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개화기의 특징과 시가 문학사 개념, 특징(개화 가사, 창가, 신체시)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개화기의 우리 시가는 주체적인 행동을 제시하며 형태면에서는 시조, 가사 등의 전통 시가 양식을 계승하는 한편, 시대 의식과 개화· 계몽사상을 담기에 적절한 형태로 점차 변모했습니다. 개화기의 시가들을 갈래 별로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개화기의 특징
개화기는 우리나라가 서구 문물의 영향을 받아 이전의 봉건적인 사회 질서에서 벗어나 근대적 사회로 개혁되어 가던 시대를 일컫습니다. 서구 열강의 침략에 맞서는 한편 조선 시대의 봉건 질서를 해체하고 민족의 주체성을 근거로 한 민족 국가를 설계하고자 모색한 시기라 할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갑오개혁(1894)을 계기로 조선 왕조의 자주독립 선언, 신분 제도의 철폐, *국한문 혼용 등과 같이 정치, 사회 제도를 근대적으로 개혁함으로써 근대 국가로의 틀과 기초를 다졌습니다. 또한 근대적인 개념의 학교가 설립되었으며, '한성순보'. '독립신문'과 같은 신문이 발행되는 등 근대적인 체재와 기구가 정비되었습니다.
*국한문 혼용 : 1896년에 '독립신문'이 국문 전용을 내세우며 국문체로 발행되었으며, 1896년에는 '황성신문'이 국한문 혼용체로 발행되었습니다. 이를 계기로 '한문-국문'의 경쟁 구도가 '국한문 혼용-국문'의 경쟁 구도로 변하였습니다.
개화기 시가. 개화 가사. 창가. 신체시
개화기의 대표적인 시가 양식으로는 개화 가사, 신체시 등이 있습니다. 이들 모두 계몽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형식상으로는 정형률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고전 시가에서 근대 시로 옮겨 가는 시가 문학의 과도기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개화 가사
전통적인 가사 형식에 개화기의 새로운 사상을 담아 표현한 시가 형식을 말합니다. 외세의 침략에 대한 비판, 자주독립 의식의 고취, 사회 현실의 풍자 등이 중심 내용입니다. 지식층에 의해 신문, 잡지 등에 발표됨으로써 많은 독자층을 확보하고 있었습니다.
개화 가사의 형식
전통적인 율격을 고수하면서도 하나의 작품을 몇 개의 단락으로 구획하는 문장 형태를 취하는 것이 특징이다. 개화 가사의 율격은 주로 4·4조의 2행 대구 형식에 후렴구를 붙여 주제를 강조하는 것이 많습니다.
개화 가사의 분류
1) 우국경세가 : 일제의 침략 및 친일 세력을 비판하는 내용의 가사입니다. 나라와 외세로 인해 위태롭게 된 상황을 근심하여 지어진 '가역비장(歌亦悲壯)' (1905), 세태를 풍자하고 있는 '매국경축가'(1905) 등이 대표적인 작품이다.
2) 애국가 : 자주독립과 부국강병을 내용으로 하는 가사로, '독립신문'과 '대한매일신보' 등에 주로 실렸습니다. 특히 '대한매일신보'에 실린 가사를 '사회등 가사'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3) 의병가 : 국권 상실 후의 의병 활동을 예찬하는 내용의 가사입니다. 1910년대의 의병활동을 회고한 신태식의 '신의관 창의가'가 대표 작품입니다.
개화 가사의 주요 작품
▶이중원의 '동심가' : 개화를 위해 협동할 것을 노래하며, 4·4조 형식입니다.
▶이필균의 '애국하는 노래' : 개화하여 애국하자는 내용, 4·4조 형식입니다.
▶작자 미상 : 애국심의 구취와 매국 세력에 대해 비판하는 내용, 4·4조 형식입니다.
창가(唱歌)
개화 가사와 신체시를 연결하는 교량 역할을 했던 시가 형식을 말합니다. 민요와 기독교 찬송가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주로 새로운 시대 사조와 문명 개화를 예찬하고 있습니다.
창가의 형식
7·5조가 기본적인 율격이지만, 6·5, 7·5, 5조의 다양한 형태를 취하고 있습니다. 창가의 7·5조는 일본의 창가에서 비롯된 외래적인 율격입니다. 개화 가사와 신체시를 연결하여, 신체시 발생의 모태가 된 시가 양식입니다.
창가의 주요 작품
▶최남선의 '경부 철도 노래' : 경부선 철도의 개통을 보고 신문명을 찬양했으며, 최초의 7·5조 창가입니다.
▶최남선의 '한양가' : 서울을 찬양하고 신문명을 예찬했으며, 7·5조의 노래입니다.
▶최남선의 '태백산가' : 태백산의 웅장한 모습과 민족 정기를 드높이기 위해 지은 7·5조의 노래입니다.
▶최남선의 '대한조선' : 대한 소년들의 이상과 기개를 나타낸 7·5조의 노래입니다.
▶작자 미상 '권학가' : 소년들에게 면학을 권유하는 7·5조의 노래입니다.
▶작자 미상 '표모가' : 빨래하는 여인을 그린 7·5조의 노래입니다.
신체시
개화 가사나 창가가 드러냈던 정형적인 외형률에서 벗어나 형식을 파괴함으로써 근대적인 자유시에 접근한 새로운 시가 형식을 말합니다. 율격의 규칙성과 형태적 고정성을 벗어나 시적 형식의 자유로움과 개방성을 지향한 점이 특징입니다.
신체시의 특징
1) 우리나라 신문학 운동 초창기에 나타난 새로운 시 형식으로, 현대 시의 출발점이 됩니다.
2) 기존의 3·4조에서 벗어나 7·5조 또는 3·4·5조의 새로운 형태를 보여 줍니다.
3) 고전 시가의 정형적인 율격에서 벗어난 새로운 시 형식이지만, 시행의 규칙적인 배열, 후렴구의 반복적인 사용 등은 근대적인 자유시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형태입니다.
* 신체시의 한계성 : 신체시는 전통과 인습을 타파하고 서구 문물을 수용하려는 근대 운동의 소산이기 때문에 그 이전의 전통시와는 여러 가지 점에서 다른 모습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신체시는 창가의 정형성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으며, 시대 상황에만 역점을 둠으로써 자아의 각성이나 탐구가 미흡한 부분이 있습니다.
신체시의 주요 작품
▶최남선의 '해(海)에게서 소년에게' : 새로운 문명개화와 소년의 기상을 예찬했습니다.
▶최남선의 '구작삼편' : 개화, 계몽사상을 고취
▶최남선의 '꽃두고' : 새로운 문명에 대한 동경을 나타냈습니다.
마지막으로 개화기 가사의 대표 작품이자, 근대 문명의 대표격인 '경부 철도의 개통'을 찬양한 창가 최남선의 '경부 텰도 노래'를 안내해 드리고 마치겠습니다.
최남선. 경부 텰도 노래
1
우렁탸게 토하난 긔덕 소리에
남대문을 등디고 떠나 나가서
빨니 부난 바람의 형세 갓흐니
날개 가딘 새라도 못 따르겟네.
2
늙은이와 뎖은이 석겨 안즈니
우리네와 외국인 갓티 탓스나
내외 친소 다갓티 익히 디내니
됴고마한 딴 세상 뎔노 일웠네.
이상 개화기의 특징과 시가 문학사 개념, 특징(개화 가사, 창가, 신체시)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출처 및 참고 - 해법문학 현대시 3, 강승원 외, 천재교육)
'읽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적 허용 의미 정리. 시적 허용 효과 예시. 의도적 행갈이. 시적 긴장감 (7) | 2023.04.27 |
---|---|
화자의 어조와 태도. 헷갈리는 어조 정리. 반성 성찰. 관조 달관 초월 (11) | 2023.04.25 |
[다시 읽는 국어책] 윤동주 새로운 길 해석 정리. 길의 상징적 의미 (8) | 2023.04.24 |
중학교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수록 관용어 정리. 신체와 관련된 관용어 (8) | 2023.04.20 |
중학교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수록 속담 정리 모음 (2) (10) | 2023.04.19 |
중학교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수록 속담 정리 모음 (1) (8) | 2023.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