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읽다

[유래.사자성어] 교토삼굴. 대비책(미리 준비함)과 관련된 사자성어

반응형

오늘은 교토삼굴(狡免三窟)의 유래와 대비책(미리 준비함)에 관련된 사자성어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전국시대 제나라의 '맹상군'과 '풍환' 이라는 인물에서 비롯된 한자성어(사자성어)인데요. 바로 알아보겠습니다.(출처 및 참고 - 공부왕이 즐겨찾는 고사성어 탐구백과, 글터 반딧불 지음, 국민출판)

 

 

사자성어 교토삼굴(狡免三窟) 의미

꾀 많은 토끼는 굴을 세 개 만든다는 뜻으로, '앞으로 닥칠 위기를 미리 준비함'을 의미합니다.

 

 

▶ 狡 : 교활할 교

- 개의 개사슴록변(犭,犬)과 사귀다의 교( 交)로 이루어진 글자입니다.

- 개 같은 사귐이라 해 '교활하다'는 의미입니다.

 

 

▶ 免 : 토끼 토

- 긴 토끼 귀와 짧은 꼬리를 본뜬 글자로 '토끼'를 의미합니다.

 

 

▶ 三 : 석 삼

- 세 손가락을 옆으로 펴거나 나무젓가락 세 개를 옆으로 놓은 모양을 나타내 '셋'을 의미합니다.

 

 

▶ 窟 : 굴 굴

- 구멍 혈(穴)과 몸을 굽히다의 굴(屈)로 이루어진 글자입니다.

- 몸을 굽히고 들어가는 '구멍, 굴'을 의미합니다. 

 

예) 석굴암(庵), 동굴(), 소굴()

 

 

교토삼굴은, 꾀  많은 토끼는 굴을 세 개 만든다는 뜻입니다.

 

교토삼굴(狡免三窟)의 유래 

전국시대 제나라에 '맹상군'이라는 인물이 있었습니다. 왕족의 한 사람이었던그는 막강한 재력을 가지고 있었는데요. 그래서 늘 식객들로 집이 붐볐습니다. 옛날에는 세력가 집에 얹혀 살면서 밥을 얻어 먹는 사람들이 많았는데 이를 '식객'이라 불렀으며, 맹상군은 식객들과 어울려 세상 이야기를 즐기는 사람이었습니다. 그래선지 그의 집에 머물던 식객들이 많을 때는 3천명에 이를 정도였습니다. 

 

 

'풍환'이라는 사람이 이 소문을 듣고,그 역시 찾아가 식객이 되었습니다. 이 무렵 맹상군은 '설'이라는 지역을 다스리고 있었는데요. 그 지역 백성들에게 돈을 빌려 주고 이자를 받아 수많은 식객들을 먹여 살렸습니다. 그런데 문제가 있었습니다.

돈을 빌린 백성들이 갚지 않는 경우가 생겼습니다.

 

 

'누굴 보내서 돈을 갚으라고 하면 좋을까?' 

궁리를 하던 차에, 1년 동안 하는 일 없이 밥만 축내던 '풍환'이 자처했습니다.

 

 

"빛을 받은 다음에는 뭐 사 올 것은 없을까요?"

"무엇이든 좋으니, 여기에 없는 것을 사오시오."

 

 

'설'에 도착한 풍환은 빌린 돈이 적힌 문서를 살피고, 그곳 사람들을 불러 모았습니다. 그리고는 갚을 여유가 있는 사람들로부터 이자를 받았습니다. 그리곤

 

 

"맹상군께서는 여러분들의 힘겨운 삶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으십니다. 그래서 앞으로 모든 빚을 깨끗이 없애 주라고 하셨습니다."

 

 

풍환은 빌린 돈이 적힌 문서를 한데 모아  불을 지렀습니다.  그러자 백성들은 만세를 부르며 좋아했습니다. 이렇게 처신을 하고 돌아오자 맹상군이 묻기를,

 

 

"그대는 무엇을 가져왔는가?"

"지금 공께 부족한 것은 은혜와 의리입니다. 차용증을 불사랄 설 땅 백성들에게 돈을 주고도 살 수 없는 은혜와 의리를 가지고 왔습니다."

 

이 대답을 들은 맹상군은 기분이 매우 언짢았지만 그냥 넘어갔습니다.

 

 

1년 후, 

맹상군이 새로 즉위한 민왕에게 미움을 받아 재상에서 물러나가 식객들은 모두 그의 곁을 떠났습니다. 이때 풍환은 맹상군에게 잠시 설 땅에 머물기를 권유했으며, 맹상군은 설 땅으로 거처를 옮겼습니다.

 

 

그러자 맹상군의 소식을 들은 백성들이 백 리 밖까지 나와 그를 환영해주었습니다. 그제야 맹상군이 풍환에게 말했습니다.

 

 

"선생이 전에 전에 은혜와 의리를 얻었다고 한 뜻을 이제야 깨달았소."

"꾀 많은 토끼는 구멍을 세 개나 뚫는다 했습니다. 지금 겨우 굴 한 개를 뚫었으니, 제가 나머지 두 개의 굴도 마저 뚫어 드리겠습니다."

 

 

그후, 풍환은 위나라로 가서 혜왕을 설득했습니다.

"제나라 왕이 그(맹상군)를 버렸으니, 원망으로 가득한 맹상군을 예물을 보내 맞으신다면 장차 위나라에 큰 득이 생길 것입니다."

 

 

혜왕 역시 평판이 좋았던 맹상군의 이름을 익히 알고 있던 터라, 풍환의 말대로 금은보화를 준비해 맹상군을 초청했습니다. 하지만 맹상군은 미리 풍환이 시킨 대로 세 차례나 거절했습니다.

 

 

이 소식이 제나라에 알려지자 뒤늦게 맹상군의 진가를 알게 된 민왕은 그를 다시 재상 자리에 앉혔습니다. 이로써 두 번째 굴이 완성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풍환은 맹상군에게 설 땅에 조상 위패를 모실 종묘를 세우도록 권유했습니다. 만약 왕의 마음이 다시 바뀌어도 맹상군이 다스리는 땅에 조상의 종료가 있다면 함부로 그를 대하지 못하기 때문이었습니다. 

 

 

"이것으로 세 번째 굴까지 완성되었습니다. 이제부터 근심 없이 지내실 수 있으실 겁니다."

 

 

이후 맹상군은 수십 년 동안 재상으로 있으면서 별다른 화를 입지 않았는데요. 이는 풍환이 세 보금자리(세 개의 굴)를 마련해준 덕이었습니다.


교토삼굴(狡免三窟)은 위의 유래에서 비롯된 한자성어(사자성어)이며, '앞날을 위해 미리 준비해 두면 뜻하지 않은 불행에 대비할 수 있다'는 가르침을 전하고 있습니다.

 

 

사전포석은, 일이 일어나기 전에 앞날을 위해 미리 손을 써 준비한다는 뜻

 

대비책(미리 준비함)과 관련된 사자성어

1. 비자득기(備者得機)

준비된 사람이 기회를 얻는다는 뜻입니다.

 

2. 비자우기(備者遇期)

준비된 사람이 좋은 기회를 만난다는 뜻입니다.

 

3. 사전포석(事前布石)

일이 일어나기 전에 앞날을 위해 미리 손을 써 준비한다는 뜻입니다.

 

4. 말마이병(秣馬利兵)

말에 먹이를 먹이고 칼을 갈아 미리 전쟁을 준비한다는 뜻입니다.

 

5. 기화가거(奇貨可居)

진기한 물건은 잘 간직해서 나중에 이익을 남기고 판다는 뜻으로, 좋은 기회를 놓치지 말아야 함을 의미합니다.

 

6. 거안사위(居安思危)

편안한 상태에 있을 때에도 위험할 때의 일을 미리 생각하고 경계한다는 뜻입니다.

 

7. 방환미연(防患未然)

사고나 재해를 미연에 방지한다는 뜻입니다.

 

8. 상토주무(桑土綢繆)

새는 폭풍우가 닥치기 전에 뽕나무 뿌리를 물어다가 둥지의 구멍을 막는다는 뜻이며, 미리 준비해서 닥칠 재앙을 막는다는 의미입니다.

 

9. 유비무환(有備無患)

미리 준미해두면 근심할 것이 없다는 뜻입니다.

 

10. 수도선부(水到船浮)

물이 차오르면 배가 저절로 뜬다는 말로, 실력을 쌓아서 경지에 다다르면 일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는 뜻입니다. 이는 물이 불어나면 큰 배가 저절로 떠오르 듯이 준비된 자에게는 반드시 기회가 온다는 뜻입니다.

 

 

이상 교토삼굴(狡免三窟)의 유래와 대비책(미리 준비함)에 관련된 사자성어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1분 한자성어] 지탄(之歎)의 의미. 길재 시조 오백 년 도읍지를

 

[1분 한자성어] 지탄(之歎)의 의미. 길재 시조 오백 년 도읍지를

오늘은 한자성어 속에 등장하는 '-지탄(之歎)'의 의미와 길재의 시조 속 화자의 정서를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일상생활하는 데 있어서 한자나 한문을 완전히 벗어나 생활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

nocturne13.tistory.com

 

 

[올바른 맞춤법] 이르다와 빠르다. 바람과 바램. 새해 인사 덕담 사자성어

 

[올바른 맞춤법] 이르다와 빠르다. 바람과 바램. 새해 인사 덕담 사자성어

오늘의 맞춤법은 '이르다'와 '빠르다'와 '바람'과 '바램'입니다. [올바른 맞춤법]을 통해 실생활 속에서 자주 헷갈리는 맞춤법을 되도록 쉽고 간단하게 정리하겠습니다. 비슷해 보이지만 뜻이 다

nocturne1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