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읽다

어휘의 유형 분류(2) 사용 양상. 사회 문화적 배경 따른 분류. 은어 관용어 완곡어

반응형

오늘은 사용 양상과, 사회 문화적 배경에 따른 어휘 분류 2 (은어, 전문어, 유행어, 관용어, 속담, 금기어, 완곡어)에 대해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어휘의 유형은 크게 3가지로 분류되는데요. 오늘은 그 두 번째와 세 번째 분류를 알아보겠습니다.

 

 

 

어휘의 유형 분류

*어휘의 개념은 이전 포스팅 '어휘의 유형 분류(1)' 로 대체하겠습니다.

어휘의 분류는 크게 3가지로 나뉘는데요. 기원과 유래에 따른 어휘의 분류, 사용 양상에 따른 어휘의 분류, 사회 문화적 배경이 담겨 있는 어휘의 분류입니다. 이중 사용 양상에 따른 어휘의 분류와 사회 문화적 배경이 담겨 있는 어휘의 분류를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관용어는 둘 이상의 단어들이 모여서 하나의 관습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말입니다

 

사용 양상에 따른 어휘의 분류

사용 양상에 따른 어휘의 분류에는 은어와 전문어 그리고 유행어가 있습니다.

 

 

은어

은어(隱語)는 어떤 집단에서 다른 사람들이 알아듣지 못하도록 자기네 구성원끼리만 사용하는 말입니다. 일종의 암호와 같은 말이며 암호의 특성 대로 집단 내의 비밀을 지키려는 목적을 두고 만든 말입니다. 그러므로 은어를 사용하는 집단 구성원들 사이의 소속감과 동질감을 높여 주지만 이를 모르는 이에게는 소외감과 이질감을 느끼게 합니다.

 

 

또한 은어가 일반 사회에 알려지면 그 단어는 은어로서의 기능을 잃게 됩니다. 그러나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은어를 사용하면 은어를 알지 못하는 사람들과는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므로 적절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은어의 대표적인 예로,

청과물 시장에서 수를 나타내는 은어인, '1-먹주, 2-대, 3-삼패, 4-을씨, 5-을씨본, 6-살, 7-살본, 8-땅, 9-땅본, 10-주' 가 있습니다.

 

 

 

전문어

전문어(專門語)는 전문성이 필요한 특정 분야에서 그 일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거나 전문적인 개념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말입니다. 일반 사회에서 별로 사용하지 않는 전문 개념을 표현하는 말이기 때문에 의미가 정확하고 자세한 편입니다. 그러므로 다의성이 적고, 대응하는 일반 어휘가 없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외국어나 외래어 혹은 의미가 세분화된 한자어가 많습니다.

 

 

전문어는 일반 사회에서 기본 어휘로 사용되는 경우가 적어 일반인은 잘 모르기 때문에 은어와 비슷하게 소외감이나 이질감을 느끼게 합니다. 간혹 병원을 방문했을 때 풀이되지 않은 설명을 들을 때 어려움을 겪었던 경험이 있는데요. 이것이 전문어를 사용하며 의사소통을 했을 경우 겪는 어려움의 예라 할 수 있습니다.

 

 

전문어의 예로,

병원에서 사용하는 의학 전문 용어인 '어레스트', '씨저', ' 시피아르' 등이 있습니다.

예) 보호자 : 선생님 수술은 어떻게 진행이 되었나요?

전문의 : 수술 중에 어레스트가 있었지만, 다행히 씨저는 없었고, 시피아르를 계속하며 수술을 진행해서 결과 양호합니다.

 

 

위의 전문어를 일상어로 바꾸면,

예) 보호자 : 선생님 수술은 어떻게 진행이 되었나요?

전문의 : 수술 중에 심장이 갑자기 멈추는 일이 있었지만 다행히 발작은 일으키지 않았습니다. 심폐 소생술을 계속하며 수술을 진행했더니 무사히 회복 하여 결과가 좋습니다.

 

 

위와 같이 전문어를 사용하는 것은 전문 분야의 효율성을 위해 필요하지만, 상황과 맥락에 맞춰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행어 

유행어(流行語)는 비교적 짧은 시기에 걸쳐 여러 사람의 입에 오르내리는 단어나 구절, 문장 등을 이르는 말입니다. 보통 대중 매체 및 정보 통신의 발달이 유행어를 더욱 많이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유행어는 특정 시기의 세태를 반영하여 당시 사람들의 생각과 감정을 보여 주기도 하고, 현실에 대한 비판과 풍자를 담고 있기도 해서, '시대의 거울'이라고도 합니다. 기존의 표현보다 기발하고 신선한 느낌을 주기도 해서 적절히 사용했을 경우에는 대화의 분위기를 가볍게 이끌어 갈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지나치게 사용할 경우에는 진지하지 못하거나 자칫 예의 없이 느껴질 수 있고, 개성이 없어 보일 수 있습니다. 또한 유행어를 잘 모르는 사람과는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므로 상대방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유행어의 예로,

뭣이 중헌디!, 뻥이야!, 히트다 히트, 득템, 대박, 깜놀, 레알 등이 있습니다.

 

 

이밖에 사용 양상에 따른 어휘의 구분

속어 : 비속하게 하는 말(대가리, 개고생, 골 때리다 등)

새말 : 문화의 변화에 따라 새로 생겨나는 말(스마트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웹진 등)

 

 

 

사회 문화적 배경이 담겨 있는 어휘의 분류

사회 문화적 배경이 담겨 있는 어휘의 분류에는 관용어와 속담, 금기어와 완곡어가 있습니다.

 

 

관용어와 속담

관용어와 속담

관용어(慣用語)는 둘 이상의 단어들이 모여서 하나의 관습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말입니다. 관용어는 그 관용어를 구성하는 각 단어의 의미의 합만으로는 전체의 뜻을 정확하게 알기 어렵습니다.

 

 

관용어의 예로,

1) 나는 이번 시험에서도 미역국을 먹었습니다.(미역국을 먹다.)

2) 입에 풀칠하기도 어려운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입에 풀칠하다)

3) 나는 자식에 관한 일이라면 눈에 불을 켜고 달려들었습니다. (눈에 불을 켜다)

 

 

 

위의 '미역국을 먹다', '입에 풀칠하다', '눈에 불을 켜다'는 모두 관용어입니다. 

1) 미역국을 먹다

미역국과 먹다는 말이 모여, '시험에 떨어지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2) 입에 풀칠하다

입과 풀칠하다는 말이 모여, '근근이 겨우 살아가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3) 눈에 불을 켜다

눈과 불, 켜다라는 말이 모여, '몹시 욕심을 내거나 관심을 기울이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위와 같이 관용어를 구성하는 각 단어들의 개별적인 의미는 관용어의 의미와 바로 연결되지는 않지만, 오랜 세월 동안 관습적으로 사용되면서 특정한 의미를 갖게 되는 한 덩어리의 말로 굳어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관용어와 비슷한 특성으로 속담이 있습니다. 속담(俗談)은 우리 조상들이 오랜 생활에서 얻은 지혜와 교훈이 담겨 있는 데요. 관용어와 비슷하면서도 다른 점은 속담에는 지혜와 교훈이 담겨 있다는 점입니다.

 

 

속담의 예로,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는 아무도 안 듣는 곳에서도 늘 말조심을 해야 한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이처럼 관용어와 속담은 오랫동안 사용된 말이기에 우리 조상들의 생활문화와 의식을 엿볼 수 있으며 일반적인 표현보다 상황을 간결하고 비유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금기어와 완곡어

금기어(禁忌語)는 불길하거나 불쾌한 것을 나타내거나 생각나게 해서 사람들이 피하는 말입니다. 주로 죽음이나 질병 범죄 배설 등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터부(taboo) : 어떤 사회에서 신성하거나 속된 것, 또는 깨끗하거나 부정하다고 인정된 사물, 장소, 행위, 인격, 말 등에 관하여 접촉하거나 꺼리고, 그것을 어기면 천벌을 받는다고 믿는 풍속입니다.

 

 

금기어의 예로,

죽다, 변소, 똥이 있습니다.

 

 

이와 같은 금기어를 불가피하게 사용해야 할 경우 이를 대체해서 사용하는 말을 두고 완곡어라 합니다.

완곡어(婉曲語)는 금기어를 부드럽게 돌려서 표현한 말입니다. 

 

 

*완곡(婉曲) : 듣는 사람의 감정이 상하지 않도록 말하는 투가 모나지 않고 부드러움.

 

 

완곡어의 예로,

위 금기어에서의 '죽다'를 '돌아가다', '변소'를 '화장실', '똥'을 '대변'이라 합니다.

 

 

 

이상 사용 양상과, 사회 문화적 배경에 따른 어휘 분류 2 (은어, 전문어, 유행어, 관용어, 속담, 금기어, 완곡어)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어휘의 유형 분류(1) 기원과 유래에 따른 어휘 분류. 순우리말 한자어 외래어

 

어휘의 유형 분류(1) 기원과 유래에 따른 어휘 분류. 순우리말 한자어 외래어

오늘은 기원과 유래에 따른 어휘 분류 1 (순우리말, 한자어, 외래어)에 대해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어휘의 유형 분류는 크게 3가지로 나뉘는데요. 오늘은 그 첫 번째 분류를 알아보겠습니다. 어

nocturne13.tistory.com

 

 

가슴 손 발과 관련된 관용구. ㄱ으로 시작하는 관용구

 

가슴 손 발과 관련된 관용구. ㄱ으로 시작하는 관용구

오늘은 가슴과 손, 발과 관련된 관용구와 'ㄱ'으로 시작하는 관용구를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관용구는 두 개 이상의 단어가 결합해 특별한 의미로 사용되어 하나의 단어처럼 취급됩니다. 또한

nocturne1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