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양사언과 관련된 설화와 생애 그가 쓴 초서, 그리고 가사 '미인별곡'과 시조 '태산이 높다 하되'를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문장가이며 서예가였던 그의 작품이 설화와 함께 전해지고 있는데요.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양사언의 생애
양사언(호는 봉래, 1517-1584)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문장가이며 서예가입니다. 양사언을 포함하여 형 양사준과 아우 양사기, 모두 글이 뛰어나 중국의 삼소(소식, 소준, 소철)에 견주어지기도 했습니다. 또한 양사언의 아들 양만고도 문장과 서예로 이름을 떨쳤습니다.
1546년에 급제해 함흥, 평창, 강릉 등 8고을의 수령을 지냈습니다. 자연을 즐겨 회양의 군수로 있을 때는 금강산에 자주 가서 경치를 감상했으며, 이때 만폭동의 바위에 '봉래풍악원화동천'이라 글씨를 새겼는데요. 지금도 남아 있습니다. 병란을 미리 예측해 말과 식량을 비축해 놓기도 했으며, 지릉(이성계 증조부의 묘)에 화재가 나자 이에 책임을 지고 황해도로 귀양을 갔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2년 뒤 유배에서 풀려나 돌아오는 길에 세상을 떠났습니다. 40여 년 간 관직에 있으면서도 부정을 일으키지 않았고 유족에게 재산을 남기지 않았습니다.
양사언과 어머니의 설화. 동야휘집
양사언의 어머니(유씨 부인)는 신분이 낮은 집안의 여인이었는데, 우연히 양사언의 아버지와 인연을 맺어 아들 양사언이 태어났습니다. 양사언은 비록 서출이었지만 실력이 뛰어나 궁궐 밖에서 만난 성종의 눈에 띄어 벼슬자리에 오르게 됩니다.
이에 양사언 어머니는 아들이 서출임이 드러나지 않게 스스로 목숨을 끊었습니다. 이러한 어머니의 목숨과 바꾼 희생 덕분에 서출임이 드러나지 않고 묻히게 됩니다.
이밖에 출생에 관련된 설화가 「동야휘집」에 실려 전해지고 있으며, 그의 어머니에 대한 이야기들을 살펴보면 얼마나 지혜롭고 훌륭한 성품을 지닌 분이었는지 알 수 있습니다.
* 여기까지가 설화로 전해지는 이야기입니다.
실제로는 양서언의 친모인 유씨 부인은 정실 부인이었습니다. 또한 조선시대에도 재취부인은 정실 부인으로 인정받았으며 그 자녀는 공적으로 차별받지 않았습니다.
양사언의 초서
조선 4대 명필 중 한 사람으로서 초서체로 이름을 남겼습니다.
◈ 조선 4대 명필
* 사자관체 - 석봉 한호
* 예서체 - 비해당 이용
* 인수체 - 자암 김구
* 초서체 - 봉래 양사언
양사언의 미인별곡
미인별곡은 양사언이 미인을 소재로 지은 고전가사입니다. 보통 이 시기의 '미인(美人)'이란 임금을 비유했으나, 양사언의 '미인별곡'은 글자 그대로 아름다운 여인을 가리키며 노래하고 있습니다.
미인별곡은 24면짜리 첩책(牒冊)으로 전해지며, 이 첩책에는 제목과 작자가 쓰여 있지 않지만 양사언의 문집 「봉래시집」에 수록된 장단구 '미인별곡'과 의취(意趣)가 같아 제목을 '미인별곡'이라 하고 작자를 양사언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미인별곡의 특징과 평가
가사 문학 속 '미인'은 송강 정철의 <사미인곡>, <속미인곡> 등과 같이 추상적이고 상징적인 의미를 가집니다. 일반적으로는 임금을 비유하고 있지만 양사언의 '미인별곡'은 아름다운 여인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짧은 가사 형식이며, 아름다운 여인의 자태와 행동거지, 그리고 노래를 부르며 교태를 부리는 모습을 중국의 고사를 인용해 직접적으로 비유했습니다. '~하는 듯'이라는 표현을 반복하며 비교적 단순한 구조로 지어진 작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출처 및 참고 - 향토문화전자대사전)
양사언의 시조. 태산이 높다 하되
태산이 높다 하되 하늘 아래 뫼이로다.
오르고 또 오르면 못 오를리 없건마는
사람이 제 아니 오르고 뫼만 높다 하더라.
「청구영언」에 실린 양사언의 시조입니다. 태산이 제 아무리 높아도 하늘 아래 있는 산에 불과하니, 오르고 또 오르면 오를 수 있으나. 오르지도 않고 산만 높다한다. 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위에서 살펴 본 양사언의 생애와 그의 어머니와 관련된 설화에 대입해 보면, 그가 오르고 또 오르고자 했던 태산, 그리하여 올랐던 태산은 그 당시 그의 '신분'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양사언과 훌륭한 성품을 지녔던 그의 어머니가 함께 태산에 올랐습니다.
이상 양사언의 생애와 설화, 초서 그리고 가사 '미인별곡'과 시조 '태산이 높다 하되'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어원.유래] 소나무의 어원과 유래 특성 소나무의 전설
[그림,한시] 신사임당의 그림 초충도와 초서, 한시 사친과 유대관령망친정
'읽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래] 2023년 24절기 유래. 빨간날(쉬는날) 법정공휴일 대체공휴일 정리 (14) | 2023.01.02 |
---|---|
[순우리말] 계절과 때와 관련된 순우리말1. 나달 나무말미 빨래말미 낮곁 서리가을 (9) | 2023.01.01 |
[유래.사자성어] 교토삼굴. 대비책(미리 준비함)과 관련된 사자성어 (9) | 2022.12.31 |
[그림] 계묘년 토끼 특성. 토끼와 관련된 그림(화조영모도).민화(문자도:치) (16) | 2022.12.28 |
[그림.시] 이용휴 정재중에게. 이은상 소경 되어지다. 그림 남계우 꽃과 나비. 눈(目)과 관련된 글과 시 (12) | 2022.12.24 |
[브리핑] 2023-2024 한국관광 100선. 새해에는 이곳 어떠실까요? (14) | 2022.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