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읽다

[줄거리] 김유정 동백꽃. 산골 작품 해석 줄거리 작가 소개. 김유정의 작품 세계

반응형

오늘은 김유정의 소설 동백꽃, 산골의 작품 해석과 줄거리, 작가 소개 그리고 김유정의 작품 세계를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작가 김유정의 생애를 정리하고 줄거리를 살펴보겠습니다.

 

 

김유정의 동백꽃 작품 해석 줄거리

작가 김유정(1908 - 1937)

강원도 춘천 출생. 휘문고보 졸업 후 연희전문에 입학, 문과 중퇴. 1935년 <소낙비>가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노다지>가 조선중앙일보 신춘문예에 각각 당선됨으로써 등단. 1937년 폐결핵으로 세상을 뜰 때까지 <금 따는 콩밭>, <만무방>, <산골>, <가을>, <봄봄>, <동백꽃>, <따라지> 등 약 30편의 단편소설을 발표함.

 

 

 

그의 문학 세계는 해학적이고 골계적이며, 대상은 주로 농촌 현실과 거기서 살아가는 농민들의 삶을 다룸. <동백꽃>, <봄봄>, <산골> 같은 작품에서는 경쾌한 해학성이 전면에 두드러지지만, <소낙비>, <만무방>, <총각과 맹꽁이> 등에서는 농촌 생활을 소재로 사회적 모순을 그려냄. 구인회 회원으로도 활동함.

 

 

 

김유정의 동백꽃 줄거리

오늘도 우리 닭이 쫓겼다 마름집 딸 점순이는 한동안 실없이 웃으며 곁에 나타나곤 하더니, 한 번 무안을 당한 후로는 자기네 닭으로 애꿎은 우리 닭에게 싸움을 붙이곤 하는 것이다. 내가 정성을 들임에도 불구하고 우리 닭은 점순네 닭에게 매일 당한다. 

 

 

 

오늘은 점순이가 천연덕스럽게 닭싸움을 시키는 것을 발견하고 참지 못하여 점순네 닭을 때려 죽이고 말았다. 그러고 나서 두려움에 떨고 있는 내게, 점순은 "다음부터 그러지 마라. 내 안 이를 테니"라고 말하고, 무슨 일을 말하는 것인지도 모르면서 나는 고개를 끄덕인다. 그러자 점순은 내게로 픽 쓰러지고 그때 알싸한 동백꽃 냄새가 아찔하게 난다.

 

 

 

 

동백꽃 작품 해석

김유정의 소설을 보면 흔히, 작중 인물 중 하나가 서술자가 된다. 1인칭 주인공 시점이라고 할 수 있으나, 그의 소설에는 1인칭 주인공 시점에서 일반적으로 보이는 자의식이나 개인 심리의 표출이 없다. 그리고 서술자인 '나'는 사건 해석에 무디고 우둔한 인물로 제시되어, 해학적인 분위기가 생겨나게끔 한다. 

 

 

 

<동백꽃>에서의 '나'도 그렇다. '나'는 호의를 표시하는 점순의 행동을 올바로 이해하지 못한다. 일부러 감자를 숨겨 가지고 나와 전하는 점순에게 "이 계집애가 미쳤나"라는 반응을 보이며, 무안을 당한 점순이 끈질기게 자신을 괴롭히는데도 전혀 이유를 잠작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점순의 의도와 화자의 반응이 빗나가는 데서, 이 소설의 독특한 재미는 생겨나고 있다.

 

 

 

<동백꽃>에서 점순은 마름집 딸로, 화자는 소작농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사이에 계층으로 인한 갈등은 거의 드러나지 않는다. 드러나는 부분은 "안 그래도 소작이기 때문에 우리 부모는 점순네 부모에게 굽신거리는 처지다" 같은 화자의 말 정도이다. 예컨대 마름과 소작인 사이의 갈등과 투쟁을 형상화한 이기영의 <고향>과 <동백꽃>은 좋은 대조를 이루는데, 이 차이가 작가 정신의 상이함에서 비롯된 것은 물론이지만, 김유정의 소설 배경이 보통 강원도이며, 그곳에는 대토지 소유가 별반 발달하지 않았다는 특수성도 이런 차이의 기반이 된다고 볼 수 있다.

 

 

 

흥밋거리로 덧붙이자면 이 소설의 제목인 '동백꽃'은 우리가 흔히 떠올리는 동백꽃이 아니라고 한다. 이 소설에서 동백꽃의 색깔이 노오랗다고 묘사하는데, 요즘 동백꽃이라고 일컬어지는 꽃은 붉은빛이다. 전문가에 따르면 김유정이 말하는 동백꽃은 생강나무의 사투리로, 개동백이라고도 불렀다 한다.

 

 

 

 

김유정의 산골 줄거리

이쁜이는 오늘도 꼳 다시 돌아오마고 했던 주인집 도련님을 기다린다. 1년 반 전, 서울에서 학교를 다니는 도련님이 집에 돌아왔을 때 도련님은 종의 딸인 이쁜이를 짓궂게 따라다녔다. 그러나 도련님은 돌아오지 않고 서울에서 어떤 아씨와 정분이 났다는 소문만 들려온다.

 

 

 

자기를 좋아하는 마을 총각 석숭이에게 부탁하여 도련님께 보내는 편지를 쓴 이쁜이는 매일 우체부가 오기를 기다리고, 이쁜이의 속내를 모르는 석숭이는 이쁜이와 혼인하게 될 날만을 기다린다.

 

 

 

 

산골 작품 해석

<산골>은 산, 마을, 돌, 물, 길이라는 소제목이 담긴 단락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소제목들은 '산골'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등장 인물들이 활동하는 배경이나 매개가 된다. '산'에서 나물을 뜯다가 이쁜이는 도련님 생각에 잠긴다. 

 

 

 

'산'에서 나물을 뜯다가 이쁜이는 도련님 생각에 잠긴다. 산은 이쁜이와 도련님이 인연을 맺었던 장소이기도 하다. 그런가 하면 이쁜이를 좋아하는 석숭이가 도련님과의 관계를 빌미로 이쁜이를 놀려댄 것은 '마을'의 밭에서였고, 이쁜이는 그런 석숭이를 '돌'로 찧어 혼내 주었으며, 지금은 '물'가에서 도련님이 들려주었던 이야기를 생각하며 눈물을 흘리고, '길'에서 우체부가 오기를 기다린다. 산골 마을의 곳곳에는 등장인물들의 사연이 배어 있는 것이다.

 

 

 

산골의 순박한 자연과 같이, 등장 인물들 역시 순박한 사람들이다. 그들은 약삭빠른 판단이나 행동을 할 줄 모른다. 이쁜이는 도련님이 잠시 보여준 애정을 철석같이 믿고 다시 돌아온다던 도련님을 기다리며, 석승은 '이쁜이는 아직도 도련님을 기다립니다'라는 편지를 대신 써주면서도 그 편지를 빌미로 이쁜이와 만날 수 있다는 사실에 즐거워한다.

 

 

 

<산골>이 보여주는 도련님 - 이쁜이 - 석숭 사이의 관계 설정은 흥미롭다. 이렇듯 김유정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비극적이기는 너무도 단순하고 소박하다. 그들은 상황을 냉정하게 바라보지 않고 눈에 보이는 대로 의심 없이 믿어버리는 인물들이다. 김유정의 다른 소설인 <동백꽃>에서도 '나'는 점순의 행동을 보이는 그대로만 이해하여 '나'에 대한 점순의 애정을 눈치채지 못한다. 

 

 

 

<봄봄>의 '나' 역시 색시감인 점순의 미묘한 심리를 이해하지 못하여 실수를 한다. 이 <산골>에서도 이쁜이는 돌아오겠다던 도련님의 말을 믿을 뿐, 그것이 빈 약속이었음을 알려주는 다른 징표들에는 관심을 기울이지 않으며, 석숭이는 이쁜이가 자기에게 말을 건네는 데 흥분하여 이쁜이가 도련님을 기다리고 있다는 엄연한 사실을 느끼지 못한다.

 

 

 

김유정 소설에서 읽는 이를 가장 즐겁게 하는 것은 이처럼 순박한 인물들이 보여주는, 서툴지만 순진무구한 행동들이다. 현실에 대해 정확지 못한 판단을 내리는 김유정의 주인공들, 그리고 그들이 바탕으로 하고 있는 향토적인 소박함은 읽는 이로 하여금 절로 미소를 떠올리게 하는데, 이러한 특징이 바로 해학성이다. 그러나 조금 더 깊이 살펴보면, 이처럼 순박한 인물들을 통해 작가는 영악하고 셈속 빠른 다른 일물들을 풍자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김유정의 작품 세계

김유정 소설의 일반적인 특징으로는 향토성, 해학성, 풍자성을 들 수 있는데, 향토성은 있는 그대로 농촌과 순박한 사람들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김유정은 도시 문명을 배경으로 하여 작품을 쓴 적이 없으며, 농촌을 계몽해 나가야 한다는 사상이 담긴 작품을 쓴 적도 없다. 

 

 

 

해학성은 읽는 이에게 웃음을 안겨주되, 그 속에는 사람들의 애환이 담겨 있다는 점이고, 풍자성은 우회적인 방법으로 식민지 농촌 사회의 피폐한 모습을 꼬집거나, 순박한 삶의 양태와 대비되는 도시 생활의 모습을 비판하다는 점을 들어 알 수 있다.

 

 

 

 

이상 김유정의 소설 동백꽃, 산골의 작품 해석과 줄거리, 작가 소개 그리고 김유정의 작품 세계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현대소설 이해] 김유정 봄봄 정리 분석. 봄봄의 풍자와 해학성

 

[현대소설 이해] 김유정 봄봄 정리 분석. 봄봄의 풍자와 해학성

오늘은 김유정의 봄봄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봄봄의 전체 줄거리를 살펴보고 핵심 정리, 김유정 소설에 나나탄 풍자와 해학성 그리고 제목 봄봄의 상징성을 알아보겠습니다. 김유정 봄

nocturne13.tistory.com

 

 

 

 

[현대소설 이해] 이범선 오발탄 정리 분석 줄거리. 충치와 오발탄의 상징적 의미

 

[현대소설 이해] 이범선 오발탄 정리 분석 줄거리. 충치와 오발탄의 상징적 의미

오늘은 이범선의 소설 오발탄을 정리 분석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전체 줄거리를 살펴보고 핵심 정리, 오발탄의 배경과 갈등 양상, 그리고 충치와 오발탄의 상징적 의미를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nocturne13.tistory.com

 

 

 

1920년대 - 1945년. 광복 이후 - 1950년대 소설 경향 특징 작가 작품 정리

 

1920년대 - 1945년. 광복 이후 - 1950년대 소설 경향 특징 작가 작품 정리

오늘은 1920년대 - 1945년, 광복 이후 - 1950년대 소설의 경향과 특징 그리고 대표 작가와 작품들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각 시대의 특징을 살펴보고 각 시기의 소설 경향을 안내하겠습니다. 19

nocturne1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