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읽다

서울 사찰 여행 성북동 길상사 법정스님의 책 버리고 떠나기

반응형

오늘은 서울 사찰 여행지이자 성북동에 위치한 길상사 산책 이야기와 법정스님의 책, <버리고 떠나기> 내용을 전해드리겠습니다. 북적한 서울 도심 안에 고즈넉한 사찰이 한편에 자리 잡고 있는데요. 이따금 한 번씩 거닐고 오는 사찰, 길상사는 성북동에 위치해 있습니다.(길상사 위치, 주차방법)

 

 

 

성북동 길상사(吉祥寺)

길상사는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에 위치한 사찰입니다. 1997년에 세워진 곳으로 역사가 그리 오래되지는 않았지만, 최고급 요정이었던 대원각이 사찰로 탈바꿈한 특이한 설립 배경을 지닌 곳입니다. 먼저 설립 배경을 간단하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성북동 길상사 담장

 

 

대원각 소유주였던 김영한(1916-1999)은 남편과 사별 후 진향이라는 기명의 기생이 되었습니다. 조선권번에서 궁중아악과 가무를 가르친 금하 하규일의 문하에 들어가 기생 수업을 받습니다. 이후 김영한은 지금의 길상사인 자리를 사들여 청암장이라는 한식당을 운영하다 대형 요정인 대원각을 만들었습니다.

 

 

 

1950년대부터 운영을 하여 큰 부는 얻었지만 명예와는 먼 삶을 살다 법정스님의 <무소유>를 읽고 감명을 받아, 1987년 법정스님에게 요정(대원각) 터 7천여 평과 40여 채의 건물을 시주하며 절을 세워달라며 간청했습니다. 이는 당시에도 천억이 넘는 액수의 시주였습니다.

 

 

 

법정스님은 처음에는 사양했으나, 1995년 이를 받아들여 대한불교조계종 송광사의 말사로 등록하여 길상사를 세웠습니다. 1999년에 김영한이 세상을 뜬 후 화장하여 절터에 뿌려져 무덤은 따로 없으나, 그녀를 기리는 공덕비가 절 안에 있습니다. 이후 2010년 법정스님도 이곳에서 입적했습니다. 법정스님이 처음 출가하신 사찰인 송광사의 옛 이름도 길상사였으니

출가한 사찰과 입적한 사찰이 같은 이름을 지닌 인연이었습니다.

 

 

 

 

 

 

길상사를 걷다

성북동이라는 동네가 그래도 서울에서는 한적한 동네임에도, 여느 사찰들을 찾아 들어가는 호젓한 길목은 없습니다. 하지만 경내에 들어서면 몇 시간을 고즈넉하게 보낼 수 있는 찬찬한 오솔길들이 있습니다.

제가 방문했을 때는 스님들께서 묵언수행 중이셔서 뒤꿈치를 들어가며 가만가만 걷고 왔는데요. 그렇게 걷는 발걸음이 참으로 오랜만이라.. 가만히 걷는 발걸음만으로도 마음 씻김이 된 시간들이었습니다.

 

 

 

길상사에는 작은 오솔길들이 여러 방향으로 나 있는데요.

한 방향을 쭉 따라 들어서니 법정스님의 나무 의자가, 마치 그곳에서 나고 자란 오랜 나무처럼 놓여 있었습니다. 실은 길상사에 이 나무 의자를 보러 갑니다. 지금도 잘 있겠지요...

 

법정스님의 나무의자

 

 

 

 

길상사의 오솔길

 

 

길상사 오솔길에 있는 법정스님의 어록

 

길상사 오솔길에 있는 법정스님의 어록

 

 

길상사 위치

길상사 위치

 

 

* 서울 성북구 선잠로5길 68 길상사(조계종)

* 전화번호 : 02-3672-5945

* 주차방법 : 길상사 입구와 2-3분 거리에 있으나 주차공간 협소합니다.(만차일 경우 갓길에 세워두는 분들도 계십니다.)

* 대중교통 이용방법 : 4호선 한성대입구역 하차, 6번 출구(동원마트 앞), 마을버스 02번을 타면 길상사까지 한번에 가실 수 있습니다.

 

 

 

법정스님의 <버리고 떠나기> 출판사 샘터

법정스님의 책 <버리고 떠나기>의 차례에 맞춰 ,인상 깊은 내용을 함께 정리해보겠습니다.

 

<버리고 떠나기> 차례

  • 생각을 씨앗으로 묻으라.
  • 무엇을 깨닫고 무엇을 닦을 것인가.
  • 소유의 굴레.
  • 당신은 지금 어디로 가고 있는가.
  • 버리고 떠나기.

 

 

법정스님의 책, 버리고 떠나기

 

 

 

생각을 씨앗으로 묻으라, 같은 해 같은 달

청명한 밤하늘에서 별자리를 찾는 것이 요즘의 내 밤 일과입니다. 별자리에 대한 책을 보면서 실제로 그 별들을 찾는 일은 기하고 흥미롭습니다. 별밤을 지켜보고 있으면 내 안에서도 초롱초롱 별들이 돋아나는 것 같습니다.

달 같은 해, 혹은 해 같은 달을 본 적이 있으신지요.

 

 

 

무엇을 깨닫고 무엇을 닦을 것인가, 도라지꽃 사연

꽃이 피고 지기 또 한해

평생에 몇 번이나 둥근 달 볼까

 

 

이 시를 대하고 나서는 밤하늘에 떠 있는 달을 무심히 지나치고 싶지 않았다. 한평생 우리가 밤하늘에 떠 있는 둥근 달을 볼 수 있는 그 기회가 얼마나 될까? 물론 사람에 따라 다르겠지만, 대개는 세상일에 묻히거나 밀려, 달이 떠 있는지 마는지 놓치기 일쑤다. 어디 달 뿐이겠는가. 철 따라 피어나는 꽃도 그저 무심히 지나쳐버리는 수가 허다하다.

 

 

비록 물질적으로는 어렵고 가난하게 살았을망정, 옛사람들은 자연에 대한 이해와 사랑과 그 교감이, 온갖 것을 갖추고 편리하게 살아가는 현대의 우리들보다 훨씬 앞서 있었다. 우리 곁에 항상 주어져 있는 자연의 혜택도 우리가 받아들일 줄을 모르면 무연(無緣,인연이 없음) 한 것이 되고 만다.

 

 

 

소유의 굴레

 

당신은 지금 어디로 가고 있는가, 겨울 하늘 아래서

나무들은 이제 겨울잠에 들어갔다. 달고 있던 잎도 죄다 대지로 돌려보내고 빈 가지로 겨울을 맞이할 채비를 마쳤다. 밖으로 향했던 눈과 귀를 안으로 거두어들여, 귓속의 귀로 소리 없는 소리에 귀 기울이며 봄이 올 때까지 침묵을 익힐 것이다.

마지막 남은 한 장의 달력을 보면서 뜯겨져 나간 열한 장의 자취를 헤아리게 된다. 

 

 

 

버리고 떠나기, 단순하고 간소한 삶

뜰에 어지럽게 나뒹구는 후박나무 잎들을 주워내면서 세월의 덧없음을 안으로 새기는 요즘, 내 자신도 언젠가는 이런 낙엽이 되어 흙 속에 삭아질 거라는 생각이 문득문득 든다. 무성하던 나무 아래 짙게 내리던 그늘도 서릿바람에 많이 엷어졌다. 초록이 지쳐서 물드는 산마루는 요 며칠 동안 아침 안개로 운해에 떠 있는 섬이 되고 만다.

 

 

세상에 얹혀 사는 우리들도 저마다 하나의 섬 같은 존재로 여겨진다. 광대부변한 이 우주 공간에 침묵처럼 떠 있는 섬. 물론 그 섬은 그 뿌리를 지구라는 한 대지에 내리고 있지만, 저마다 홀로 외롭게 떠 있다. 그래서 때로는 시장기 같은 자신의 무게를 안으로 헤아린다.

 

 

 

이상 성북동에 위치한 길상사에서의 봄산책 이야기와 법정스님의 책 <버리고 떠나기> 안내를 마치겠습니다.

 

 

 

전설 상사화 상사화의 전설 이룰 수 없는 사랑 1/1

 

전설 상사화 상사화의 전설 이룰 수 없는 사랑 1/1

몇 해 전 선운사를 다녀왔습니다. 한참 오래전 날이었음에도 그날의 공기, 햇살, 옷차림, 하물며 가만히 마셨던 차의 향까지 고스란히 기억이 나는.. 그림 같은 하루였습니다. 꽃을 보러 간 걸음

nocturne13.tistory.com

 

 

전설 상사화 상사화의 전설 이룰 수 없는 사랑 시 이해인 상사화 1/2

 

전설 상사화 상사화의 전설 이룰 수 없는 사랑 시 이해인 상사화 1/2

바로 전 포스팅에서는 상사화의 첫 번째 전설을 설명해드렸습니다. 이어서 오늘은 이해인 수녀님의 시 '상사화'와 상사화의 두 번째 전설, 그리고 상사화의 특성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상사

nocturne1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