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읽다

[어휘.사자성어] 냄새와 관련된 한자 어휘 사자성어. 악취를 내뿜는 밍크

반응형

오늘은 냄새와 관련된 한자, 어휘, 사자성어와 악취를 내뿜은 밍크의 특성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악취를 내뿜는 동물 하면 대표적으로 스컹크가 떠오르는데요. 스컹크 못지않은 악취를 내뿜는 동물이 있습니다.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스컹크보다 심한 악취를 내뿜는 밍크의 특성

밍크는 족제빗과에 속하는 *반수생 포유류이며, 크게 아메리카밍크와 유럽밍크 2종으로 분류됩니다. 

*반수생(半水生) : 물과 육상을 오가며 생활함.

2종 모두 크기는 31-45cm로 비슷하지만 아메리카밍크는 검은색이나 진한 갈색을 띠며, 유럽밍크는 적갈색이나 황갈색을 띱니다. 아메리카밍크는 알래스카와 캐나다가 원산지였으나 지금은 유럽과 남미 러시아 일본 등 전 세계에 분포해 있습니다. 유럽밍크는 19세기까지 유럽 전역에 퍼져 있었으나 이후 개체 수가 급감하여 현재는 루마니아와 우크라이나 등 유럽 일부 지역에서만 서식하고 있습니다.

 

 

밍크는 털 색깔이 우아하고 촉감과 탄력이 좋아 아주 오래전부터 고급 외투를 만드는데 사용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보다 더 아름다운 색을 띠는 털을 만들기 위해 모피 농장에서는 많은 개량종을 만들고 있으며, 현재 거래되는 모피의 대부분은 이런 양식 밍크로부터 얻어진 것입니다. 보통 모피 코트 1벌을 만드는 데는 평균 30마리 이상의 밍크가 필요합니다. 아메리카밍크의 겨울 털이 유럽밍크보다 밀도가 높고 길고 부드러워서 더 많이 사육되고 있습니다.

 

 

밍크는 족제빗과에 속하는 반수생 포유류입니다.

 

 

밍크는 왜 심한 악취를 내뿜을까요?

밍크는 우리나라 수달과 서식 환경이 비슷해 하천이나 호수 해안 등 물가에서 살며, 물고기나 쥐 개구리 뱀 가재 등을 먹고, 뒷발 발가락 사이에 작은 물갈퀴가 있어 수영도 잘합니다. 이때 앞다리와 뒷다리를 동시에 저으면서 앞으로 나아갑니다. 야행성이지만 낮에도 종종 활동을 하며 단독 생활을 합니다. 한 암컷이 여러 수컷과 짝짓기를 하며 한 배에서 보통 2-8마리의 새끼를 낳습니다.

 

 

밍크는 보통 1-6cm 정도 자기 영역권을 만듭니다. 이때 땅에 배설물을 뿜어대거나 항문 부위를 문질러서 자기 영역임을 표시하며, 위협을 받거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항문 옆에 있는 한 쌍의 항문선에서 배설물을 뿜어댑니다. 이렇게 뿜어대는 악취는 스컹크의 배설물보다 더 심하다고 합니다.

 

 

 

기취여란(其臭如蘭)은 절친한 친구 사이를 의미합니다.

 

 

냄새와 관련된 한자 어휘

◈ 臭 냄새 취, 맡을 후

1. 냄새 취

1) 냄새  2) 구린내  3) 향기  4) 썩다, 부패하다  5) 더럽히다, 추악하다  6) 맡다, 냄새나다  7) 추악하다  8) 무가치하다

 

2.  맡을 후 :  '냄새를' 맡다.

 

 

 

1. 악취(惡臭) : 1) 악취  2) 고약한 냄새.

 

2. 체취(體臭) : 1) 몸의 냄새 2) 사람이나 작품 등에서 풍기는 특유한 느낌.

 

3. 탈취(脫臭) : 1) 탈취제 등에 의해 냄새를 빼어 없앰. 2) 유지의 정제 공정의 하나. 유지 특유의 냄새를 제거함.

 

4. 향취(香臭) : 좋은 느낌을 주는 냄새.  5. 액취(腋臭) : 腋 겨드랑이 액, 암내.

 

6. 하취(夏臭) : 구린 냄새.

 

7. 취패(臭敗) : 1) 썩음 2) 냄새가 나도록 부패함 3) 부패하여 무용지물이 됨.

 

8. 동취(銅臭) : 동전에서 나는 냄새라는 뜻이며, 재화를 탐하여 그것을 자랑하거나, 재화로써 출세하는 따위. 모든 일을 금전으로 해결하는 사람의 행위를 비웃는 말.

 

9. 이취(異臭) : 1) 이상한 냄새 2) 코를 찌르는 냄새.

 

10. 동취(同臭) : 1) 같은 냄새 2) 같은 취미를 가진 동아리.

 

11. 속취(俗臭) : 1) 고상하지 못하고 속된 냄새 2) 염증이 날 만한 범속한 기풍.

 

12. 구취(口臭) : 입에서 나는 구린 냄새.  13. 취기(臭氣) : 비위를 상하게 하는 좋지 못한 냄새.

 

14. 취슬(臭蝨) : 빈대.  15. 방취(防臭) : 나쁜 냄새가 풍기지 못하게 막음.

 

16. 시취(屍臭) : 시체에서 나는 썩는 냄새.  17. 유취(屍臭) : 젖에서 나는 냄새. 젖내.

 

18. 초취(焦臭) : 고린내. 썩은 풀이나 썩은 달걀 따위에서 나는 냄새와 같이 고약한 냄새.

 

19. 취예(臭穢) : 나쁜 냄새가 나고 더러움.  20. 부취(腐臭) : 썩어서 풍기는 고약한 냄새.

 

21. 성취(腥臭) : 비린내. 날콩이나 물고기. 동물의 피 따위에서 나는 역겹고 매스꺼운 냄새.

 

22. 혹취(酷臭) : 심히 나쁜 냄새. 혹심한 냄새.  23. 오취(汚臭) : 더러운 냄새.

 

24. 취미(臭味) : 냄새와 맛.  25. 조취(臊臭) : 누린내. 짐승의 고기에서 나는 기름기의 냄새.

 

26. 무취(無臭) : 냄새가 없음.

 

27. 오취(五臭) : 다섯 가지의 냄새. 노린내, 비린내, 향내, 타는 내, 썩은 내.

 

28. 취충(臭蟲) : 빈대.  29. 여취(餘臭) : 남아 있는 냄새.  30. 독취(毒臭) : 독한 냄새.

 

31. 불취(不臭) : 냄새나지 아니함.  32. 주취(酒臭) : 술 취한 사람에게서 나는 술냄새.

 

32. 상취(爽臭) : 쉰내.  33. 하취(夏臭) : 고린내. 34. 동취(銅臭) : 녹내. 금속에 난 녹의 냄새.

 

 

 

냄새와 관련된 사자성어(한자성어)

1. 취여란(臭如蘭) : 방향(芳香)이 난조의 향기와 같다는 뜻이며, 여럿이 합심해서 하는 말이 다른 것에  미치는 힘은 매우 큼을 비유해 이르는 말입니다.

 

2. 구상유취(口尙乳臭) : 입에서 아직 젖내가 난다는 뜻이며, 말과 하는 짓이 아직 유치(幼稚)함을 의미합니다.

 

3. 기취여란其臭如蘭 : 절친한 친구 사이를 의미합니다.

 

4. 유취만년(遺臭萬年) : 냄새가 만 년에까지 남겨진다는 뜻이며, 더러운 이름을 영원히 장래에까지 남김을 의미합니다.

 

5. 황구유취(黃口乳臭) : 부리가 누런색 새끼같이 아직은 어려서 입에서 젖비린내가 난다는 뜻이며, 남을 어리고 하잘것없다고 비웃는 것을 의미합니다.

 

6. 무성무취(無聲無臭) 

1) 자연의 도는 알기 어려워서 들어도 소리가 없고, 맡아도 냄새가 없음을 의미합니다.

2) 은거하여 나타나지 않음을 비유해 이르는 말입니다.

 

 

7. 동심지언기취여란(同心之言其臭如蘭) : 마음을 함께 하는 말은 그 냄새가 난초(蘭草)와 같음을 의미합니다.

 

 

 

이상 냄새와 관련된 한자, 어휘, 사자성어와 악취를 내뿜은 밍크의 특성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출처 및 참고 -조선일보)

 

 

 

[어원.유래] 우리나라 담양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 명소. 메타세쿼이아 어원 유래

 

[어원.유래] 우리나라 담양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 명소. 메타세쿼이아 어원 유래

오늘은 메타세쿼이아 어원과 유래 그리고 우리나라 담양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 명소를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제가 유년시절을 보냈던 곳과, 현재 거주지에서는 쉽게 만날 수 없는 나무가 있는

nocturne1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