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읽다

현대소설 이해/김유정 봄봄 해석 분석 줄거리.해학 특징.역순행적 구성

반응형

오늘은 김유정의 소설 봄봄을 해석 분석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전체 줄거리를 살펴보고 해학과 역순행적 구성, 작품 속 마름과 소작인 데릴사위의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김유정 봄봄 해석 분석

1. 봄봄 전체 줄거리

▶ 발단 : '나' , 데릴사위로 들어와 머슴처럼 일만 하다

 

'나'는 점순이가 자라는 대로 성례를 시켜 주겠다는 장인의 말에 데릴사위로 들어와 3년 7개월 동안 돈 한 푼 받지 않고 일만 합니다. 그러나 장인은 점순이의 키가 자라지 않았다는 이유로 성례를 계속 미루고, '나'를 머슴처럼 부립니다.

 

 

▶ 전개 : '나', 구장에게 중재를 요청하나 되려 설득당하다.

 

점순이가 밭을 가고 있는 '나'에게 와서 장인에게 성례시켜 달라고 할 것을 부추깁니다. '나'는 장인을 구장에게 끌고 가 성례 문제에 대한 중재를 요청하나 구장은 결국 장인의 편을 들고, 되려 '나'를 회유합니다. 그날 밤 '나'와 만난 뭉태는 장인을 비판하며 '나'를 질책합니다.

 

 

 

▶ 위기 : 점순, 다시 한번 '나'를 부추기다.

 

아침상을 가져온 점순이가 구장에게 갔다가 별다른 소득 없이 돌아온 '나'에게 불만을 드러내며 장인의 수염이라도 잡아채라면서 다시 한번 '나'를 부추깁니다.

 

 

 

▶ 절정 : '나', 장인과 몸싸움을 벌이나 점순이가 장인 편을 들다.

 

점순이의 부추김에 '나'가 일을 나가지 않고 멍석 위에 드러눕습니다. 이에 장인과 몸싸움이 일어나고, '나'는 장인의 바짓가랑이를 잡고 매달립니다. 이 소란에 장모와 점순이가 뛰어나오고, 예상과 달리 점순이는 장인의 편을 듭니다. '나'는 망연자실하여 점순이를 바라봅니다.

 

 

 

▶ 결말 : '나', 장인과 화해하고 다시 일터로 나가다.

 

장인이 '나'의 머리를 치료해 주며 가을에 성례를 시켜 주겠다며 '나'를 달랩니다. 이에 '나'는 장인에게 고마움을 느끼며 다시 일터로 나갑니다.

 

 

김유정 봄봄 해석 분석. 해학 역순행적 구성 특징

 

 

2. 김유정의 봄봄 핵심 정리

갈래 : 현대 소설, 단편 소설

 

성격 : 해학적, 토속적

 

주제 : 어리숙한 데릴사위와 교활한 장인 간의 갈등

 

시점 : 1인칭 주인공 시점

 

 

배경 

시간적 배경 - 1930년대

공간적 배경 - 강원도 농촌

 

 

특징 

1) 사건이 일어난 시간과 서술 순서가 뒤바뀐 역순행적 구성을 취함.

2) 인물 간의 갈등 상황을 해학적으로 표현하여 웃음을 유발함.

3) 토속어, 비속어 등을 사용하여 향토적인 느낌과 현장감을 줌.

 

 

※ 봄봄의 서술상 특징과 효과

서술상 특징

1) 사건이 일어난 사건과 서술 순서가 다름.

2) 상황을 과장되게 설정함.

3) 토속어, 비속어를 많이 사용함.

 

 

효과

1) 역순행적 구성

2) 해학적 웃음을 유발

3) 향토성과 현장감 강화

 

 

 

3. 인물 소개

1) 나 : 우직하지만 어리숙함.

- 장가를 들려고 돈 한 푼 받지 않고 머슴처럼 일함.

- 장인의 곧이곧대로 들음

 

 

2) 장인 : 교활하고 욕심이 많음.

- 성례를 핑계로 '나'에게 일만 시킴.

- 마름으로서 소작인에게 횡포를 부림.

 

 

3) 점순 : 당돌하면서 야무짐.

- 성례를 하고 싶어 '나'를 적극적으로 부추김.

 

 

 

4. 어휘 풀이

1) 전수히 : '전수이'의 잘못된 표기이며, '모두 다'라는 뜻.

 

2) 밸이 상하다 : '밸'은 '배알'의 준말. '배알'은 '창자'의 비속어이며 마음이 상하다라는 뜻.

 

3) 샐죽하다 : 샐쭉하다. 마음에 차지 않아 약간 고까워하는 태도가 드러나다.

 

4) 관객 : 관격. 먹은 음식이 갑자기 체하여 가슴 속이 막히고 위로는 계속 토하며 아래로는 대소변이 통하지 않는 위급한 증상.

 

5) 공석 : 빈 멍석.

 

6) 벜 : 부엌의 방언.

 

7) 일후 : 뒷날

 

8) 심청 : 마음보

 

9) 짜정 : 짜장. 과연 정말로.

 

10) 넝 알로 : 넝 아래로, '넝'은 논밭들이 언덕진 곳을 의미함.

 

11) 까세다 : '까실르다'의 뜻. '까실르다'는 그슬리다의 방언임.

 

12) 역성 : 옳고 그름에는 관계없이 무조건 한쪽 편을 들어주는 일.

 

13) 담박 : 단박. 그 자리에서 바로라는 뜻.

 

14) 히연 : 희연. 일제 강점기 때의 담배 이름.

 

15) 불솜 : 상처를 소독하기 위해 불에 그슬린 솜방망이.

 

16) 솔개미 : '솔개'의 방언.

 

17) 불랴살야 : 부랴사랴. 매우 부산하고 급하게 서두르는 모양.

 

 

해학의 특징. 특성

해학은 동작, 표정, 어투 등을 우스꽝스럽게 표현하여 웃음을 유발하는 것을 말합니다. 부정적인 인물을 우스꽝스럽게 만듦으로써 비판하는 '풍자'와 달리 서술의 대상인 인물에 대하여 선의를 가지고 있어 그 인물에 대한 동정이나 공감을 유발하며, 글의 흥미를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역순행적 구성의 특징. 특성

사건이 시간 순서가 아니라 작가의 의도에 따라 '현재→과거→미래' 등과 같이 시간의 역전이 일어나며 이야기가 전개되는 구성방식입니다.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이나 서술자의 서술에 따라 교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봄봄 속 마름과 소작인, 데릴사위 의미

'허나, 인심을 정말 잃었다면 욕보다 읍의 배 참봉 댁 마름으로 더 잃었다.'

 

이 문장에서 장인의 신분이 드러납니다. 양반 집안의 배 참봉네의 '마름'이라는 것입니다. 땅을 소유한 사람을 '지주'라 하며, 이들은 농사를 짓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땅을 빌려주고, 그 대신 수확한 농작물의 일부나 돈을 받아 갑니다. 

 

 

이렇게 다른 사람의 땅을 빌려 농사를 짓는 사람을 '소작인'이라고 하며, '마름'은 지주와 소작인 사이에 위치한 존재로, 지주를 대신해 소작권을 관리합니다. 이에 소작인들에게는 지주보다 더 무서운 존재가 마름이었습니다. 마름이 마음만 먹으면 한순간에 농사를 지을 수 없는 처지에 놓일 수 있으며, 소설 '봄봄'에서는 구장이 장인 편을 드는 것도 이러한 권력 관계에 따른 것으로 추측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나'는 어떠할까요? '나'는 논밭일을 하고는 있지만 소작인이 아닙니다. '나'는 점순이와의 성례를 조건으로 데릴사위로 들어온 인물입니다. 데릴사위는 딸만 있는 집안에서 혼인한 딸을 시집으로 보내지 않고, 처가에서 데리고 사는 사위를 말합니다. 그렇기에 '나'는 마름인 장인에게 화를 내기도 하고, 싸우기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 작품이 발표된 것은 1935년으로, 당시 지주들은 마름을 내세워 소작인들에게 가혹하게 수탈했습니다. 이를 고려한다면 이 작품은 '데릴사위'라는 소재를 통해 당시 농촌에서 마름이 약자를 착취하던 심각한 수탈의 상황을 해학적으로 그려냈다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봄봄 속 핵심 내용. 장면 

1) '나'가 구장에게 성례 문제의 판정을 의뢰하는 장면(전개)

 

이 장면은 '나'가 장인을 구장 집으로 끌고 가 성례 문제에 대해 판정을 의뢰하나 구장에게 오히려 설득당하는 장면입니다. '나'와 장인이 갈등하는 모습이 구체적이면서도 해학적으로 드러나 있습니다. 구장은 처음에는 '나'를 편들지만, 마름인 장인의 눈치를 보며 결국 장인의 편을 들고, '나'를 회유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이를 통해 당시의 사회적 상황을 엿볼 수 있습니다.

 

 

 

2) '나'가 장인과 몸싸움을 벌이는 장면(절정)

 

이 장면은 점순이의 부추김에 '나'가 꾀병을 부리면서 결국 장인과 크게 몸싸움을 벌이는 장면입니다. 두 인물간의 싸움 모습이 해학적으로 그려져 있습니다. 또 점순이가 지금까지의 태도를 바꾸어 장인 편을 드는 이중적 모습이 나타나기도 하고 이를 이해하지 못하는 어리숙한 '나'의 모습도 엿볼 수 있습니다. 작품의 절정 단계 임에도 불구하고 작품의 끝에 배치되어 표현 효과를 높이고 있습니다.

 

 

 

 

이상 김유정의 소설 봄봄의 전체 줄거리, 해학과 역순행적 구성의 특징, 작품 속 마름과 소작인 데릴사위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현대소설 이해/전광용 꺼삐딴 리 해석 분석 줄거리. 회중 시계 꺼삐딴 의미

 

현대소설 이해/전광용 꺼삐딴 리 해석 분석 줄거리. 회중 시계 꺼삐딴 의미

오늘은 전광용의 소설 꺼삐딴 리를 해석 분석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전체 줄거리를 살펴보고, 이인국 박사의 기회주의자적 면모(모습)와 회중시계 꺼삐딴의 의미, 그리고 꺼삐딴 리에 나타난 풍

nocturne13.tistory.com

 

 

 

 

[현대소설 이해] 이범선 오발탄 정리 분석 줄거리. 충치와 오발탄의 상징적 의미

 

[현대소설 이해] 이범선 오발탄 정리 분석 줄거리. 충치와 오발탄의 상징적 의미

오늘은 이범선의 소설 오발탄을 정리 분석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전체 줄거리를 살펴보고 핵심 정리, 오발탄의 배경과 갈등 양상, 그리고 충치와 오발탄의 상징적 의미를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nocturne1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