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읽다

현대소설 이해/이문구 유자소전 해석 분석 줄거리.전 양식 설명

반응형

오늘은 이문구의 소설 유자소전을 해석 분석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전체 줄거리를 살펴보고 방언 사용의 효과와 전(傳)의 양식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이문구 유자소전 해석 분석

1. 유자소전 전체 줄거리 
▶발단 : 유자, 선비의 덕을 지니다.
 
이른바......선비적인 덕량의 본보기라 하지 않을 수 없는 친구였다.
 
작가인 '나'에게는 유재필이라는 친구가 있다. 그는 심성이 밝고 깔끔하며 매사에 생각이 깊고 침착한 인물로, 남의 아픔을 자신의 아름으로 여길 줄 아는 선비의 덕을 지닌 인물이기에 '나'는 그를 '유자'라고 부른다.
 
 
▶전개 : 유자, 정계에 몸담다 총수의 운전기사가 되다.
 
그는......붙임성이 있었고, ......두름성이 있었으며, ......눈썰미와 손속이 뛰어난 터수였다.
 
유자는 어릴 적부터 입담이 좋고 넉살이 많아 명물로 불리며 인기가 많았다. 중학교 졸업 이후 정치 식객들과 어울리던 유자는 야당 위원장의 일을 돕는다. 4·19 혁명 이후 선거에 당선된 위원장을 따라 상경한 유자는 의원 비서관으로 지내다가 5·16 사건으로 냑향하여 군에 입대한다. 제대 후 고향에서 택시를 몰던 유자는 투철한 직업의식과 장인 정신 덕분에 서울에서 재벌 총수의 운전기사가 된다.
 
 
▶ 위기 : 유자, 총수의 위선을 목격하고 결국 쫓겨나다.
 
"너, 너....., 너 오늘부터 내 집에서 당장 나가."
 
유자는 비싼 비단잉어를 키우고 집 안에 황금 불상을 두고 사는 총수의 위선을 목격하고 그 동안 총수를 모신 일에 회의를 느낀다. 유자는 모두가 부러워하는 총수의 운전기사 자리를 벗어나려 하고, 결국 어는 날 침을 뱉어 불상을 닦다가 총수에게 들켜 쫓겨난다. 
 
 
▶ 절정 : 유자, 노선 상무가 되어 인간의 도리를 실천하다.
 
그는 자신의 양심과 정서를 바탕으로......소임을 다하고자 노력하였다.
 
 
총수에게 쫓겨난 유자는 운수 회사의 노선 상무가 되어 교통사고 처리를 떠맡는다. 더 낮은 보직으로 옮긴 것이었지만 유자는 떳떳하고 속 편하다고 위안을 삼으며, 공명정대하면서도 인간적으로 일을 처리하여 사람들의 존경을 받는다.
 
 
▶ 결말 : 유자, 간암으로 생을 마감하다.
 
이제 찬한다. 유명일 갈렸건만 아직도 그대를 찾음이여.
 
말년에 종합 병원 원무 실장이 된 유자는 6·29 선언 때 시위를 하다가 부상당한 사람들을 치료해 주고 사표를 낸 후 뜻밖의 간암으로 생을 마감한다. 유자는 아는 문인들과 '나'는 유자의 죽음을 애도한다.
 

유자소전 해석 분석 비단 잉어 상징적 의미 전 양식 특징

 
 
2. 이문구의 유자소전 핵심정리
갈래 : 단편 소설, 세태 소설
 
성격 : 전기적, 풍자적, 해학적
 
시점 : 1인칭 관찰자 시점(부분적으로 전지적 작가 시점 혼용)
 
배경
시간적 배경 - 1970년대
공간적 배경 - 서울
 
주제 : 물질 만능주의에 빠진 현대 사회에 대한 비판
 
특징
1) 전통적 '전'의 양식을 차용함.
2) 사투리를 사용하여 향토적 정서를 드러냄.
 
 
◈ 유자소전에서 사용된 중심 소재 '비단잉어' 의 상징적 의미와 역할
비단잉어 : 회사 직원의 몇 사람 치 월급을 넘어서는 비싼 가격
 
1) 유자와 총수 사이에 갈등을 유발함.
2) 상류층의 사치스러움과 허영심을 보여 줌.
3) 총수와 유자의 가치를 보여 주면서 유자의 신념과 소신을 드러냄
4) 물질 만능주의의 가치관을 비판함.
 
 
 
3. 인물소개
1) 유자 : 위선적인 총수를 풍자하고 비꼬며 비판하는 인물.
 
총수가 아끼는 비싼 비단잉어가 죽자 술안주로 요리해 먹음.
 
 
2) 총수 : 상류층의 허영심과 사치스러움을 보여주는 위선적인 인물.
비단잉어를 사람보다 아끼며 비단잉어를 먹은 직원들을 독종들이라고 비난함.
 
 
4. 어휘풀이
1) 이산 : 김광섬의 호.
 
2) 해후 : 오랫동안 헤어졌다가 뜻밖에 다시 만남.
 
3) 장근 : '거의'의 뜻을 나타내는 말.
 
4) 답쌓이다 : 한군데로 들이덮쳐서 쌓이다. 사람이나 사물 따위가 한꺼번에 몰리다.
 
5) 사기 : 중국 한나라의 사마천이 상고의 황제로부터 전한 무제까지의 역대 왕조의 사적을 엮은 역사책.
 
6) 비일비재 : 같은 현상이나 일이 한두 번이나 한둘이 아니고 많음.
 
7) 해감내 : 바닷물 따위에서 흙과 유기물이 썩어서 생긴 찌꺼기의 냄새.
 
8) 귀꿈맞다 : 전혀 어물리지 아니하고 촌스럽다.
 
9) 하꾸라이 : '외래'를 뜻하는 일본 말.
 
10) 고뿔 : '감기'를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11) 혐의자 : 범죄를 저질렀을 것으로 의심을 받는 사람.
 
12) 대관절 : 여러 말 할 것 없이 요점만 말하건대.
 
13) 배참 : 꾸지람을 듣고 화풀이를 다른 데다 함.
 
14) 의뭉 : 겉으로는 어리석은 어리석은 것처럼 보이면서 속으로는 엉큼함.
 
15) 삭이다 : 긴장이나 화를 풀어 마음을 가라앉히다.
 
16) 옹색하다 : 생각이 막혀서 답답하고 옹졸하다.
 
17) 허벅허벅하다 : 과일 따위가 너무 익었거나 딴 지 오래되어서 물기가 적고 퍼석퍼석하다.
 
18) 지금지금하다 : 음식에 섞인 모래나 흙 따위가 거볍게 자꾸 씹히다.
 
19) 덧들이다 : 남을 건드려서 얹짢게 하다.
 
20) 화부 : 기관이나 난로 따위에 불을 때거나 조절하는 일을 맡은 사람.
 
 
◈ 속담. 한자 성어 익히기
1) 외화내빈(外華內賓) : 겉은 화려하나 속은 빈곤함.
 
2) 갑론을박(甲論乙駁) : 여러 사람이 서로 자신의 의견을 주장을 내세우며 상대편의 주장을 반박함.
 
3) 주마간산(走馬看山) : 말을 타고 달리며 산천을 구경한다는 뜻으로, 자세히 살피지 않고 대충대충 보고 지나감을 이르는 말.
 
4) 동분서주(東奔西走) : 동쪽으로 뛰고 서쪽으로 뛴다는 뜻으로, 사방으로 이리저리 몹시 바쁘게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5) 오비이락(烏飛梨落) :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는 뜻으로, 아무 관계도 없이 한 일이 공교롭게도 때가 같아 억울하게 의심을 받거나 난처한 위치에 서게 됨을 이르는 말.
 

방언 사용의 효과

'방언'은 특정한 지역이나 사회 계층에서 사용하는 언어 체계를 뜻하는 말로, 소설에서는 주로 특정 지역을 기반으로 형성되어 해당 지역의 전통과 역사, 정서가 배어 있는 지역 방언이 쓰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작가들은 특정 인물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하거나 사실성, 현장성, 생동감 등을 높이기 위해 방언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유자소전과 전(傳)의 양식

이 작품의 제목은 '유자소전(兪子小傳)'입니다 '전(傳)'은 어떤 특정 인물의 일대기를 요약적으로 서술하고, 교훈적인 내용이나 비판을 덧붙여 일정한 관점에서 평가하는 전기 문학의 한 갈래입니다. '소전(小傳)'이라고 했으니 그중에서도 짧은 전기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전'은 우리나라의 소설 형성 과정에서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측되고 있습니다. <춘향전>, <심청전>, <전우치전>, <흥부전>, 등 고전 소설의 제목이 대부분 '전' 형식으로 되어 있다는 것이 대표적입니다.
 
'전'은 보통 '인물의 출생과 가계 → 인물의 생애를 대표할 만한 일화(삽화) → 인물에 대한 작가의 논평(평가)'의 구조를 지닙니다. 이 작품은 이러한 전통적인 전의 형식에 충실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유자의 출생과 성장 과정에 대한 이야기를 먼저 서술하고, 유자의 품성을 보여 주는 여러 이야기를 시간 순서에 따라 일대기적으로 제시합니다. 그리고 유자의 사망 이후 '이제 찬(讚)한다'라며 유자에 대한 서술자의 평가를 곁들이고 있습니다.
 
이처럼 소설 <유자소전>은 유자라는 인물의 삶을 전통적인 전(傳)의 양식을 차용하여 완성한 작품입니다. 작품 안에 가득한 해학과 풍자도 한국 문학의 전통적인 특질을 잘 보여 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이 작품은 한국 문학의 전통을 계승한 작품이라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유자소전 속 핵심 내용. 장면 
1) 유자가 재벌 총수를 비꼬는 장면(위기)
 
이 장면은 재벌 총수의 운전기사로 일하고 있던 유자가 사람보다 비단잉어를 중시하는 총수를 비꼬는 장면입니다. 총수가 애지중지하던 비단잉어가 죽자 유자는 비단잉어를 술안주로 먹고, 이에 화를 내는 총수에게 능청스럽게 대응하며 그를 비꼬고 있습니다. 웃음을 유발하는 해학과 풍자가 잘 표현되어 있고, 유자의 가치관 등을 엿볼 수 있습니다.
 
 
2) 유자가 죽은 뒤 유자를 추모하는 장면(결말)
이 장면은 유자가 죽은 뒤, 유자와 친분이 있던 사람들이 모여 유자를 추모하는 장면입니다. 이 과정에서 유자를 추모하는 시, 그리고 유자에 대한 평가가 요약적으로 담긴 글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이는 이 작품이 인물의 일대기를 요약적으로 서술하고 마지막에 평가를 붙이는 고전 산문의 양식 중 하나인 '전'의 구조를 계승하고 있음을 보여 주는 부분입니다. 이 작품이 한국 문학의 전통을 계승한 작품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상 이문구의 소설 유자소전의 해석 분석, 전체 줄거리 그리고 방언 사용의 효과와 전(傳)의 양식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현대소설 이해] 채만식 태평천하 정리 분석. 표현상의 특징. 가족사 소설

[현대소설 이해] 채만식 태평천하 정리 분석. 표현상의 특징. 가족사 소설

오늘은 채만식의 태평천하를 정리 분석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태평천하의 전체 줄거리를 살펴보고 핵심 정리, 표현상의 특징, 가족사 소설 특징, 태평천하의 뜻 그리고 판소리와의 관계를 알아

nocturne13.tistory.com

 
 
 
[어휘] 고전시가 주요 어휘 해석 정리. 국어 문학 교과서 수록 고전시가 어휘

[어휘] 고전시가 주요 어휘 해석 정리. 국어 문학 교과서 수록 고전시가 어휘

오늘은 국어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고전시가 주요 어휘를 해석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고전시가를 공부하다 보면 한자어나 낯선 어휘들이 많아 작품을 해석하기 어려운데요. 고전시가에 자주 등

nocturne1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