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이탈리아 최초의 여의사이자 몬테소리 교육법과 어린이의 집을 만든 마리아 몬테소리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육아를 한 경험이 있으시거나 교육학을 접해 본 분이시라면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법한 이름이지요. 어떻게 몬테소리 교육법이 세계적으로 명성을 얻었는지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이탈리아 최초의 여의사, 마리아 몬테소리
이탈리아의 최초의 여의사이며, 심리학자, 아동교욱자였던 마리아 몬테소리(Maria Montessori, 1870-1952)는 1870년 이탈리아에서 태어나 무남독녀로 자랐습니다. 당시 여성들이 지내는 것처럼 살기를 바랐던 아버지와는 달리, 진취적이었던 어머니는 똑똑했던 딸이 끊임없이 자기 개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습니다.
이에 마리아 몬테소리는 평소 본인이 흥미를 가졌던 기술학교에 진학을 합니다. 그리고 이어서 이탈리아에서 여성 최초로 의대에 입학을 합니다. 하지만 여성이라는 이유로 차별을 받으며 의학 공부를 했는데요. 급기야 해부학 실습에서는 아예 격리되어 다른 교실에서 해부하는 장면을 지켜봐야만 했습니다.
그럼에도 이런 차별을 극복해 6년 만에 로마대학교 의과 대학을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며 이탈리아 최초의 여의사가 됩니다.

정신지체 아동들과 마리아 몬테소리
이탈리에서 최초의 여의사가 되었지만 현실은 참혹했습니다. 여러 차례의 구직 활동을 시도했지만 매번 실패했습니다. 이러한 시도 끝에 로마 정신 병원의 보조 의사로 의사 생활을 시작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곳에서 마리아 몬테소리는 정신지체 아동들이 마치 동물처럼 수용되어 지내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이후 이를 개선하기 위한 필요성을 느끼며, 정신지체 아동들의 치료와 교육을 위한 진로를 결정하고, 훗날에는 전 아동들의 교육까지 연구를 했습니다.
정신지체 아동들을 교육하다.
이 당시 유럽에서는 정신지체 아동들은 치료 대상이 아닌 격리 대상이었습니다. 그래서 그저 끼니 때가 되면 밥을 주는 것 외에는 그 어떤 보살핌도 받을 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어느 날 마리아 몬테소리는 지적 장애가 있는 아동이 바닥에 떨어진 작은 부스러기를 가지고 즐겁게 노는 모습을 보게 됩니다. 그리고 주의 깊게 지켜본 바, 그 지적 장애 아동이 그 놀이 과정을 통해서 감각과 행동이 향상되는 것을 알았습니다.
손가락을 이용해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동안 아동들의 지능이 향상되는 것을 발견한 마리아 몬테소리는 감각의 자극을 통한 교육과 치료에 확신을 갖게 되었습니다.
1898년 이탈리아 교육학회에 장애 어린들의 교육 개혁을 요구하고, 정신지체 아동들의 교육을 시작합니다. 이뿐 아니라 정신지체 아동들의 감각을 개발하기 위한 특수한 도구를 만들고, 이 도구를 통해 변화해 가는 모습을 관찰했습니다. 산만했던 아동들이 도구를 만지고 느끼면서 그들에게도 집중력이 생겼으며 표현력도 느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런 몬테소리 교육법으로 많은 수의 정신지체 아동들의 지능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실제로 일부는 초등학교 6학년 수준의 시험에 합격하기도 했습니다.

최초의 여의사에서 정신지체 아동들의 교육자로 변모
정신지체 아동들을 위한 실험은 성공했지만, 동료의사 주세페 몬테사노와 사랑에 빠진 마리아 몬테소리는 양가의 반대로 결혼을 못하게 됩니다. 마리아 몬테소리에게는 둘 사이에 생긴 아들 마리오가 있었기에 미혼모가 되었는데요. 당시 미혼모는 사회적으로 용인되지 않았습니다.
이 시기에 다시 대학으로 돌아가 심리학과 철학을 공부하고 1904년 로마 대학 인류학과 교수가 됩니다. 하지만 1907년 그녀는 로마에서 가장 가난한 동네에서 2-6세 사이의 어린들을 위한 탁아소를 열었습니다.
'카사 데 밤비니', 어린이의 집이라 불리던 마리아 몬테소리의 탁아소에는 많은 아이들이 모였으며 의사 시절 정신지체 아동들을 교육하던 방법을 발전시켜 일반 아동들인 이 아이들에게 접목시켰습니다. 아이들은 작은 물건 하나만 있어도 그것을 만지고 느끼며 스스로 탐색했으며, 이런 활동들은 아이들의 지능과 감각을 향상시키는 기대 이상의 결과로 나타났습니다.
몬테소리 학교와 몬테소리 교육법
이 당시 아이들에게 주입식으로 가르치던 학습 방법은 '카사 데 밤비니'에서는 제외되었습니다. 각각 아이들의 인격을 존중하고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춘 교육이 실시되었습니다. 이 때야 비로소 아이들의 신체 구조에 맞는 책상과 의자가 처음 개발되었습니다.
마리아 몬테소리에게 교육이란 어린이의 생명에 대한 원조 활동이며, 어린이를 존중하며, 존재 자체를 발견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런 다음 어린이들이 성숙하기 위해서 나아갈 때 필요로 하는 도움, 즉 적절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또한 아이들은 어른과는 다르다는 기본 원칙 하에 정서적, 지적, 신체적으로 고루 키워줘야 할 하나의 인격체로 존중받아야 함을 강조했습니다.

몬테소리 교육법
'카사 데 밤비니'의 교육과정은 점차 세상에 알려지게 됩니다. 마리아 몬테소리가 스스로 관찰하며 경험한 것을 *책으로 만들어 널리 알리기도 했는데요. 이에 많은 나라에서 몬테소리의 교육법을 알고 싶어 했으며 이런 교육방법이 세계 각국에 퍼져 나가기 시작합니다.
* 1909년 저서 <몬테소리 방법-유아교육에 적용한 과학적 교육방법>을 통해 '몬테소리 교육법'을 창안했습니다.
이 책을 통해 '민감기'와 '흡수정신'이라는 개념을 처음으로 소개했으며, 생후 6살까지의 유아기는 외부의 모든 것들을 놀라울 정도로 '민감하게 흡수하는 시기임을 알렸습니다.
또한 그녀는 스페인, 네델란드, 인도 등에 살면서 저술활동과 강연을 통해 그녀의 교육 방법을 많은 사람들에게 알렸으며 본인 이름을 이용하여 몬테소리 아카데미를 세웠습니다 이 몬테소리 교육법은 자기 교육(Self-Education)을 기본으로 합니다. 19세기 말까지만 해도 어린이들은 통제할 수 없는 존재로 여겨졌습니다. 이로 인해 체벌과 주입식 교육에 노출되었으며, 이런 활동에 적응 못하는 아이들은 정신지체 아동으로 분류되어 도태되던 시기였습니다.
마리아 몬테소리는 애정과 관찰을 통해 어른으로 성장하기 전, 어린이들만이 가지고 있는 세계를 발견하고 인정했습니다. 그리고 그 안에서 자유롭게 스스로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준 것입니다. 이에 그녀의 공로를 인정해 노벨 평화상 후보에 여러 번 오르기도 했으나, 모두가 어린이들이 보여 준 것이라며 노벨 평화상을 양보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1990년 발행을 시작해 유로화 도입 이전까지 사용된 이탈리아의 1000리라 지폐 전면에는, 마리아 몬테소리가 후면에는 공부를 하는 아이들의 모습이 새겨져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짧은 일화와 그녀의 가치관을 정리하며 마치겠습니다.
몬테소리는 한 공원에서 거지 모녀를 만났습니다. 어린 딸은 구걸하는 엄마의 곁에서 헌 보자기를 손에 들고는 접었다 폈다를 반복하며 즐겁게 놀고 있었습니다. 비록 아이는 혼자 놀고 있었지만 헌 보자기와 친구가 되어 놀고 있는 아이의 행복한 표정을 보게 됩니다. 환하게 웃고 있는 아이의 표정을 보고 몬테소리는 놀이를 통한 교육방법을 연구하기로 마음을 먹었습니다.
이후 아이들의 인격을 존중하고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는 어린이의 집을 설립해, 본인이 고안해 낸 교육을 아이들에게 펼쳤습니다. 무관심했던 사람들도 어린이의 집에서 밝고 긍정적으로 자라나는 아이들을 보고, 이후 '몬테소리 교육법'이라 부르며 교육을 받고 싶어 했습니다.
"어린이를 핀을 꽂아놓은 박제된 나비처럼 만들지 마라."를 통해 그녀의 교육 가치관을 알 수 있습니다.
네덜란드에서 82세의 나이로 숨진 마리아 몬테소리 묘비에는 아래와 같은 글이 적혀 있습니다.
"무엇이라도 해낼 수 있는 사랑스러운 아이들에게 나는 인류와 전 세계의 평화 구축에 공헌해 주길 부탁 하노라."
이상 이탈리아 최초의 여의사이자 몬테소리 교육법과 어린이의 집을 만든 마리아 몬테소리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그림,한시] 신사임당의 그림 초충도와 초서, 한시 사친과 유대관령망친정
[그림,한시] 신사임당의 그림 초충도와 초서, 한시 사친과 유대관령망친정
오늘은 조선시대 대표적인 여류 문인이었던 신사임당의 일대기와 그림 초충도와 초서 병풍, 그리고 한시, 사친(思親)과 유대관령망친정(踰大關嶺望親庭)을 설명하겠습니다. - 조선시대 대표 여
nocturne13.tistory.com
[그림.시] 추사 김정희 그림 세한도. 송수권 정호승 시 세한도
[그림.시] 추사 김정희 그림 세한도. 송수권 정호승 시 세한도
오늘은 그림 한 편과 두 편의 시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그림은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 시는 송수권의 세한도, 정호승의 세한도입니다. 같은 제목을 두고 있는 작품들을 함께 감상해보겠습니다.
nocturne13.tistory.com
'읽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림.시]밀레 여자와 아이(침묵). 조용미 봄날 나의 침묵은 이문재 적막강산 (12) | 2022.12.12 |
---|---|
이만부. 한가로운 생활의 즐거움(閒居之樂) 예사. 나의 열 가지 즐거움 (14) | 2022.12.08 |
두 번째 블로그 애드센스 승인 과정과 후기 (25) | 2022.12.07 |
[책소개] 서울대 선정 인문고전 50선 인문고전 쉽게 접근할 수 있어요 (13) | 2022.12.02 |
[순우리말] 사람의 품성과 관련된 순우리말 가리사니 결기 깜냥 몽니 야바윗속 (19) | 2022.11.30 |
[어원]키토 뜻 키토제닉 케톤 저탄고지 식이요법 다이어트 방법 (13) | 2022.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