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읽다

사이시옷 붙이는 경우 안 붙이는 경우. 이와 히 구별 정리. 으를 넣는 경우

반응형

오늘은 사이시옷을 붙이는 경우와 안 붙이는 경우, '이'와 '히'를 구별하는 방법 그리고 '-으-'를 넣는 경우와 안 넣는 경우를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사이시옷 붙이는 경우 안 붙이는 경우

두 말이 합해진 합성어에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났을 때 'ㅅ'이 끝소리로 들어가는 경우가 있는데, 이 'ㅅ'을 두고 사이시옷이라고 합니다.

 

 

 

 

 

1. 순 우리말로 합성한 말이나, 순 우리말과 한자에에 합성한 말에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로 다음과 같은 때에 사이시옷을 넣습니다.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경우.

고랫재, 귓밥, 나룻배, 나뭇가지, 냇가, 댓가지, 맷돌, 머릿기름, 모깃불, 바닷가, 뱃길, 부싯돌, 선짓국, 쇳조각, 잇자국, 잿더미, 조갯살, 찻집, 핏대, 부싯돌, 선짓국, 쇳조각, 잇자국, 잿더미, 조갯살, 찻집, 핏대, 햇볕, 혓바늘, 귓병, 머릿방, 샛강, 아랫방, 자릿새, 전셋집, 찻잔, 콧병, 탯줄, 텃세, 햇수, 횟가루

 

 

 

2)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소리가 덧나는 경우.

맷나물, 아랫니, 텃마당, 아랫마을, 뒷머리, 잇몸, 깻묵, 냇물, 빗물, 곗날, 제삿날, 훗날, 툇마루, 양칫물

 

 

 

3) 뒷말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소리가 덧나는 경우.

뒷윷, 두렛일, 뒷일, 베갯잇, 깻잎, 나뭇잎, 댓잎, 가욋일, 사삿일, 예삿일, 훗일

 

 

 

 

2. 한자어끼리 합쳐진 합성어에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습니다. 그러나 두 음절로 된 다음 한자어 6개는 사이시옷을 사용합니다.

 

 

1)庫間(곳간)

 

2) 貰房(셋방)

 

3) 數字(숫자)

 

4) 車間(찻간)

 

5) 退間(툇간)

 

6) 回數(횟수)

 

 

 

 

3. '차(茶)'로 시작하는 한자어에는 사이시옷을 붙입니다. 현재 '차'를 한자로 쓰는 경우가 많지만 원래는 순 우리말입니다.

 

 

茶盞(찻잔), 茶鍾(찻종), 茶欌(찻장), 茶酒煎子(찻주전자)

 

 

 

'이'와 '히'의 구별 방법

1. '히'를 쓰는 경우

 

1) '히'로만 소리 나는 것은 '히'를 붙입니다. 예) 특히, 급히, 정확히

 

2) '하다'가 붙으면 '-히'를 사용합니다. 예) 분명하다 → 분명히, 엄격하다 → 엄격히, 정확하다 → 정확히

 

3) 예외로는 'ㅅ' 받침에는 '이'를 사용합니다. 예) 깨끗이(깨끗하다+이), 번듯이(번듯하다+이)

 

 

 

 

2. '이'를 쓰는 경우

1) '이'로만 소리가 나는 것에는 '이'를 붙입니다. 예) 기꺼이(O), 기꺼히(X)

 

2) 같은 글자가 반복되는 말(첩어) 뒤에는 '이'를 사용합니다. 예) 번번이, 줄줄이, 샅샅이, 곳곳이.

 

*하지만 반복되는 말이어도 '-하다'가 붙은 말 뒤에는 '히'를 사용합니다. 예) 꼼꼼히(꼼꼼하다+히), 급급히(급급하다+히), 답답히(답답하다+히)

 

 

3) 어근의 끝소리가 'ㄱ' 또는 'ㅅ'인 경우엔 '하다'가 붙더라도 '이'를 사용합니다. 예) 깊숙하다 → 깊숙이, 깨끗하다 → 깨끗이.

 

 

 

 

'이'와 '히' 쓰는 경우 정리

1) '이'로 적어야 하는 경우('히'로 발음되는 예가 없음)

깨끗이, 산뜻이, 의젓이, 가까이, 고이, 겹겹이, 일일이, 집집이, 느긋이, 가까이, 반듯이(반듯하게), 적이, 버젓이, 틈틈이, 낱낱이, 번번이, 따뜻이, 의젓이, 날카로이, 대수로이, 헛되이.

 

 

 

2)  '히'로 적어야 하는 경우('히'로 발음하거나, '이', '히'로 발음되는 것)

정확히, 솔직히, 가만히, 간편히, 나른히, 각별히, 과감히, 쓸쓸히, 고요히, 도저히, 조용히, 열심히, 딱히, 엄격히, 무단히, 소홀히, 꼼꼼히, 분명히, 극히, 급히, 딱히, 속히, 특히, 심히, 급급히, 능히, 당당히.

 

 

 

'-으-'를 넣는 경우와 안 넣는 경우

1) '-으-'는 발음을 편하게 하려고 집어넣는 때가 있습니다. 예) 많으시다, 걸으시다, 먹으니

 

 

2) 'ㄹ탈락 용언'은 받침 'ㄹ'이 'ㄴ, ㅂ, ㅅ, ㅇ' 앞에서 빠져나가야(탈락) 합니다. 그런데도 '-으'를 넣고 'ㄹ'을 남겨 둡니다. 특히 어린아이들의 화법에서 많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예) 김치를 썰시다(X) → 김치를 써시다(O)

 

하늘을 날는 비행기(X) → 하늘을 나는 비행기(O)

 

걸레를 빨니까(X) → 걸레를 빠니까(O)

 

녹슬 못(X) → 녹슨 못(O)

 

낯설 고향(X) → 낯선 고향(O)

 

물들 단풍(X) → 물든 단풍(O)

 

거칠 행동(X) → 거친 행동(O)

 

하루이틀 살 게 아냐(X) → 하루이틀 산 게 아냐(O)

 

너무 멀니까 못 가(X) → 너무 머니까 못 가(O)

 

 

 

이상 사이시옷을 붙이는 경우와 안 붙이는 경우, '이'와 '히'를 구별하는 방법 그리고 '-으-'를 넣는 경우와 안 넣는 경우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올바른 맞춤법] 든지 던지. 든가 던가

 

[올바른 맞춤법] 든지 던지. 든가 던가

오늘의 올바른 맞춤법은 든지와 던지, 든가와 던가입니다. 비슷해 보이지만 용도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든지, 던지, 든가, 던가를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올바른 맞춤법]을 통해 실생활 속에서

nocturne13.tistory.com

 

 

 

[올바른 맞춤법] 만큼. 의존명사 조사 만큼. 만큼 띄어쓰기. 얼마만큼과 얼마큼

 

[올바른 맞춤법] 만큼. 의존명사 조사 만큼. 만큼 띄어쓰기. 얼마만큼과 얼마큼

오늘의 올바른 맞춤법은 만큼입니다. 의존명사 만큼과 조사 만큼, 명사 얼마만큼 부사 얼마만큼(얼마큼)에 대해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올바른 맞춤법]을 통해 실생활 속에서 자주 헷갈리는 맞

nocturne13.tistory.com

 

 

 

[올바른 맞춤법] 이에요 이예요. 이어요. 아니에요 아니어요. 같은 음 다른 뜻 한자 간.악.평.판

 

[올바른 맞춤법] 이에요 이예요. 이어요. 아니에요 아니어요. 같은 음 다른 뜻 한자 간.악.평.판

오늘의 올바른 맞춤법은 에요와 예요. 이어요, 아니에요와 아니어요입니다. (같은 음 다른 뜻 한자 간, 악, 평, 판) [올바른 맞춤법]을 통해 실생활 속에서 자주 헷갈리는 맞춤법을 쉽고 간단하게

nocturne1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