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중학교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수록 사자성어 한자성어를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시나 소설 등 문학을 접하다 보면 사자성어(한자성어)가 종종 등장하는데요. 사자성어의 의미를 몰라 문맥을 파악하지 못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교과서에 자주 등장하는 사자성어(한자성어)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중학교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수록 사자성어 한자성어 정리 모음
1) 동분서주(東奔西走) : 동쪽으로 뛰고 서쪽으로 뛴다는 뜻으로, 사방으로 이리저리 몹시 바쁘게 돌아다니는 것을 의미합니다.
2) 등하불명(燈下不明) : 등잔 밑이 어둡다는 뜻으로, 가까이에 있는 물건이나 사람을 잘 찾지 못하는 것입니다.
3) 마이동풍(馬耳東風) : 동풍이 말의 귀를 스쳐 간다는 뜻으로, 남의 말을 귀담아듣지 않고 지나쳐 흘려버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4) 목불인견(目不忍見) : 눈앞에 벌어진 상황 따위를 눈 뜨고는 차마 볼 수 없는 것입니다.
5) 비일비재(非一非再) : 같은 현상이나 일이 한두 번이나 한둘이 아니고 많은 것입니다.
6) 사면초가(四面楚歌) : 아무에게도 도움을 받지 못하는 외롭고 곤란한 지경에 빠진 형편을 이르는 말입니다.
7) 사상누각(沙上樓閣) : 모래 위에 세운 누각이라는 뜻으로 기초가 튼튼하지 못하여 오래 견디지 못할 일이나 물건을 의미합니다.
8) 살신성인(殺身成仁) : 자기의 몸을 희생하여 인(仁)을 이루는 것입니다.
9) 상부상조(相扶相助) : 서로서로 돕는 것을 의미합니다.
10) 선견지명(先見之明) : 어떤 일이 일어나기 전에 미리 앞을 내다보고 아는 지혜를 의미합니다.
11) 설상가상(雪上加霜) : 눈 위에 서리가 덮인다는 뜻으로, 난처한 일이나 불행한 일이 잇따라 일어남을 이르는 말입니다.
12) 설왕설래(說往說來) : 서로 변론을 주고받으며 옥신각신 함. 또는 말이 오고 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13) 속수무책(束手無策) : 손을 묶은 것처럼 어찌할 도리가 없어 꼼짝 못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14) 수구초심(首丘初心) : 여우가 죽을 때에 머리를 자기가 살던 굴 쪽으로 둔다는 뜻으로,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의미합니다.
15) 식자우환(識字憂患) : 학식이 있는 것이 오히려 근심을 사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16) 아전인수(我田引水) : 자기 논에 물 대기라는 뜻으로 자기에게만 이롭게 되도록 생각하거나 행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17) 안분지족(安分知足) : 편안한 마음으로 제 분수를 지키며 만족할 줄 아는 것을 의미합니다.
18) 안빈낙도(安貧樂道) : 가난한 생활을 하면서도 편안한 마음으로 도를 즐기면서 지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19) 어불성설(語不成說) : 말이 조금도 사리에 맞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20) 언중유골(言中有骨) : 말 속에 뼈가 있다는 뜻으로, 예사로운 말속에 단단한 속뜻이 들어 있음을 의미합니다.
21) 역지사지(易地思之) : 처지를 바꾸어서 생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22) 연목구어(緣木求魚) : 나무에 올라가서 물고기를 구한다는 뜻으로, 도저히 불가능한 일을 굳이 하려는 것을 의미합니다.
23) 오비이락(烏飛梨落) : 아무 관계도 없이 한 일이 공교롭게도 때가 같아 억울하게 의심을 받거나 난처한 위치에 서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24) 온고지신(溫故知新) : 옛것을 익히고 그것을 미루어서 새것을 아는 것을 의미합니다.
25) 용두사미(龍頭蛇尾) : 용의 머리와 뱀의 꼬리라는 뜻으로, 처음은 왕성하나 끝이 부진한 현상을 이르는 것을 의미합니다.
26) 유유상종(類類相從) : 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귀는 것을 의미합니다.
27) 이심전심(以心傳心) : 마음과 마음으로 서로 뜻이 통하는 것입니다.
28) 일석이조(一石二鳥) : 돌 한 개를 던져 새 두 마리를 잡는다는 뜻으로 동시에 두 가지 이득을 보는 것을 의미합니다.
29) 일취월장(日就月將) : 나날이 다달이 자라거나 발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30) 일편단심(一片丹心) : 한 조각의 붉은 마음이라는 뜻으로,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변치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31) 임기응변(臨機應變) : 그때그때 처한 사태에 맞추어 즉각 그 자리에서 결정하거나 처리하는 것입니다.
32) 자업자득(自業自得) : 자기가 저지른 일의 결과를 자기가 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33) 전전반측(轉轉反側) : 누워서 몸을 이리저리 뒤척이며 잠을 이루지 못하는 것입니다.
34) 조삼모사(朝三暮四) : 간사한 꾀로 남을 속여 희롱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35) 좌정관천(坐井觀天) : 우물 속에 앉아서 하늘을 본다는 뜻으로, 사람의 견문(見聞)이 매우 좁음을 이르는 것입니다.
36) 주객전도(主客顚倒) : 주인과 손의 위치가 서로 뒤바뀐다는 의미입니다.
37) 주경야독(晝耕夜讀) : 낮에는 농사짓고 밤에는 글을 읽는다는 뜻으로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꿋꿋이 공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38) 주마간산(走馬看山) : 말을 타고 달리며 산천을 구경한다는 뜻으로 자세히 살피지 않고 대충대충 보고 지나감을 의미합니다.
39) 죽마고우(竹馬故友) : 대말을 타고 놀던 벗이라는 뜻으로 어릴 때부터 같이 놀며 자란 벗입니다.
40) 진퇴양난(進退兩難) :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어려운 처지를 의미합니다.
41) 천고마비(天高馬肥) : 하늘이 높고 말이 살찐다는 뜻으로 하늘이 맑고 높푸르게 보이고 온갖 곡식이 익는 가을철을 의미합니다.
42) 천신만고(千辛萬苦) : 천가지 매운 것만 만 가지 쓴 것이라는 뜻으로 온갖 어려운 고비를 다 겪으며 심하게 고생함을 의미합니다.
43) 청출어람(靑出於藍) : 제자나 후배가 스승이나 선배보다 나은 것을 의미합니다.
44) 초지일관(初志一貫) : 처음에 세운 뜻을 끝까지 밀고 나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45) 칠전팔기(七顚八起) : 여러 번 실패해도 굴하지 아니하고 꾸준히 노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46) 타산지석(他山之石) : 본이 되지 않은 남의 말이나 행동도 자신의 지식과 인격을 수양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46) 파죽지세(破竹之勢) : 대를 쪼개는 기세라는 뜻으로 적을 거침없이 물리치고 쳐들어가는 기세를 이르는 말입니다.
47) 표리부동(表裏不同) : 마음이 음흉하고 불량하여 겉과 속이 다름을 의미합니다.
48) 풍전등화(風前燈火) : 바람 앞의 등불이라는 뜻으로 사물이 매우 위태로운 처지에 놓여 있음을 이르는 말입니다.
49) 학수고대(鶴首苦待) : 학의 목처럼 길게 빼고 간절히 기다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50) 허장성세(虛張聲勢) : 실속은 없으면서 큰소리치거나 허세를 부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상 중학교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수록 사자성어 한자성어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중학교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수록 관용어 정리. 신체와 관련된 관용어
중학교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수록 속담 정리 모음 (1)
'읽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 와 의 의 발음. 민주주의의 의의 계몽주의의 의의 발음. ㅎ 받침의 발음 (8) | 2023.08.29 |
---|---|
보고서 건의문 특징 구성 쓰는 방법 유의할 점. 토론의 과정.토론 토의 공통점 차이점 (16) | 2023.08.25 |
중학교 고등학교 국어 시험에 잘 나오는 용어 발문. 글의 성격과 관련된 용어 (9) | 2023.08.23 |
[국어 개념] 문체의 종류. 간결체 만연체. 우유체 강건체. 건조체 화려체 (12) | 2023.08.19 |
[현대소설 이해] 채만식 치숙 정리 분석. 채만식 소설의 아이러니. 신빙성 없는 화자 (9) | 2023.08.17 |
[현대소설 이해] 채만식 태평천하 정리 분석. 표현상의 특징. 가족사 소설 (11) | 2023.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