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읽다

[국어 개념] 외형률 내재율. 음위율 음보율 음수율 해석 정리. 음절 어절 음보 구분 방법

반응형

오늘은 외형률과 내재율, 음위율, 음보율, 음수율(음절 어절 음보 구분 방법)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운율은 시를 읽을 때 느껴지는 말의 가락입니다. 시의 운율이 겉으로 드러나는지 내면에 깃들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외형률과 내재율로 나뉘는데요. 예문을 들어가며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외형률의 의미. 외형률 형성 요소 방법

외형률(外形律)은 外밖 외 形모양 형 律가락 율(률) 말 그대로 시의 운율이 겉으로 드러나 그 규칙성이 눈으로 확인이 되는 운율입니다. 시행의 일정한 자리에 음을 규칙적으로 배치하거나 글자수나 음보 등을 반복하면서 운율을 형성합니다. 

 

 

이러한 외형률에는 음위율, 음보율, 음수율이 있습니다. 

 

 

 

 

1) 음위율

음위율은 같은 자리에 같은 글자가 반복될 때 느껴지는 운율입니다. 이때 같은 글자가 어떤 위치에서 반복되느냐에 따라 두운, 요운, 각운으로 나뉘어집니다.

 

 

두운은 앞에 반복, 요운은 중간에 반복, 각운은 끝에 반복됩니다.

 

 

예)

담에 속삭이 햇발같이

아래 웃음짓 샘물같이

 

 

 

예문에서 두운은 '돌'과 '풀' 요운은 '는' 각운은 '같이'입니다.

 

 

 

2) 음보율

음보율은 끊어 읽는 말의 단위(호흡 단위)의 반복에서 느껴지는 운율이며 끊어 읽는 말의 덩이가 규칙적으로 반복되면서 만들어집니다 음보율에서의 '보(步걸음 보)'는 '걸음'을 뜻합니다. 사람들의 걸음걸이 보폭이 일정하듯 음보도 마찬가지입니다. 

 

 

즉 음보는 시에서 일정한 폭(길이)을 갖는 말의 덩이를 말하며, 이 음보가 반복되면 규칙성이 느껴지는데 이를 '음보율'이라고 합니다. 

 

 

시조는 4음보, 민요는 3음보나 4음보의 율격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자유시 중에서도 음보율이 느껴지는 시들이 있습니다.

 

 

 

예)

▶ 시조

까마귀 V 검다 하여 V 백로야 V 웃지 마라 (4음보)

 

 

 

▶민요 

날 좀 보소 V 날 좀 보소 V 날 좀 보소

동지섣달 V 꽃본 듯이 V 날 좀 보소  (3음보)

 

 

 

▶ 자유시 

봄바람 V 하늘하늘 V 넘노는 길에

연분홍 V 송이송이 V 하도 반가워 (3음보)

 

 

 

 

◈ 어절과 음보 구분 방법. 어절과 음절 구분 방법

간혹 음보를 어절과 헷갈리는 경우가 있는데요. 어절은 띄어쓰기 단위이며, 음보는 소리(음)의 단위입니다.

 

 

 

예) 나는 V 오늘 V 늦잠을 V 자서 V 지각을 V 했다. (6어절)

예) 나는 오늘 V 늦잠을 자서 V 지각을 했다. (3음보)

 

 

 

예문처럼 어절은 띄어쓰기 단위로 구분이 되고, 음보는 띄어쓰기 어법과는 별개로 우리가 익숙하게(편하게) 읽는 소리(음)의 단위로 구분이 됩니다.

 

 

 

추가로 어절과 헷갈려하는 음절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음절은 글자수입니다. 예를 들어 문제에서 3음절로 쓰세요 하면 3글자를 쓰면 됩니다.

 

 

예) 지우는 책상 위에 있는 맛있는 사과를 보고 있습니다.

 

 

문제 1. 지우가 현재 보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2음절로 쓰세요. 답) 사과(글자)

문제 2. 지우가 현재 보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2어절로 쓰세요. 답) 맛있는 V 사과(띄어쓰기 단위로 2개)

 

 

 

정리하면

음절 = 글자수

어절 = 띄어쓰기

음보 = 소리(음)의 덩어리 

 

 

 

3) 음수율

음수율은 일정한 수의 음절이 규칙적으로 반복되면서 만들어지는 운율입니다. 즉 일정한 글자 수의 반복에서 느껴지는 운율입니다.

 

 

 

3·3·2조, 2·2·3조, 3(4)·4조, 7·5조 등 다양하게 있지만 그중 3(4)·4조, 7·5조가 가장 자주 사용되는 운율입니다.  (*'조'는 글자수를 의미하며 대게 7·5조는 3음보, 3·4조는 4음보로 나타납니다.) 이때 글자 수가 딱 맞아 떨어지는 경우도 있지만 대체적으로 ±1 정도는 허용됩니다.

 

 

 

음수율은 음보율을 먼저 찾은 후, 그 한 토막(음보)에 몇 개의 글자가 있는지 세어 보면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시조는 보통 3·4조, 4·4조로 되어 있으며 자유시 중에는 7·5조로 되어 있는 시가 있습니다.

 

 

 

예)

▶시조 

동창이 밝았느냐 노고지리 우지진다.  - 4(3)·4조

 

 

글자수:  동창이(3글자,조)  밝았느냐(4글자,조)  노고지리(4글자,조)  우지진다(4글자,조)

 

 

 

▶자유시

봄바람 하늘하늘 넘노는 길에

연분홍 송이송이 하도 반가워  - 7·5조

 

 

 

글자수 : 봄바람 하늘하늘(7글자, 조) 넘노는 길에(5글자, 조)

연분홍 송이송이(글자, 조) 하도 반가워(5글자, 조) 

 

 

 

음수율은 일정한 수의 음절이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운율이므로 띄어쓰기 단위가 아니라 규칙적인 반복으로 '조'를 파악하면 됩니다. 그래서 '연분홍 송이송이' 는 '연분홍(3글자), 송이송이(4글자)'가 아닌 '연분홍 송이송이(7글자, 7조)'가 되는 것입니다.

 

 

 

내재율의 의미. 내재율의 형성 요소 방법

내재율(內在律) 은 시의 운율이 겉으로 드러나 있지 않고 시의 내면에 깃들어 있는 운율이며 시의 표면이 아니라 시 속에 들어 있는 운율입니다. 즉 시어, 행, 연, 작품 전체를 통해 느껴지는 주관적이고 개성적인 운율입니다.

 

 

이에 내재율의 운율은 일정한 단어 혹은 시구의 반복, 유사한 문장 구조의 반복, 음성 상징어(의성어, 의태어)의 반복적 사용 등을 통해 만들어집니다.

 

 

 

그렇다면 내재율을 만드는 요소(방법)를 어떻게 파악할 수 있을까요?

 

 

시에서는 3음보의 율격, 일정한 시구의 반복, 유사한 문장구조의 반복, 수미 상관, 음성 상징의 효과, 그리고 각운의 사용으로 내재율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예시를 통해 이와 같은 요소들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김영랑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

 

내 마음의 V 어딘 듯 V 한 편에 V 끝없는

강물이 V 흐르네.

돋쳐 오르는 V 아침 날 V 빛이 V 빤질한

은경을 V 도도네.

가슴엔 듯 V 눈엔 듯 V 또 핏줄엔 듯

마음이 V 도른도른 V 숨어 있는 곳

내 마음의 V 어딘 듯 V 한편에 V 끝없는

강물이 V 흐르네. 

 

 

 

V : 음보 

 

 

예문의 시는 겉으로 운율이 드러나지 않는 내재율입니다. 하지만 소리를 내어 읽어 보면 3음보의 율격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런데 배열에 변화를 주어 1행, 3행, 7행을 4음보처럼, 2행, 4행, 8행을 2음보처럼 배열했습니다. 

이중 1행과 2행을 예를 들어 보면,

 

 

내 마음의 V 어딘 듯 V 한 편에 V 끝없는

강물이 V 흐르네.

 

 

내용상 '내 마음의 V 어딘 듯V한 편에' 와 '끝없는 V 강물이 V 흐르네'로 구분하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그리고 1행과 2행, 7행과 8행이 반복되는 수미 상관 구조입니다.

 

 

또한 '음성 상징의 효과'도 있는데요. '도른도른'과 '도도네'가 이에 해당됩니다. '도른도른'은 의태어로서 음성 상징어이고 '도도네'는 음성 상징어는 아니지만 같은 소리를 반복하여 그 효과를 주고 있습니다.

 

 

이 시에서는 각운도 사용되었는데요. 1,3,7행은 '-ㄴ'으로 끝나고 2,4,8행은 '-네'로 끝나 각운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예문에서 내재율을 형성하는 요소를 정리해 보면

1. 비슷한 문장 구조의 반복.

2, 글자의 수를 일정하게 반복.

3. 음성 상징어 사용(의태어)

4. 3음보의 반복입니다.

5. 수미 상관 구조.

6. 각운 사용.

 

 

 

더 알아보기

대부분의 외형률은 정형시(시조), 내재율은 자유시에서 느낄 수 있습니다. 외형률과 내재율의 공통점은 '반복'이 된다는 것이며, 차이점은 외형률은 일정한 형식이 있으며 내재율은 일정한 형식이 없다는 것입니다. 

 

 

즉 외형률과 내재율의 운율 형성 방법은 '반복'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때 반복의 효과는 운율감(리듬감)을 형성하며, 의미를 강조하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작자 미상의 '가시리'를 분석해 보고 마치겠습니다.

 

 

 

작자 미상  가시리

 

가시리 가시리잇고 *나는

버리고 가시리잇고 나는

위 증즐가 대평성태

 

 

*나는 : 특별한 의미 없이 음악적 효과를 위해 사용하는 여음입니다.

 

 

 

'가시리 가시리잇고'에서는 3·3·2조의 3음보 율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음수율을 찾는 방법은 음보율을 먼저 찾고 그 끊어 읽기 단위마다 몇 개의 음절(글자)이 있는지 세어 보면 됩니다.

 

 

즉 '가시리 가시리잇고'는 '가시리 V 가시리 V 잇고' 처럼 3음보 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토막(음보)마다의

글자수를 세어보면,

 

 

가시리(3글자)

가시리(3글자)

잇고(2글자) 나는  ( *여음인 '나는'은 '음보' 나 '음수'를 계산할 때 세지 않지 않습니다.)

 

 

처럼 3글자, 3글자, 2글자로 3·3·2조의 3음보 율격입니다.

 

 

 

이상 외형률과 내재율, 음위율, 음보율, 음수율(음절 어절 음보 구분 방법)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국어 개념]운율 형성 방법 요소. 반복을 통한 운율 형성. 수미 상관 구조 역할

 

[국어 개념]운율 형성 방법 요소. 반복을 통한 운율 형성. 수미 상관 구조 역할

오늘은 운율의 뜻과 운율 형성 방법, 요소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운율은 운문이 가진 대표적인 특성입니다. 운율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1. 음운, 음절, 시어, 시구, 시행 연의 반복 2.

nocturne1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