는 '청운지지'가 있습니다.
청운지지(靑雲之志) : 높은 지위에 오르고자 하는 욕망을 의미합니다.
이상 고전시가에 등장하는 자연 친화와 관련된 어휘와 사자성어 그리고 강호가도, 고전 문학에서의 '역군은 이샷다'와 '빈' 의미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출처 및 참고 - 어휘가 독해다 고교, EBS, 김수학 외)
[국어 개념] 고전 시가의 흐름과 특징. 고대 가요. 향가. 고려 가요. 경기체가. 악장
'읽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어 개념]운율 형성 방법 요소. 반복을 통한 운율 형성. 수미 상관 구조 역할 (12) | 2023.06.05 |
---|---|
[어휘.사자성어] 수면 잠과 관련된 한자 어휘 사자성어 오침 오수 가장 오래 자는 동물 (7) | 2023.06.02 |
[어휘] 고전 시가/선조들의 삶/시간과 관련된 한자 어휘/십이간지 십이지신 시간 정리 (11) | 2023.06.01 |
[순우리말] 식물의 이름과 관련된 순우리말. 가다귀 갈목 강대 남새 도래솔 다복솔 장다리꽃 (8) | 2023.05.27 |
[국어개념] 극과 수필의 흐름과 특징. 창극 신파극 고전 수필 계화 계몽 수필 (12) | 2023.05.25 |
하이쿠의 특징 유래. 마쓰오 바쇼 하이쿠 모음 (10) | 2023.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