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마르크스의 자본론, 핵심 개념을 정리하고 이어서 애덤 스미스의 노동 가치론을 함께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마르크스 자본론 핵심 개념 정리 (2) 화폐의 기능. 공황
1) 절대적 잉여 가치와 상대적 잉여 가치
잉여 가치를 얻기 위해 노동자를 착취하는 방법입니다. 노동 시간을 연장해 잉여 가치의 절대량을 늘리는 방법을 '절대적 잉여 가치'의 생산이라고 합니다. 노동 생산성을 높임으로써 필요 노동 시간을 줄여 상대적으로 잉여 노동 시간을 늘리는 방법을 상대적 잉여 가치의 생산이라고 합니다.
2) 특별 잉여 가치
노동 행산성을 높여 동일한 노동 시간, 동일한 노동력으로 상품을 더 싸게, 더 많이 생산해 냄으로써 사회적 평균 가격과의 차이만큼 더 벌어들이는 잉여 가치를 말합니다.
3) 화폐
상품의 '교환 가치'와 똑같은 가치를 가진 것으로, 눈에 보이지 않는 상품의 '가치'를 표시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다시 말해서 상품의 교환을 매개하는 기능을 합니다.
4) 화폐의 물신성
화폐는 교환 과정에서 사용하기 위해 눈에 보이지 않는 상품의 가치를 눈에 보이는 형태로 나타낸 수단입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화폐 자체를 상품을 살 수 있는 능력을 지닌 것으로 인식해 돈이면 무슨 일이든 다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이것을 화폐의 물신성 또는 황금만능주의라고 합니다.
5) 화폐의 기능
상품의 가치를 나타내는 가치 척도의 기능, 상품의 교환을 매개하는 유통 수단의 기능, 원하는 시기에 원하는 상품을 언제든 구할 수 있도록 하는 축장(모아서 감추거나 거두어 둠)의 기능, 상품을 먼저 받고 상품의 가치를 후에 지불하는 외상, 신용 거래의 기능, 국가 간에 거래할 수 있게 하는 세계 화폐의 기능 등이 있습니다.
6) 개별 자본
어떤 간섭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순환 운동을 하는 개개 자본을 말합니다.
7) 고정 자본
자본을 한번 투자하면 생산을 반복할 때마다 다시 투자할 필요가 없는 생산 설비나 기계 같은 불변 자본을 의미합니다.
8) 사회적 총자본
개별 자본의 총량, 즉 긴밀한 관련을 맺으며 결합해 자본주의라는 거대한 구조를 만들어 내는 개별 자본의 총량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9) 산업 자본
자본가가 생산 과정에 처음 투자한 자본처럼 '화폐 자본→ 상품 자본→ 화폐 자본'으로 변신하면서 잉여 가치가 더해진 더 큰 자본을 만들어 내는 자본입니다.
10) 유동 자본
원료나 연료, 노동자의 노동력 등은 한 차례 상품을 생산하고 나면 다시 구입해야 합니다. 이처럼 생산을 반복할 때마다 다시 자본을 투자해야 하는 불변자본과 가변 자본을 유동 자본이라고 합니다.
11) 자본의 회전 운동
잉여 가치를 자본으로 회수하는 과정인 자본의 순환이 계속 반복되는 것을 말합니다. 자본이 회전한다는 것은 처음 투자한 화폐가 더 불어나서 증가한 화폐로 자본가의 손에 다시 회수된다는 뜻입니다.
12) 자본의 순환 과정
자본가가 자본으로 생산 수단과 노동력이라는 상품을 구입하여 생산 과정을 거친 뒤 상품을 생산하는 생산 과정과, 생산된 상품을 판매하여 다시 화폐를 얻는 유통 과정을 합한 것을 말합니다. 자본의 순환 과정은 자본가에게 처음 투자한 자본보다 더 많은 돈을 벌어다 주는 과정이기도 합니다.
13) 자본의 회전 기간
자본이 순환 과정을 거쳐 투자한 자본을 다시 회수하는 회전 운동에 걸리는 기간을 말합니다.
14) 화폐 자본과 상품 자본
자본의 순환 과정에서 처음에 자본가가 생산 수단이나 노동력을 구매하기 위해 투자한 자본과, 생산된 상품을 판매해 다시 화폐로 회수하는 자본을 각각 '화폐 자본'이라고 합니다. 이때 생산 과정을 통해 생겨난 잉여 가치가 포함되어 생산된 상품을 상품 자본이라고 합니다.
15) 대부 자본
화폐 자본이 하나의 상품처럼 필요한 사람에게 대부되고, 그 대신 얻는 이자를 이윤으로 벌어들이는 자본을 말합니다. 대표적인 대부 자본이 은행 자본입니다. 대부 자본은 산업이 발달할수록 그 중요도가 높아집니다.
16) 공황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생산에 숨어 있던 근본적 모순이 폭발해 자본주의 체제가 심각하게 동요되고 파탄에 이름으로써 자본주의 경제가 위기에 봉착한다고 보았습니다. 이러한 경제 위기를 공황이라고 합니다. 이윤을 얻으려는 자본가들의 무한 경쟁이 과잉 생산을 가져오고, 과잉 생산된 상품은 판매 부진으로 기업에 부도와 도산을 초래하며 금융과 신용 거래를 무너뜨립니다. 그와 더불어 실업자가 대량 발생해 시장의 모든 균형이 파괴되는 위기, 즉 공황이 온다는 것입니다. 마르크스는 공황을 자본주의 경제에서만 나타나는 특유의 경제 현상으로 보았습니다.
17) 이윤과 이윤율
생산 과정에 들어간 총자본이 생산해 낸 잉여 가치를 이윤이라 하고, 총자본에 대한 이윤의 비율을 이윤율이라고 합니다. 마르크스에 따르면 자본가는 이윤의 원천이 노동자의 노동이라는 사실에는 관심이 없고, 총자본이 어느 정도의 잉여 가치를 생산해 내는지, 즉 이윤과 이윤율이 어느 정도인지에만 관심을 보인다고 합니다.
18) 사회적 총자본의 운동
개별 자본의 총량인 사회적 총자본은 개별 자본처럼 가치를 생산하는 사회적 생산 활동을 통해 자본주의적 생산관계를 계속 재생산합니다. 사회적 총자본으로 이루어지는 사회적 생산은 크게 생산 수단을 생산하는 '생산 1'과 노동자와 자본가에게 필요한 생활필수품, 즉 소비 수단을 생산하는 '생산 2'로 이루어집니다. 사회적 생산의 1과 2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사회적 총자본을 재생산합니다.
19) 이윤율 저하 경향
자본가들이 노동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불변 자본에 대한 투자를 늘릴수록, 가변 자본에 투자된 자본보다 불변 자본에 투자된 자본이 증가해 자본의 유기적 구성이 높아지는데, 그럴수록 이윤율은 점점 낮아지는 모순이 벌어집니다. 이런 경향을 '이윤율 저하 경향'이라고 합니다. 불변 자본에 대한 투자를 늘리는 것은 더 높은 이윤율을 얻기 위해서인데, 이런 투자가 증가함에 따라 이윤율은 더 낮아지는 반대 결과가 초래됩니다.
20) 불황
호황의 반대말로 흔히 '불경기'라고 합니다. 자본주의 경제에서 수요 부족으로 생산된 상품이 소비되지 않아 생산 활동과 소비 활동이 모두 침체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불황이 되면 투자와 소비가 감소하고, 실업자가 증가해 임금과 물가가 하락하며, 기업 이윤이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21) 평균 이윤율
개별 자본은 항상 이윤율이 높은 곳을 향해 같은 산업 분야 내에서 혹은 한 산업 분야에서 다른 산업 분야로 이동하는 속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사회적 총자본의 이윤율은 개별 자본의 이윤율 증가와 감소가 서로 상쇄되어 사회적으로 보면 평균을 이루는데, 이것을 '평균 이윤율'이라고 합니다.
애덤 스미스. 리카도. 마르크스의 노동 가치론
상품의 사용 가치와 교환 가치 중 어느 것이 상품의 가격을 결정하는지에 대한 입장 차이는 경제학을 서로 다른 두 방향으로 발전시켜 왔습니다. 상품 생산을 위해 투입된 노동의 양인 교환 가치에 따라 가격이 결정된다는 노동 가치론과, 상품의 사용 가치를 통해 얻는 만족감인 효용에 따라 가격이 결정된다는 효용 가치론이 있습니다.
◈ 노동 가치론
노동 가치론을 처음 제기한 사람은 애덤 스미스였습니다. 애덤 스미스는 자본주의 경제가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지를 연구해 1776년 <국부로>을 썼습니다. 그 뒤를 이어 영국의 경제학자 리카도가 상품의 가격은 상품을 생산하는 데 들어간 노동량으로 결정되며, 노동량은 노동 시간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는 노동 가치론을 확립했습니다.
마르크스는 애덤 스미스와 리카도의 조동 가치론을 계승하여 인간의 노동만이 가치를 만들어 내는 유일한 원천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리고 노동 가치론을 잉여 가치론으로 발전시켰습니다. 즉 자본가가 노동자들이 만든 가치를 노동자에게 돌려주지 않고 착취한다는 것이었습니다. 마르크스의 주장은 이후 불평등한 자본주의 사회를 비판하고 공정한 분배에 초첨을 맞춘 사회주의 경제학의 주요 이론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 효용 가치론
효용 가치론자들은 상품의 가격이 인간의 노동량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니라 상품을 사용하는 소비자들의 주관적인 만족감, 즉 효용에 달려 있다고 봅니다. 예를 들어 우표를 수집하는 취미를 가진 사람에게 오래된 우표는 아주 높은 효용을 가져다줍니다. 따라서 기꺼이 비싼 가격을 지불하고 우표를 산다는 것입니다.
애덤 스미스가 다이아몬드는 물에 비해 효용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효용이 더 많은 물보다 비싸게 거래된다는 가치의 역설을 예로 들어 상품의 가격과 효용의 크기가 서로 일치하지 않음을 설명했습니다. 이에 대해 효용 가치론자들은 효용과 가치가 서로 일치하지 않음을 설명했습니다. 이에 대해 효용 가치론자들은 효용과 가격이 일치하지 않는 이유는 물이 다이아몬드보다 훨씬 흔하기 때문이라며 애덤 스미스가 언급한 가치의 역설을 반박했습니다. 즉 다이아몬드의 한계 효용이 물의 한계 효용보다 훨씬 높기 때문에 다이아몬드의 가격이 더 비싸다는 것입니다.
효용 가치론은 노동 가치론을 반대하는 자본가들의 이윤 추구를 정당화하고, 분배의 평등보다는 경제 성장을 더 우선시하는 자본주의 경제학의 주요 이론으로 발전해 갔습니다.
이상 마르크스 자본론의 핵심 개념과 애덤 스미스의 노동 가치론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국어 개념] 화법의 요소 기능 성격. 화법의 표현 전략
'오늘도 > 생활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바른 맞춤법] 일체와 일절. 같은 음 다른 뜻 한자. 가.결.의.표 (0) | 2024.05.23 |
---|---|
비문학 개념 어휘/시저 생애. 아카데미학파.피타고라스학파. 소요학파 정리 (16) | 2024.02.10 |
비문학 개념 어휘/옥타비아누스 생애. 스토아학파 에피쿠로스학파 정리 (17) | 2024.02.08 |
비문학 개념 어휘/마르크스 자본론 핵심 개념 정리(1) 상품의 가치.잉여가치 (22) | 2024.02.01 |
[어휘.속담] 박꽃의 특성과 꽃말. 기다림 바가지와 관련된 어휘. 속담 (12) | 2023.05.11 |
[올바른 맞춤법] 든지 던지. 든가 던가 (8) | 2023.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