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현진건의 '운수 좋은 날'을 정리 분석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운수 좋은 날의 전체 줄거리를 살펴보고 핵심 정리, 표현상의 특징, 반어적 표현과 주인공 김 첨지의 내적 갈등 그리고 설렁탕의 의미를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현진건의 운수 좋은 날 정리 분석
1. 전체 줄거리
인력거꾼인 김 첨지는 어느 날 오랜만의 행운으로 여느 날보다 많은 돈을 벌게 되자 병을 앓고 있는 아내에게 설렁탕 한 그릇을 사다 줄 수 있어 기분이 매우 좋아집니다. 하지만 아침에 나올 때 앓고 있는 아내가 오늘은 나가지 말아 달라 한 부탁이 떠올라 계속되는 행운에도 김 첨지는 불안해합니다.
선술집에서 친구 치삼이와 술을 마시면서 김 첨지는 아내가 죽었을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에 쉽사리 집으로 발길을 돌리지 못하고 이상한 언행을 합니다. 취중임에도 평소 아내가 먹고 싶어 했던 설렁탕을 사 가지고 집으로 돌아간 김 첨지는 불길한 침묵에 맞서 아내에게 심한 욕설을 퍼부으며 소리를 지릅니다. 이내 아내의 죽음을 확인한 김 첨지는 아내의 죽음에 슬퍼하며 눈물을 흘립니다.
2. 작가 현진건 소개
현진건(1900 - 1943) : 작가, 호는 빙허. 1920년 '개벽'지에 단편 소설 '희생자'를 발표하면서 문단에 등단했습니다. 1921년 발표한 '빈처'로 인정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한국 현대문학에서 염상섭이 리얼리즘의 선구자 역할을 했다면 현진건은 리얼리즘을 더욱 견고하게 만든 작가로 평가받습니다.'백조' 동인으로 활동하였으며, 작가의 주요 작품으로는 '타락자', 술 권하는 사회' , '불', '무영탑'등이 있습니다.
3. 현진건 운수 좋은 날 핵심 정리
갈래 : 단편 소설, 사실주의 소설.
성격 : 사실적(리얼리즘), 반어적, 비극적.
배경
시간적 배경 - 일제 강점하의 어느 비 오는 겨울날.
공간적 배경 - 서울 빈민가.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부분적으로 3인칭 관찰자 시점이 나타납니다.)
이 작품은 전지적 작가 시점으로, 작가가 인물의 내면 속에 개입하여 그 심리까지 드러내고 있습니다. 그러나 부분적으로는 3인칭 관찰자 시점에서 인물의 행동이나 태도를 관찰하고 있습니다.
특히 김 첨지의 행동을 서술하는 부분에서 작가는 객관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주제 : 일제 강점기 하층민의 비참한 생활상.
4. 인물 소개
김 첨지 : 인력거꾼으로 하층민을 대표하는 전형적인 인물입니다. 비록 거칠고 몰인정해 보이지만 속으로는 아내를 걱정하는 선량하고 인정이 넘치는 마음을 지녔습니다.
김 첨지 아내 : 중병을 앓고 있으며, 설렁탕을 먹어 보는 것이 소원입니다. 이렇게 먹고 싶어 했던 설렁탕을 먹을 수 있게 된 날에 죽음을 맞이한 비극적 인물입니다.
5. 어휘 풀이
1) 문안 : 서울의 사대문 안.
2) 댓바람에 : 맨 첫째 번으로, 여기서는 '단숨에'라는 의미입니다.
3) 달포 : 한 달이 조금 넘는 기간.
4) 조밥 : 좁쌀로만 짓거나, 입쌀(멥쌀)에 좁쌀을 많이 섞어서 지은 밥.
5) 홉뜨고 : 눈알을 굴리어 눈시울을 위로 치뜨고.
6) 조롱복 : 아주 짧게 타고난 복.
7) 푼푼하였다 : 모자람이 없이 넉넉하였다.
8) 우장 : 비를 맞지 않도록 하는 차림. 우산이나 비옷을 의미합니다.
9) 걸으렁걸으렁 : 가래가 목구멍 안에 낀 사람이 숨을 쉴 때 내는 소리.
10) 화증 : 걸핏하면 버럭 화를 내는 증세.
11) 난장 : 신체의 부위를 가지지 않고 마구 맬로 치던 고문.
12) 추기 : 시체가 썩어서 그 물에서 나는 역한 냄새.
13) 삿자리 : 갈대를 엮어서 만든 자리.
14) 켜켜이 : 여러 켜마다. 하나하나의 층마다.
15) 나뭇등걸 : 나무를 베어 내어 남은 밑동.
16) 시진 : 기운이 아주 쑥 빠져 없어짐.
17) 꺼들어 : 당겨서 치켜들어.
18) 흰창 : 흰자위의 방언.
19) 어룽어룽 : 뚜렷하지 아니하고 흐리게 어른거리는 모양.
6. 구절 풀이
1) 그는 병이란 놈에게 - 조밥을 먹고 체한 때문이다.
가난한 현실에 대해 자기 합리화를 하고 있는 모습을 통해 김 첨지의 어리석고 고지식한 성격의 일면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처절한 가난이 구체적으로 형상화된 대목입니다.
2) 만일 김 첨지가 - 다리가 떨리었으리라.
아내가 죽은 뒤의 고요하고 괴괴한 분위기를 감각적으로 묘사한 부분입니다. 김 첨지가 아내의 죽음을 예감하며, 늦게까지 술을 마시고 들어갈 수밖에 없었던 불안한 심정을 독자에게 이해시키고 있습니다.
3) 문득 김 첨지는 - 운수가 좋더니만.
너무 운수가 좋아 불안했던 오늘 하루를 아내의 죽음으로 마감하는 김 첨지는 그동안의 폭력적인 모습을 버리고, 자신의 따뜻한 내면을 표출합니다. 아내의 얼굴에 자신의 얼굴을 비비며 아내의 죽음에 대한 자책감과 임종을 지키지 못한 안타까움 그리고 아내를 잃은 슬픔 등을 복합적으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현진건 운수 좋은 날 표현상 특징. 반어적 표현
현진건의 운주 좋은 날에는 다양한 표현상 특징이 있습니다. '반어적 표현'과 '인물 제시 방법', '복선의 사용'으로 나누어 바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반어적 표현 : 반어, 즉 아이러니(irony)는 겉과 실상이 반대되어 나타내고자 하는 표현의 효과를 증대(강조)시키는 방법입니다. 병든 아내에게 설렁탕 하나 사 주지 못하는 극한 상황에 놓인 도시 빈민층에 닥친 불행을 '운수 좋은 날'이라는 반어적 제목으로 표현함으로써 그 비극성을 더욱 심화(강조)시키고 있습니다.
2) 인물 제시 방법 : 서술자에 의해 직접적으로 인물이 제시되어 있으나 대화 속에서 인물의 특성이나 면모를 알 수 있는 간접적 제시 방법도 함께 사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화의 내용, 즉 김 첨지의 욕설이나 속어의 사용으로 사회 빈민층의 심리를 단편적으로 보여 주고 있습니다.
3) 복선의 내용 : 작품 전반에 걸쳐 추적추적 내리는 비와 일 나가기를 만류하는 아내의 모습 등은 다가올 비극적 결말을 암시하는 *복선 역할을 합니다.
*복선 : 소설이나 희곡 등에서 앞으로 일어날 사건이나 상황을 미리 암시하는 서사적 장치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예시적인 주변 사건이나 상황을 주로 활용하여 서사의 윤곽과 방향을 제시합니다. 이에 복선을 통해 독자들은 다가올 사건이 우연적이거나 우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운수 좋은 날 내용 이해 하기
이 작품은 1920년대 일제 강점하의 도시 빈민층을 대표하는 인력거꾼의 궁핍상을 어느 하루의 시간으로 압축하여 사실적으로 그려낸 작품입니다. 유난히 운수 좋은 날에 아내의 죽음을 맞이하는 아이러니(반어법)를 통해 우리 민족의 비참한 현실을 고발하고 있습니다.
시간의 순서에 따른 구성이 아닌, 김 첨지의 불안과 심정을 강조하기 위해 중간에 과거 회상 장면을 삽입하였습니다. 이러한 역순행적 구성은 시간적 흐름에 변화를 주어 작품 전체에 긴장감을 부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렇게 형성된 긴장감을 통해 당시 도시 빈민층의 비참한 생활상을 비극적으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표면상으로는 속되고 거친 말투를 여과 없이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거칠고 투박하게 느껴지지만 이를 통해 생동감 넘치는 사실적 문체를 보여 주고 있습니다. 또한 이런 문체를 통해 작품의 내용, 인물의 성격, 시대 배경 및 주제 의식과 관련을 맺어 전체적인 작품의 사실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 작품의 전체적인 구성은 '아이러니'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작품에 그려져 있는 김 첨지의 하루는 표면적으로는 모처럼 큰 돈벌이를 한 '운수 좋은 날'이지만 실상은 병든 아내가 죽는 가장 '운수 나쁜 날'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결말과 김 첨지의 행동, 제목, 배경은 의도적으로 만들어낸 반어적 상황으로써 이 작품의 비극성을 극대화시키는 큰 역할을 합니다.
제목 '운수 좋은 날'의 반어적 성격
표면적 의미 : 여느 날과 달리 모처럼 많은 돈을 번 날입니다.
심층적 의미 : 병든 아내가 세상을 떠난 날입니다.
운수 좋은 날의 사건 전개와 갈등 구조
사건 전개 : 작품 속의 시간은 김 첨지가 인력거를 끌고 나선 아침부터 집에 돌아오는 저녁까지입니다. 이 시간 동안 김 첨지의 행운(큰돈을 범)과 불행(집에 있는 아픈 아내에 대한 불안감)의 반복이 엮어져 있습니다.
특정 사건이 발생하지 않아 다소 지루해질 수 있는 전개에 아픈 아내에 대한 과거 회상과 불안한 심정을 애써 외면하는 김 첨지의 비정상적인 행동 묘사를 통해 흥미를 부여하고 있습니다.
갈등 구조 : '집'이라는 내면적 불안의 공간에서 멀어질수록 다리가 빨라지고, 인력거가 무거워질수록 몸이 가벼워지는 등 김 첨지의 비정상적인 심리 상태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김 첨지의 불안한 심리 상태는 특정한 인물과의 대립적 갈등이 아닌 자시느이 내면에 생기는 내적 갈등으로 인한 것입니다.
돈을 많이 벌수록 비극에 대한 김 첨지의 예감은 조금씩 커져 가고, 현실로부터 회피하고자 하는 김 첨지의 욕망 또한 강해집니다. 이러한 김 첨지의 모습에서 '집'이라는 내면적 불안의 공간으로부터 멀어지고 싶어 하는 김 첨지의 내적 갈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김 첨지의 내적 갈등
집 밖 : 돈벌이의 공간이자 현실 도피의 공간입니다.
집 : 아픈 아내가 있는 공간이자 내면적 불안의 공감입니다.
이에 집에 가까워질수록 김 첨지의 불안함은 고조됩니다.
★ 마지막으로 현진건의 '운수 좋은 날'의 주요 내용을 문답 형식으로 정리하며 마치겠습니다.
1) 이 작품의 시점은 무엇인가요? - 전지적 작가 시점, 작가 관찰자 시점(3인칭 관찰자 시점)이 복합적으로 사용됨.
2) 서술자의 개입이 직접적으로 나타난 부분은 어디인가요?
- 그는 이 우중에 우장도 없이 그 먼 곳을 철벅거리고 가기가 싫었음일까? 처음 것, 둘째 것으로 고만 만족하였을까? 아니다, 결코 아니다. 이상하게도 꼬리를 맞물고 덤비는 이 행운 앞에 조금 겁이 났음이다.
3) 이 작품에서 비가 오는 배경은 효과는 무엇인가요? - 작품 전체에 음울한 분위를 형성합니다.
4) 이 작품에서 비극적 결말을 반어적으로 나타낸 표현은 무엇인가요? - 운수 좋은 날
5) 김 첨지가 여느 날과 달리 운수가 좋다고 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 인력거에 손님이 끊이지 않고 타 돈벌이가 유독 잘 되었기 때문입니다.
6) 아내의 병이 심해진 이유는 무엇인가요? - 익지도 않은 조밥을 급하게 먹었기 때문입니다.
7) 아내가 계속 먹고 싶다고 한 음식은 무엇인가요? - 설렁탕
8) 설렁탕이 지니는 의미는 무엇인가요?
- 앓고 있는 아내는 설렁탕을 먹고 싶다고 말했지만 김 첨지는 돈이 없어서 설렁탕을 사 주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운수 좋은 날을 맞아 김 첨지는 드디어 아내에게 설렁탕을 사줄 수 있게 됩니다. 이에 설렁탕은 아내에 대한 김 첨지의 사랑을 드러내는 소재입니다.
하지만 김 첨지가 사랑하는 아내를 위해 설렁탕을 사 왔음에도 그토록 먹고 싶어 했던 아내는 죽음을 맞이하여 끝내 설렁탕을 먹지 못합니다. 이때 설렁탕은 비극적 상황을 심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소재입니다.
9) 김 첨지가 남대문 정거장에 가기를 망설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 나가지 말라던 아픈 아내의 모습이 떠 올랐기 때문입니다.
10) 김 첨지가 바로 집에 들어가지 않고 술을 마시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아픈 아내가 죽었을지도 모른다는 불안감 때문입니다.
11) 김 첨지가 집에 들어가서 소리를 지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아내가 살아 있다고 믿고 싶은 마음 때문입니다.
12) 김 첨지의 눈물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자책감과 안타까움, 슬픔의 복합적 감정을 드러내는 것입니다.
이상 현진건의 '운수 좋은 날'의 정리 분석, 전체 줄거리, 핵심 정리, 표현상의 특징, 반어적 표현과 주인공 김 첨지의 내적 갈등 그리고 설렁탕의 의미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출처 및 참고 - 해법문학. 현대소설, 강승원 외, 천재교육)
[현대소설 이해] 이인직 혈의 누. 정리 분석. 우리나라 최초의 신소설 특징
'읽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휘] 현대시 속 감정 태도 자아와 관련된 단어. 성찰 반성 회고 (9) | 2023.07.03 |
---|---|
[어휘] 동양 철학 서양 철학과 관련된 어휘. 소크라테스 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 소피스트 (14) | 2023.06.30 |
[어휘.속담] 혀와 관련된 어휘 관용구. 속담 혀의 특성과 역할 (13) | 2023.06.28 |
[현대소설 이해] 이인직 혈의 누. 정리 분석. 우리나라 최초의 신소설 특징 (6) | 2023.06.24 |
[국어 개념] 극 희곡 시나리오 개념 특징 정리. 희곡과 시나리오의 공통점 차이점 (10) | 2023.06.21 |
[국어 개념] 수필의 개념 특징 정리. 중수필 경수필 종류. 설(說)의 특성 (7) | 2023.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