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읽다

[국어개념] 극과 수필의 흐름과 특징. 창극 신파극 고전 수필 계화 계몽 수필

반응형

오늘은 극의 흐름과 특징(민속극, 창극, 신파극, 근대적 희곡)과 수필의 흐름과 특징(고전 수필, 개화·계몽 수필, 현대 수필) 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각 시대를 정리한 후 극과 수필의 흐름과 특징을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극의 흐름과 특징

고대를 시작으로 하여 광복까지 극의 흐름과 특징을 4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요. 먼저 각 시대를 간략히 정리한 후 단계별로 순서에 맞게 정리하겠습니다.

 

 

 

 

고대

 

조선 : 조선 건국(1392) - 임진왜란(1592) - 갑오개혁(1894)

 

일제강점기 : 3·1운동(1919)

 

광복 : 광복(1945) - 6·25 전쟁(1950) - 4·19 혁명(1960) - 5·18 민주화운동(1980)

 

 

 

 

 

 

극의 흐름을 4단계로 나누면,

1) 민속극의 발달 2) 창극, 신파극의 인기 3) 근대적 희곡의 등장 4) 극 문학의 다양화입니다. 바로 순서대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민속극의 발달

민속극은 사람들 사이에서 전하여 내려오는 극 양식으로 가면극과 인형극 등이 있습니다. 고대 제천 의식에서 출발하였으며, 조선 후기 평민들의 의식이 발달하면서 성장했습니다. 이에 평민들의 언어와 생활이 잘 드러나 있으며, 내용은 주로 지배층에 대한 비판 의식입니다.

 

 

 

민속극의 대표 경향과 작품으로는

가면극 : 가면을 쓰고 공연하는 민속극이며, '봉산 탈춤', '하회 별신굿 탈놀이' 등이 있습니다.

인형극 : 무대 뒤에서 인형을 조종하는 민속극이며, '꼭두각시놀음' 등이 있습니다.

 

 

 

2. 창극, 신파극의 인기

개화기부터 1910년대에는 민속극이 급격하게 쇠퇴하고 판소리와 서양의 연극이 결합된 형태인 창극, 대중적 정서를 다룬 일본의 신파극이 인기를 끌었습니다.

 

 

 

3. 근대적 희곡의 등장

1910년대에는 희곡이 현대적 모습을 갖추기 시작하였고, 1920년대에 '극예술 협회', '토월회'가 결성되면서 근대적 희곡이 본격으로 창작되었습니다. 

 

 

1930년대에는 '극예술 연구회'를 중심으로 사실주의 극이 확립되었다. 또한 유성 영화(소리가 있는 영화)가 도입되었고, 저항적 주제의 시나리오 작품들이 창작되었습니다.

 

 

 

4. 극 문학의 다양화

광복 이후에는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한 역사극이 많이 창작되었으며, 6·25 전쟁 이후에는 풍자극이나 고발극이 주로 창작되었습니다. 1970년대 이후에는 서사극, 부조리극 등 다양한 기법을 시도한 희곡이 창작되었고, 주제도 더 다양화되었습니다.

 

 

 

극 문학의 대표 작가와 작품으로는 

이강백의 '들판에서' : 상징적이고 우의적인 기법으로 분단에 대한 극복 의지를 표현한 희곡입니다.

차범석의 '불모지' : 1950년대 전후의 불안한 사회 상황을 다룬 사실주의 희곡입니다.

이근삼의 '원고지' : 현대인의 기계적인 삶에 대해 풍자한 부조리극 기법의 희곡입니다.

오태석의 '춘풍의 처' : 고전 작품을 현대적으로 각색하여 세속적 인물을 풍자한 희곡입니다.

 

 

 

 

수필의 흐름과 특징

고대를 시작으로 하여 광복까지 수필의 흐름과 특징을 4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요. 먼저 각 시대를 간략히 정리한 후 단계별로 순서에 맞게 정리하겠습니다

 

 

 

 

고대

 

고려 : 고려 건국(918)

 

조선 : 조선 건국(1392) - 훈민정음 창제(1443) - 임진왜란(1592) - 갑오개혁(1894)

 

일제강점기 : 3·1 운동(1919)

 

광복 : 광복(1945) - 6·25 전쟁(1950) - 4·19 혁명(1960) - 5·18 민주화 운동(1980)

 

 

 

수필의 흐름을 4단계로 나누면,

1) 고전 수필의 발달 2) 개화·계몽 수필의 등장 3) 현대 수필의 정착 4) 수필 문학의 발전입니다. 바로 순서대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고전 수필의 발달

고려 시대부터 한문 수필이 발달하기 시작하였고, 조선 후기에는 한글 수필들이 창작되었습니다. 고전 수필에는 중국 한문 형식을 빌려 사물의 성격을 삶의 철학과 연결하여 표현한 '설(說)' 에서부터 일기, 기행문, 궁중 수필, *내간체 등이 있습니다.

 

 

*내간체 : 부녀자들 사이에서 오가는 편지의 서체

 

 

 

 

고전 수필의 경향과 대표 작가, 작품으로는

 

: 이규보의 '이옥설', 이곡의 '차마설'

 

일기 : 어느 궁녀의 '산성 일기', 의유당의 '의유당일기'

 

기행문 : 박지원의 '일야구도하기'

 

궁중수필 : 혜경궁 홍씨의 '한중록'

 

 

 

 

2. 개화·계몽 수필의 등장

개화기에는 개화·계몽의 성격을 띤 수필들이 창작되었으며, 1910년대에는 '청춘', '창조' 등의 잡지에 계몽적·기행적 수필이 주로 창작되었습니다.

 

 

 

 

3. 현대 수필의 정착

1920년대에는 현대 수필의 초창기로 우리 국토에 대한 애정을 담은 수필이 주로 창작되었습니다. 1930년대에는 본격적인 수필 유형이 정립되고 다양한 소재를 다루게 되면서 수필 문학이 크게 성장했습니다. 1940년대에는 일제의 억압 정책으로 암흑기가 되었습니다.

 

 

대표 작가와 작품으로는,

나도향의 '그믐달',  이상의 '권태' , 이태준의 '파초', 김구의 '백범일지' 등이 있습니다.

 

 

 

 

4. 수필 문학의 발전

6·25 전쟁 이후 혼란한 사회를 겪으며 예술정을 강조한 서정적 수필뿐만 아니라 사회적 의미를 다룬 교훈적 수필 등 다양한 수필이 창작되었습니다. 1970년대 이후에는 다양한 소재의 수용, 수필집의 발간, 수필가의 확대 등으로 수필 문학의 발전이 이루어졌습니다.

 

 

대표 작가와 작품으로는,

김용준의 '게', 이희승의 '딸깍발이', 피천득의 '은전 한 닢' , 법정의 '무소유', 김소운의 '가난한 날의 행복', 장영희의 '괜찮아' 등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법정 스님의 현대 수필 '설해목' 본문을 안내하며 마치겠습니다.

 

 

 

 

 

법정  설해목

해가 저문 어느 날, 오막살이 토굴에 사는 노승 앞에 더벅머리 학생이 하나 찾아왔다. 아버지가 써 준 편지를 꺼내면서 그는 사뭇 불안한 표정이 있다. 

 

 

사연인즉, 이 망나니를 학교에서고 집에서고 더 이상 손댈 수 없으니, 스님이 알아서 사람을 만들어 달라는 것이었다. 물론 노승과 그의 아버지는 친분이 있는 사이였다. 

 

 

편지를 보고 난 노승은 아무런 말도 없이 몸소 후원에 나가 늦은 저녁을 지어 왔다. 저녁을 먹인 뒤 발을 씻으라고 대야에 가득 더운 물을 떠다 주었다. 이때 더벅머리의 눈에서는 주르륵 눈물이 흘러내렸다.

 

 

그는 아까부터 훈계가 있으리라 은근히 기다려지기까지 했지만 스님은 한 마디 말도 없이 시중만을 들어 주는 데에 크게 감동한 것이다. 훈계라면 진저리가 났을 것이다. 그에게는 백 천 마디 좋은 말보다는 다사로운 손길이 그리웠던 것이다.

 

 

이제는 가고 안 계신 한 노사(老師)로부터 들은 이야기다. 내게는 생생하게 살아 있는 노사의 모습이다.

 

 

산에서 살아 보면 누구나 다 아는 일이지만, 겨울철이면 나무들이 많이 꺾인다. 모진 비바람에도 끄떡 않던 아름드리나무들이, 꿋꿋하게 고집스럽기만 하던 그 소나무들이 눈이 내려 덮이면 꺾이게 된다. 가지 끝에 사뿐 사뿐 내려 쌓이는 그 가볍고 하얀 눈에 꺾이고 마는 것이다.

 

 

깊은 밤, 이 골짝 저 골짝에서 나무들이 꺾이는 메아리가 울려올 때, 우리들은 잠을 이룰 수 없다. 정정한 나무들이 부드러운 것 앞에서 넘어지는 그 의미 때문일까. 산은 한 겨울이 지나면 앓고 난 얼굴처럼 수척하다.

 

 

사밧티의 온 시민들을 공포에 떨게 하던 살인귀 앙굴리말라를 귀의시킨 것은 부처님의 불가사의한 신통력이 아니었다. 위엄도 권위도 아니었다. 그것은 오로지 자비였다. 아무리 흉악무도한 살인귀라 할지라도 차별 없는 훈훈한 사랑 앞에서는 돌아오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바닷가의 조약돌을 그토록 둥글고 예쁘게 만든 것은 무쇠로 된 정이 아니라, 부드럽게 쓰다듬는 물결이다.

 

 

 

 

이상 극의 흐름과 특징(민속극, 창극, 신파극, 근대적 희곡)과 수필의 흐름과 특징(고전 수필, 개화·계몽 수필, 현대 수필)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출처 및 참고 - 우공비 중학 국어 문학3, 홍범준, 좋은책 신사고)

 

 

 

 

[국어 개념] 고전 소설의 흐름과 특징. 설화 신화 한문학 가전체 한문 소설

 

[국어 개념] 고전 소설의 흐름과 특징. 설화 신화 한문학 가전체 한문 소설

오늘은 고전 소설의 흐름과 흐름에 대한 특징(설화, 신화, 한문학, 가전체, 한문 소설)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고전 소설은 19세기 이전에 창작된 소설을 이르는 말이며 우리나라의 경우 신소설

nocturne13.tistory.com

 

 

[국어 개념] 현대시의 흐름과 경향 특징. 개화기 광복직후 1990년대 이후

 

[국어 개념] 현대시의 흐름과 경향 특징. 개화기 광복직후 1990년대 이후

오늘은 현대시의 흐름과 경향 특징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현대시의 흐름은 개화기를 시작으로 해서 1990년대 이후까지 크게 8단계로 구분됩니다. 먼저 각 시대별 역사적 특징을 간략히 정리한

nocturne1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