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극과 희곡 시나리오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극은 사건을 보여주는 문학의 갈래이며 등장인물이 직접 등장해서 말과 행동으로 보여주는 형식으로 진행됩니다. 희곡과 시나리오의 공통점과 차이점도 함께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극의 개념과 특징
사건을 이야기하는 것이 '소설'이라면 '극'은 사건을 보여주는 문학의 갈래라 할 수 있습니다. 서술자에 의해 이야기가 진행되는 것이 아닌 등장인물이 직접 등장해서 말과 행동을 함으로써 보여주는 형식으로 진행됩니다. 연극의 대본으로 쓰이는 희곡과 영화의 극본이 되는 시나리오는 모두 극의 갈래에 속합니다.
등장인물의 갈등을 통해 긴장감과 재미, 교훈을 얻는 것처럼 희곡과 시나리오 역시 등장인물의 갈등이 중심이 되어 내용이 전개됩니다. 또한 희곡과 시나리오는 등장인물의 행동과 대사를 통해 삶을 형상화하고 모든 사건을 지금 눈앞에 일어나는 것처럼 현재화하여 표현합니다.
희곡의 개념과 특징
희곡은 무대 상연을 목적으로 하는 문학입니다. 즉 무대 상연을 목적으로 하는 연극의 대본입니다. 이에 연극 무대 위에서 관객들에게 연기를 보여 주는 것(상연)을 목적으로 창작되기 때문에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있습니다. 또한 작가가 직접 개입해서 이야기를 서술할 수 없으며 소설처럼 등장인물의 내면을 말로 풀어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희곡의 특징
1) 무대 상연을 전제로 합니다.
2) 막과 장을 기본 단위로 합니다.
3) 시간과 공간, 등장인물의 수에 제약을 받습니다.
4) 등장인물의 대사와 행동을 통해 사건이 전개됩니다.
5) 대립과 갈등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는 산문 문학입니다.
6) 모든 사건이 관객의 눈앞에서 지금 일어나고 있는 현재형으로 표현됩니다.
희곡의 갈래와 구성 단위
희곡은 형식에 따른 갈래로는 단막극과 장막극이 있으며, 내용에 따른 갈래로는 비극, 희극, 희비극이 있습니다.
희곡의 구성 단위는
▶막 : 무대와 객석 사이의 장막을 올리고 다시 내릴 때까지의 한 장면입니다.
▶장 : 한 막을 다시 나눈 작은 단락으로, 인물의 등장과 퇴장, 조명의 암전으로 구분합니다.
희곡의 구성 요소
희곡의 구성 요소는 해설, 대사, 지시문입니다.
해설 : 막이 오르기 전에 필요한 무대 장치, 인물, 배경 등을 설명하는 부분입니다.
대사
1) 대화 : 등장인물들 사이에 주고받는 말입니다.
2) 독백 : 등장인물이 무대에서 상대방 혼자 하는 말입니다.
3) 방백 : 관객에게는 들리지만, 무대 위의 상대방에게는 들리지 않는 것으로 약속하고 하는 말입니다.
지시문
1) 무대 지시문 : 무대 장치, 분위기, 효과음, 조명 등을 지시하는 것입니다.
2) 동작 지시문 : 등장인물의 행동, 표정, 심리, 말투 등을 지시하는 것입니다.
희곡의 내용적 요소
인물 : 갈등을 빚는 주체입니다.
사건 : 갈등과 긴장을 유발하는 원인입니다.
배경 : 사건이 일어나는 시간과 장소입니다.
희곡의 구성 단계
발단 : 인물과 배경이 소개되고 갈등의 실마리게 제시됩니다.
전개 : 사건이 진행되면서 인물 사이의 대립과 갈등이 점차 상승됩니다.
절정 : 갈등이 최고조에 이르고 극적인 장면이 나타납니다.
해설 : 갈등 해결의 기미가 보이며 극의 긴장이 빠르게 풀어집니다.
대단원 : 갈등이 해소되고 모든 사건이 종결되면 등장인물의 운명이 결정됩니다.
희곡과 소설의 비교
희곡과 소설은 문학의 한 갈래이고 일정한 주제의 이야기를 독자에게 전달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소설과 희곡은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
희곡과 소설의 공통점은,
1) 허구 문학입니다 : 작가의 상상력으로 탄생한 가공의 이야기로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에서 실제 있을 법한 일을 다룬 진실성이 담겨 있습니다.
2) 갈등의 문학입니다 : 소설과 희곡은 모두 등장인물의 갈등을 통해 이야기가 전개됩니다. 이 갈등을 통해 독자와 관객은 재미와 교훈을 얻습니다.
3) 인물, 사건, 배경으로 구성됩니다 : 주제를 드러내기 위해 인물, 사건, 배경이라는 구성 요소를 가집니다.
희곡과 소설의 차이점은,
희곡은 서술자가 개입하지 않고 인물의 대사와 행동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며, 세부적 사항은 인물의 대사와 행동을 통해 관객이 파악해야 합니다.
소설은 서술자에 의해 이야기가 전개되며, 상세한 묘사와 서술이 이루어집니다.
시나리오의 개념과 특징
시나리오는 영화나 드라마 제작을 목적으로 하여 쓴 대본입니다. 시나리오는 영화로 찍어서 보여주는 걸 목적으로 하는데, 이렇게 영상을 보여주는 것을 상영이라고 합니다. 시나리오는 희곡에 비해서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적고 등장인물도 무제한 등장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시나리오의 갈래는,
창작 시나리오 : 작가가 상상하여 새로 창작한 시나리오입니다.
각색 시나리오 : 소설, 희곡, 수기, 실화 등을 시나리오 형식으로 고친 것입니다.
레제 시나리오 : 문학 작품으로 감상하기 위해 창작한 시나리오입니다.
시나리오의 특징과 구성 요소
1) 영화와 드라마 상영을 전제로 합니다.
2) 장면을 기본 단위로 합니다.
3) 시간과 공간, 등장인물의 수에 제약이 거의 없습니다.
4) 촬영을 고려한 특수 용어가 사용됩니다.
시나리오 구성 요소
시나리오의 구성 요소는 해설, 대사, 지시문, 장면 표시입니다.
해설 : 시나리오의 첫머리에 등장인물, 배경 등을 설명하는 부분입니다.
대사 : 등장인물이 하는 말입니다
지시문 : 인물의 동작과 표정, 음향 효과, 카메라 위치 등을 지시하는 글입니다.
장면 표시 : 장면의 위치나 그 장면의 극 중 순서를 나타내는 것으로 장면 번호(S#)으로 표시합니다.
시나리오 용어
1) S#(Scene Number) : 장면 번호.
2) F.I.(Fade In) : 페이드인. 어두운 화면이 점점 밝아지는 것.
3) F.O.(Fade Out) : 페이드아웃. 밝은 화면이 점점 어두워지는 것.
4) Ins.(Insert) : 인서트. 화면과 화면 사이에 다른 화면을 끼워 넣는 것.
5) O.L.(Over Lap) : 오버랩. 한 화면에 다른 화면을 겹쳐서 장면을 전화하는 것.
6) C.U.(Close Up) : 클로즈업. 어떤 특정 부분을 강조하기 위해 크게 확대해 찍은 것.
7) E.(Effect) : 이펙트. 효과음. 주로 화면 밖에서의 음향이나 대사에 의한 효과.
8) N.A.R.(Narration) : 내레이션. 화면 밖에서 들리는 설명 형식의 대사.
9) Montage : 몽타주. 여러 장면을 적절히 떼어 붙여서 새로운 장면을 만드는 것. 사건의 진행을 축약해서 보여 주는 효과가 있음.
10) PAN.(Panning) : 카메라를 상하 좌우로 이동하는 것.
11) T.B.(Track Back) : 피사체에서 후퇴하면서 하는 촬영.
★희곡과 시나리오의 공통점과 차이점
공통점
1) 현재형으로 관객에게 전달됩니다.
2) 대사, 지시문, 해설로 구성됩니다.
3) 작가의 상상력으로 꾸며낸 극문학입니다.
4) 인물의 대사와 행동으로 이야기가 전개됩니다.
차이점
▶희곡
1) 막과 장으로 구성됩니다.
2)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있습니다.
3) 등장인물 수에 제약이 있습니다.
4) 연극의 상연을 목적으로 합니다.
▶시나리오
1) 장면(Scene)으로 구성됩니다.
2)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적습니다.
3) 등장인물 수에 제약이 적습니다.
4) 영화의 상연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특수용어가 사용됩니다.
이중 시나리오와 희곡의 두드러진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희곡 : 무대 상연을 목적으로 하며, 시간과 공간, 등장인물 수에 제약이 있습니다.
시나리오 : 영화, 드라마 상영을 목적으로 하며, 장면(S#)을 기본 단위로 합니다. 시간과 공간, 등장인물 수에 제약이 거의 없으며 촬영을 고려한 특수 용어가 사용됩니다.
이상 희곡, 시나리오의 개념과 특징 그리고 희곡과 시나리오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국어 개념]운율 형성 방법 요소. 반복을 통한 운율 형성. 수미 상관 구조 역할
[국어 개념]운율 형성 방법 요소. 반복을 통한 운율 형성. 수미 상관 구조 역할
오늘은 운율의 뜻과 운율 형성 방법, 요소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운율은 운문이 가진 대표적인 특성입니다. 운율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1. 음운, 음절, 시어, 시구, 시행 연의 반복 2.
nocturne13.tistory.com
[국어 개념] 현대 소설의 흐름과 특징. 사실주의 소설 모더니즘 소설 역사 소설 가족사 소설 농촌 소설
[국어 개념] 현대 소설의 흐름과 특징. 사실주의 소설 모더니즘 소설 역사 소설 가족사 소설 농촌
오늘은 현대 소설의 흐름과 특징(사실주의 소설, 모더니즘 소설, 역사 소설, 가족사 소설, 농촌 소설)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현대 소설은 19세기 근대 이후 씌어진 소설이며, 우리나라에서는 근
nocturne13.tistory.com
'읽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휘.속담] 혀와 관련된 어휘 관용구. 속담 혀의 특성과 역할 (13) | 2023.06.28 |
---|---|
[현대소설 이해] 현진건 운수 좋은 날 정리 분석. 반어적 표현. 설렁탕의 의미 (13) | 2023.06.26 |
[현대소설 이해] 이인직 혈의 누. 정리 분석. 우리나라 최초의 신소설 특징 (6) | 2023.06.24 |
[국어 개념] 수필의 개념 특징 정리. 중수필 경수필 종류. 설(說)의 특성 (7) | 2023.06.20 |
[국어 개념] 문학 속 반의 관계. 반의어 어휘 모음 정리 (11) | 2023.06.16 |
[국어 개념] 소설 인물 유형. 평면적 입체적 인물. 전형적 개성적 인물. 주동 반동 인물 (9) | 2023.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