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우정(친구)을 나타내는 한자어가 많이 있는데요.
오늘은 그중에서 '백아절현(伯牙絶絃)'을 설명하겠습니다.
伯 : 맏백 牙 : 어금니아 絶 : 끊을절 絃 : 악기줄현
이는 백아(伯牙) 가 거문고 줄을 끊었다는 뜻으로,
자기를 알아주는 절친한 벗의 죽음을 슬퍼한다는 말입니다.
여기에서 '백아'는 사람 이름입니다.
왜 백아가 거문고 줄을 끊었으며?
왜 이 사자성어가 절친한 벗의 죽음을 슬퍼한다는 뜻이 되었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
백아는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나라의 실존 인물입니다. 원래는 초나라 사람이지만 진나라에서 고관을 지냈습니다.
백아는 이름난 거문고의 달인이었으며 이에게는 절친한 벗인 종자기가 있었습니다.
종자기는 백아가 거문고를 연주하면 늘 맞장구를 쳐주던 친구였지요.
어느 날 두 사람은 놀러 갔다가 갑자기 쏟아지던 비를 피해 동굴로 들어갔습니다.
여기서 백아는 빗소리에 맞춰 거문고를 연주했지요.
그때마다 종자기는 백아의 연주를 꿰뚫어
그가 연주하는 곡들의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며 감상을 했습니다.
이렇게 이들은 거문고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음을 나누는 사이였습니다.
백아는 자기의 음악을 진정으로 아는 사람은 종자기밖에 없다며,
소리를 알아듣는 친구라 하여 '지음(知音)'이라 부르며 우정을 나누게 되었습니다.
여기에서 '지음(知音)' 이 유래되었는데요,
지음은 말이 없어도 속마음까지 다 이해한다는 벗을 나타내는 말이 되었습니다.
이렇게 서로의 마음을 돈독하게 나누며 지내던 어느 날,
종자기가 병으로 갑자기 세상을 뜨게 됩니다.
백아는 자기가 아무리 연주를 해도 마음으로 듣는 친구는 이제 없다며
절망한 끝에 연주하던 거문고의 줄을 칼로 다 끊어버립니다.( 백아졀현, 伯牙絶絃)
그리고는 죽을 때까지 거문고를 연주하지 않았습니다.
여기에서 비롯된 말이 백아졀현이며, 이를 줄여서 절현이라고도 합니다.
백아가 거문고 줄을 끊을 때의 비통함이 느껴져 저는 이 사자성어를 볼 때마다 마음이 저릿합니다.
이외에도 우정을 나타내는 한자어는 다양한데요.
공자가 이야기한 이로운 벗과, 해가 되는 벗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이로운 벗에는 직우, 양우, 다문우가 있으며
해로운 벗에는 편벽우, 선유우, 편녕우가 있습니다.
직우는 나의 잘못을 바로잡아주는 벗이며, 양우는 나를 성실로 이끌어주는 벗이고,
다문우는 나의 지식을 넓혀주는 친구입니다.
이에 반해 편백우는 편한 것만 좋아하고 하기 싫은 것은 피하는 벗이며,
선유우는 아첨하여 남을 기쁘게 하기만 잘하는 불성실한 벗이고
편녕우는 번드르르하게 말만 잘하는 벗입니다.
'근묵자흑'이라는 말처럼 어떤 친구를 가까이 두고 지내느냐에 따라
그 사람의 됨됨이가 달라집니다. 또한 친구를 보면 그 사람의 됨됨이도 알 수 있다고 하는데요.
나는 친구에게 과연 어떤 벗인가?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이밖에 우정을 나타내는 한자어로는,
지란지교 - 지초와 난초와 같이 향기로운 사귐을 나타냄
단금지교 - 두 사람이 합심하면 단단한 쇠도 끊을 수 있음
문경지교 - 친구를 위해 자기의 목을 내줄 수 있을 정도의 사귐을 나타냄
수어지교 - 물과 물고기처럼 아주 친밀해서 떨어질 수 없는 사이를 뜻함
이 있습니다.
오늘은 친구와 관련된 한자어들을 알아보았는데요.
백아와 종자기의 이야기를 알고 난 후, 저도 '지음' 이야기를 친구에게 글로 전하며
넌 나의 '지음' 이라고 고백했습니다.^^
'읽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림 Lady Godiva 고디바 부인의 전설 (88) | 2022.06.16 |
---|---|
능소화 능소화의 전설 다시는 헤어지지 말자 꽃이여 (65) | 2022.06.14 |
이규보 부채에 부치는 글 단오 부채 (66) | 2022.06.13 |
소울 소울푸드 톳김밥 (81) | 2022.06.10 |
고람 전기 매화초옥도 (56) | 2022.06.09 |
Ig 노벨상 이그 노벨상 (51) | 2022.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