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읽다

[그림]이암, 모견도(母犬圖), 화조구자도(花鳥狗子圖) 옛 그림 속에서 개의 의미

반응형

조선시대 동물 그림의 대가들로 이암, 김식, 변상벽 등이 있는데요.

오늘은 동물 그림의 대가 중

이암과 그의 작품 '모견도'와 '화조구자도'

그리고 옛 그림 속에서 '개의 의미'를 설명하겠습니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 참고)

 

 

이암의 모견도,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

 

 

 

조선시대 동물 그림의 대가,

이암과 그의 그림 '모견도(母犬圖)'

 

 

이암 : 조선초(1499-미상)

 

이암의 생애에 대해서는 별로 알려진 것이 없으나,

<패관잡기>, <연려실기술>에는 그의 높은 화명에 대해 기록되어 있습니다.

 

 

세종대왕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의 증손으로,

새와 동물 그림을 잘 그려서 일본에도 널리 알려진 작가입니다.

이암은 친척 중 종실 화가들이 있어

중국에서 들여온 궁중 장식풍의 그림들을 접할 기회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화원이 아니었음에도 이에 영향을 받아

장식적인 그림을 많이 그렸습니다.

 

 

'모견도(母犬圖)'에서

어미개는 누군가 새끼를 건드릴까봐

본능적으로 고개를 쳐들고 있습니다.

 

또한 빨간 술이 달린 목걸이와 방울이 고급진 것을 보니

당시 궁중이나 고관의 개임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새끼 강아지들을 품고 있는 어미개 곁에는

낮잠을 자고 있는 새끼와 물끄러미 어미를 바라보는 새끼들이

너무나 천진난만하게 어미개와 지내고 있습니다.

 

 

이처럼 이암은 한국적인 정서를 담고 있는

강아지 그림의 제 일인자로 꼽혔습니다.

이런 그의 동물 화풍은 후기 김식의 '소', 변상벽의 '고양이' 등으로

그 전통이 이어집니다. 

 

 

또한 일본의 화가 소다츠의 강아지 묘법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유작으로는 모견도, 화조구자도, 화조묘구도, 견도 등이 있습니다.

 

 

이암의 '화조구자도(花鳥狗子圖)'

 

이암의 화조구자도,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

 

 

꽃나무 아래에서 쉬고 있는 강아지를 중심으로 봄날의 정취를 표현한 그림입니다.

나무 위에는 새 한 쌍이 쉬고 있고

한쪽에서는 나비가 날아오고 있습니다.

나무 아래에는 낮잠을 자는 강아지와 벌레를 가지고 노는 천진한 

강아지의 모습이 정감 있게 표현되어 있습니다.

 

 

옛 그림 속에서 개의 의미

 

한자로 '나무 수'는 한자 '지킬 수'와 소리가 같습니다.

그래서 개를 그릴 때는

집을 더 잘 지키라는 의미로 나무와 함께 그렸습니다.

 

 

개는 온순하고 영리하여 사람의 뜻을 잘 따르고

주인에게 충성심을 보이는 특징 때문에 집 지킴은 물론

사냥, 안내, 수호신 역할뿐 아니라,

잡귀와 병, 도깨비, 요귀 등

재앙을 물리치는 벽사의 능력과

미리 재난을 경고하여 예방해준다 믿었습니다.

 

 

▶ 황구 : 다산과 풍년

▶ 진돗개 : 용맹과 충성

▶ 삽살개 : 귀신 또는 액운을 쫓음

 

 

이상 이암의 그림 모견도, 화조구자도, 그리고 옛 그림 속에서 개의 의미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그림,한시] 신사임당의 그림 초충도와 초서, 한시 사친과 유대관령망친정

 

[그림,한시] 신사임당의 그림 초충도와 초서, 한시 사친과 유대관령망친정

오늘은 조선시대 대표적인 여류 문인이었던 신사임당의 일대기와 그림 초충도와 초서 병풍, 그리고 한시, 사친(思親)과 유대관령망친정(踰大關嶺望親庭)을 설명하겠습니다. - 조선시대 대표 여

nocturne13.tistory.com

 

그림 변월룡의 진달래(어머니)와 시 이해인의 진달래

 

[그림,시] 그림 변월룡의 진달래(어머니)와 시 이해인의 진달래

오늘은 그림 한 편과 시 한 편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두 작품 모두 제목은 '진달래' 이며 그림은 작가 변월룡 시는 작가 이해인 수녀님의 작품입니다. - 작가 변월룡의 그림, 진달래 - 작가 이해

nocturne1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