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읽다

[사자성어.어휘] 배신자 암컷 사마귀. 배신과 관련된 한자 어휘 사자성어

반응형

오늘은 암컷 사마귀의 배신자 특성과 배신(배반)과 관련된 한자 어휘, 사자성어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기괴한 신체 구조로 포악하게 먹잇감을 사냥하는 사마귀와, 마치 난초꽃을 닮아 이름마저 '난초 사마귀'인 사마귀가 있는데요. 이러한 사마귀의 특성들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무서운 배신자 사마귀

마치 낫처럼 생긴 앞다리와 역삼각형의 얼굴, 어린 시절 처음 본 사마귀의 인상은 너무나 기이했습니다. 무서웠다는 생각이 채 들기도 전에 세모난 얼굴을 보고 겁에 질렸는데요. 사마귀의 이런 괴기한 모습처럼 괴기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 곤충이었습니다.

 

 

사마귀는 분류학상 곤충강망시목 사마귀아목에 속합니다. 2000여 종이 있으며 국내에서는 7종이 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마귀가 초록색이지만 갈색의 사마귀도 있으며 크기는 6-8.5cm가량 됩니다. 사마귀 종류 중 왕사마귀는 일반적인 사마귀들보다 덩치가 크며, 등도 더 굵고 넓으며 버마재비(범의 아재비) 또는 당랑으로 불립니다. 먹잇감을 산 채로 잡아 신경을 마비시킨 후 먹는데요. 사람이 다가가도 무서움도 타지 않아, 장수말벌, 물장군과 함께 곤충계의 3대 천왕에 꼽힙니다.

 

 

 

왕사마귀는 먹잇감을 산 채로 잡아 신경을 마비시킨 후 먹습니다.

 

 

사마귀 암컷과 수컷 구분은 어떻게?

사마귀는 수컷보다 암컷이 덩치가 크며, 암컷이 배가 옆부분으로 더 넓고 뚱뚱합니다. 배마디는 여섯 마디이며, 수컷은 이에 비해 배마디가 여덟 마디로 상대적으로 암컷보다 더 홀쭉합니다. 사마귀의 짝짓기 행태는 매우 기이한데요. 짝짓기를 하는 도중 수컷이 암컷에게 잡아먹힐 확률이 25% 정도입니다. 이는 암컷이 알을 낳을 때 필요한 영양분을 보충하기 위함입니다. 그래서 살아남은 나머지 75%의 수컷은 짝짓기 후 잡아 먹히기 전에 재빨리 도망을 갑니다. 이러한 이유로 사마귀를 두고 '가장 섬뜩한 사랑을 나누는 곤충'으로 부릅니다.

 

좌.암컷 사마귀, 우. 수컷 사마귀, 출처-한국일보

 

 

사마귀의 특성

사마귀는 역삼각형의 머리 모양을 가지고 있는데요. 이 머리를 180도 가까이 돌릴 수 있습니다. 이런 뛰어난 능력으로 등 뒤에 있는 먹이까지 볼 수 있으며, 먹잇감의 움직임 역시 쉽게 알아챌 수 있습니다. 또한 2개의 구형 겹눈, 3개의 작고 단순한 눈, 한 쌍의 더듬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입체적인 눈을 통해 여느 곤충보다 쉽게 사냥을 할 수 있는데요. 게다가 움직이는 먹이와 그 배경을 따로 볼 수 있는 능력까지 있으니 폭군에 맞먹는 타고난 신체 조건을 모두 장착한 셈입니다.

 

 

 

폭군의 사냥법

사마귀는 숨어서 기다렸다가 먹잇감이 나타나면 낚아채는데요. 그래서 보통 사냥 전 잎 위에 무릎을 꿇고 기도하는 자세로 앉아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이런 '잠복형 사냥법'을 택한 이유는 의외로 행동이 굼뜨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런 굼뜬 행동도 큰 턱과 앞다리가 상쇄하는데요. 사마귀는 큰 턱(포유동물의 이빨)이 발달돼 있어 잘 씹어먹을 수 있습니다. 신체중 가장 강력한 무기는 앞다리인데요. 앞다리에 돋은 마치 톱날이나 낫처럼 생긴 날카로운 가시로 희생물이 된 먹잇감의 숨통을 끊은 다음 통 채로 먹습니다. 이런 폭군 사마귀의 주된 먹잇감으로는 메뚜기와 귀뚜라미 청개구리 뿐만 아니라 도마뱀과 같은 척추동물도 폭군의 먹잇감이 됩니다. 

 

 

그렇다면 이런 폭군과도 같은 사마귀의 천적은 어떻게 될까요?

사마귀는 알에서 깨어나 일주일 쯤 지나면 작은 곤충을 사냥하기 시작하는데요. 왕사귀의 경우 성충이 될 때까지 7번의 탈피 과정을 겪습니다. 이 과정을 거치면서 성충이 되고 짝짓기와 산란이 가능해집니다. 짝짓기 후 20여 일이 지나 250여 개의 알을 낳는데요. 이중 절반 이상은 여치 등 다른 곤충에게 잡아먹히고, 성충이 되는 것은 몇 마리 되지 않습니다. 한편 사마귀는 물에 뛰어 들어 자살을 하기도 하는데요. 이는 천적인 '연가시' 때문입니다. 연가시 선충은 다 자랄 때까지 사마귀 몸에서 기생을 하는데요. 자기 알을 물에 낳으려고 사마귀의 신경을 자극해 물로 뛰어들게(자살하게) 하는 것입니다.

 

 

저는 무서울까봐 차마 못 봤는데요. 영화 '연가시'가 이러한 사마귀와 연가시 선충의 천적 관계를 모티브로 해서 촬영했다고 합니다.

 

 

 

난초꽃을 닮은 난초 사마귀

폭군과 같은 왕사마귀도 있지만, 생김새가 마치 난초꽃을 닮은 '난초 사마귀'도 있습니다. 이 난초 사마귀는 자신의 외모를 이용해서 꽃 사이에 앉아 있다가 나비 등 곤충들이 다가와 꿀을 먹을 때 잡아먹습니다.

 

난초꽃을 닮은 난초 사마귀

 

위장의 달인, 난초 사마귀, 출처-한국일보

 

 

왕사마귀가 폭군의 달인이라면 난초 사마귀는 '위장의 달인'인데요. 이러한 위장이 가능한 기술로 먹이를 쉽게 잡아먹고 천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 합니다. 게다가 호주 연구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꽃을 찾아 날아온 곤충들이 오히려 꽃보다 난초 사마귀에 더 큰 매력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결론적으로 보자면 꽃을 찾아 날아온 곤충들이 다른 곳에 홀려 이 난초 사마귀의 먹잇감이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난초 사마귀는 주로 동남아시아에 분포합니다.

 

 

배신과 관련된 한자 어휘  사자성어

背( 등 배, 배신할 배)

 

背의 '北 (북녘 북)'은 북쪽을 의미하며, 두 사람이 등을 지고 있는 모양을 본뜬 상형자입니다. 의미 대로 두 사람이 등을 지고 있으니 '등지다, 배신하다'의 중심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또한 북쪽을 의미할 때는 하루 중 해가 가장 강할 때 즉, 해가 사람의 등을 비출 때 그 사람이 바라보는 방향이 '북쪽'이라는 뜻입니다. 背의 北은 북쪽의 의미가 아닌 '등지다'의 의미로 결합된 것입니다.

 

 

背의 '月(고기 육)'은 고기를 나타내는 부수 글자로 본래 모양은 '肉'이나 다른 글자와 결합할 때는 그 모양이 '月'로 변형됩니다. 또한 '고기'라는 뜻 외에 사람을 가리킬 때는 '신체, 몸'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背의 月은 '신체, 몸'의 의미로 결합된 것입니다.

이에 두 사람이 등을 지고(北) 있을 때 그 맞닿은 쪽의 신체 부위(月)가 '등'이라는 뜻이며, 즉, 사람이 서로 등을 지고 '배반하다'는 뜻입니다.

 

▶ 배경(背景) 배낭(背囊) 배신(背信) 배임(背任) 배반(背叛) 위배(違背) 등에 사용됩니다.

 

 

배신과 관련된 사자성어

1. 배은망덕(背恩忘德背) : 남에게 입은 은덕을 저버지고 배신하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2. 양봉음위(陽奉陰違) : 겉으로는 복종하는 체하면서 마음으로는 배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면종복배와 같은 의미입니다.

 

3. 배고향신(背故向新) : 옛 것을 등지고 새 것을 향한다는 뜻이며, 옛 친구를 배반하고 새로운 사람과 사귄다는 의미입니다.

 

4. 신부작족(信斧斫足) :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힌다는 뜻이며, 믿었던 사람에게 배신 당함을 의미합니다.

 

5. 면종복배(面從腹背) : 앞에서는 복종하는 체하면서 마음속으로 배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6. 구밀복검(口蜜腹劍) : 입에는 꿀이 있고 뱃속에는 칼을 품고 있다는 뜻이며, 겉으로는 친한 체하나 속으로는 미워하거나 해칠 생각이 있음을 의미합니다.

 

7. 망은배의(忘恩背義) : 은혜를 잊어버리고 의리를 배반함을 의미합니다.

 

 

이상 암컷 사마귀의 배신자 특성과 배신(배반)과 관련된 한자 어휘, 사자성어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출처 및 참고 - 한국일보)

 

 

 

[사자성어.어휘] 카멜레온 기분 따라 변해요. 변하다와 관련된 어휘 사자성어

 

[사자성어.어휘] 카멜레온 기분 따라 변해요. 변하다와 관련된 어휘 사자성어

오늘은 기분에 따라 색이 변하는 카멜레온의 특성과 '변하다(變) 변화'와 관련된 어휘와 사자성어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몸의 색이 변하는 특성 말고도 신비로운 장점을 가지고 있는

nocturne13.tistory.com

 

 

[사자성어.어휘] 눈과 관련된 한자 어휘 사자성어. 눈의 특성

 

[사자성어.어휘] 눈과 관련된 한자 어휘 사자성어. 눈의 특성

오늘은 눈의 특성과 눈과 관련된 한자 어휘, 사자성어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눈이 내리는 양에 따라 다음 해 농사의 풍년을 점 칠 정도로 눈은 겨울을 상징하는 자연물을 넘어선 존재인데요

nocturne1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