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읽다

[사자성어] 속담과 관련된 사자성어. 삼국지 불교와 관련된 사자성어 한자성어

반응형

오늘은 속담과 관련된 사자성어, 삼국지와 관련된 사자성어 그리고 불교와 관련된 사자성어인 계란유골, 오비삼척, 신상필벌, 노익장, 배수지진 아수라장, 아비규환 등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속담과 관련된 사자성어  한자성어

1) 견문발검(見蚊拔劍)

속담 : 모기 보고 칼 빼기.

작은 일에 지나치게 큰 대책을 세우는 것을 의미합니다.

 

 

2) 계란유골(鷄卵有骨)

속담 : 계란에도 뼈가 있다.

재수가 없으면 되는 일이 하나도 없음을 의미합니다.

 

 

3) 고장난명(孤掌難鳴)

속담 : 외손뼉이 소리 날까.

혼자서는 일을 이루기 힘듦을 의미합니다.

 

 

4) 명약관화(明若觀火) 

속담 : 불을 보듯 뻔하다.

더 말할 것도 없이 명백한 것을 의미합니다.

 

 

5) 묘두현령(猫頭縣鈴)

속담 :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

가능하지 않은 일을 옥신각신 의논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6) 문일지십(聞一知十) 

속담 : 하나를 듣고 열을 안다.

매우 총명한 것을 의미합니다.

 

 

7) 사상누각(沙上樓閣)

속담 : 모래 위에 선 누각.

기초가 약해 오래가지 못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8) 십벌지목(十伐之木)

속담 :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 없다.

노력하면 뭐든 다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9) 아전인수(我田引水)

속담 : 제 논에 물대기.

자기에게 이롭도록 억지로 갖다 붙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10) 오비삼척(吾鼻三尺)

속담 : 내 코가 석 자. 

내 일도 힘들어 타인을 돌볼 여유가 없음을 의미합니다.

 

 

11) 유명무실(有名無實)

속담 :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다. 

명성은 높은데 실속은 없음을 의미합니다.

 

 

12) 일어탁수(一魚濁水)

속담 : 미꾸라지 한 마리가 온 물을 흐린다.

한 사람의 잘못으로 여럿이 피해를 입음을 의미합니다.

 

 

13) 입추지지(立秋之地)

속담 : 송곳 세울 틈도 없다.

몹시 좁아서 작은 여우조차 없음을 의미합니다.

 

 

14) 적반하장(賊反荷杖)

속담 : 도둑이 매를 든다.

잘못한 자가 도리어 큰소리를 치는 것을 의미합니다.

 

 

15) 조족지혈(鳥足之血)

속담 : 새 발의 피.

비교조차 할 수 없을 정도로 매우 적은 분량을 의미합니다.

 

 

16) 청천벽력(靑天霹靂)

속담 : 마른하늘에 날벼락.

생각지 못했던 큰 재앙을 의미합니다.

 

 

17) 팽두이숙(烹頭耳熟)

속담 : 머리를 삶으면 귀까지 익는다.

큰 것이 해결되면 나머지는 절로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18) 한강투석(漢江投石) 

속담 : 한강에 돌 던지기

아무리 해도 티가 안 나고 보람이 없는 것을 의미합니다.

 

 

 

 

 

 

삼국지와 관련된 사자성어 한자성어

1) 괄목상대(刮目相對) : 오나라 노숙이 여몽에게 한 말로, 눈을 비비고 볼 정도로 실력이 늘었음을 의미합니다.

 

 

2) 난공불락(難攻不落) : 학소가 성을 잘 지키자 제갈량이 감탄하며 한 말로, 무너뜨리기가 힘듦을 의미합니다.

 

 

3) 백리지재(百里之才) : 노숙이 방통을 유비에게 추천하며 한 말로, 사방 백 리를 다스릴 만한 재주. 사람의 능력이 크기는 하나 매우 크지는 않음을 의미합니다.

 

 

4) 신상필벌(信賞必罰) : 제갈량이 중시한 상벌의 공정함을 뜻하는 원칙입니다.

 

 

5) 읍참마속(泣斬馬謖) : 군율을 세우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마속을 베며 제갈량이 눈물을 흘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6) 계륵(鷄肋) : 조조가 한중이라는 땅을 두고 인용한 말로, 먹을 건 없는데 버리긴 아까운 것을 의미합니다.

 

 

7) 낭중취물(囊中取物) : 관우가 장비를 두고 한 말로, 적장 목베기를 주머니 속 물건 꺼내듯 쉽게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8) 노익장(老益壯) : 칠순을 넘겨서도 젊은이 못지않게 공을 세운 조운, 황충 등을 두고 인용한 말입니다.

 

 

9) 논공행상(論功行賞) : 황건적 토벌에 공헌한 자를 추리며 인용한 말로, 공을 따져 상을 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10) 득롱망촉(得隴望蜀) : 조조가 한중을 얻은 후, 촉도 치자는 사마의의 제안을 거절하며 인용한 말입니다.

 

 

11) 배수지진(背水之陣) : 조조 등 많은 장수가 사용한 방법으로, 비장한 각오로 물을 등지고 진을 치는 것을 의미합니다.

 

 

12) 백면서생(白面書生) : 이론만 밝고 경험은 없다며 장소가 육손에게 붙일 말로, 얼굴이 흰 서생이라는 의미입니다.

 

 

13) 비육지탄(髀肉之嘆) : 유비가 유포에게 의탁해 허송세월하고 있는 자기 처지를 한탄하며 한 말입니다.

 

 

14) 수어지교(水魚之交) : 유비가 아우들에게 자신과 제갈량의 사이는 물과 물고기의 관계라고 비유한 말입니다.

 

 

15) 식자우환(識字憂患) : 조조에게 속은 서서를 두고 그 모친이 한탄하며 한 말로, 아는 것이 병이라는 의미입니다.

 

 

16) 칠종칠금(七縱七擒) : 제갈량이 맹획을 일곱 번 잡고 일곱 번 풀어 준 끝에 진정한 항복을 받은 것을 의미합니다.

 

 

 

 

불교와 관련된 사자성어 한자성어

1) 군맹무상(群盲撫象) : 중생들이 부처를 이해하려고 하는 것은 장님이 코끼리를 만지는 것과 같음을 의미합니다.

 

 

2) 백팔번뇌(百八煩惱) : 불교에서 말하는 사람을 괴롭히는 108가지 헛된 망상을 의미합니다.

 

 

3) 불가사의(不可思議) : 이해하거나 생각하기 힘든 오묘한 이치. 기묘한 일을 의미합니다.

 

 

4) 색즉시공(色卽是空) : 이 세상 모든 것이 잠시 형체만 있을 뿐 실체는 없음을 의미합니다.

 

 

5) 거자필반(去者必返) : 떠난 자는 되돌아 오는 것을 의미 합니다.

 

 

6) 회자정리(會者定離) : 만남이 있으면 헤어짐도 정해진다는 의미입니다.

 

 

7) 아수라장(阿修羅場) : 아수라가 하늘과 싸운 장소. 전쟁 따위로 인해 생겨난 극심한 혼돈 상태를 의미합니다.

 

 

8) 아비규환(阿鼻叫喚) : 아비지옥과 규환지옥. 고통 속에서 헤어나려 울부짖고 괴로워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9) 야단법석(野檀法席) : 부처의 설법을 듣기 위해 만든 야외의 강단. 떠들썩하고 시끄러운 모습을 의미합니다.

 

 

10) 이판사판(理判事判) : 조선 시대, 중의 두 부류인 이판승과 사판승. 막다른 처지나 끝장을 의미합니다.

 

 

11) 무진장(無盡藏) : 닦고 닦아도 끝이 없는 불도. 무한히 많다는 의미입니다.

 

 

12) (劫) : 어떤 시간의 단위로도 나타낼 수 없는 무한한 시간을 의미합니다.

 

 

13) 찰나(刹那) : 불가에서 생각하는 시간의 최소 단위. 대략 75분의 1초를 의미합니다.

 

 

14) 혜안(慧眼) : 불가에서 생각하는 다섯 가지 눈 중의 하나. 사물의 본질을 꿰뚫는 지혜의 눈을 의미합니다.

 

 

 

 

이상 속담과 관련된 사자성어, 삼국지와 관련된 사자성어 그리고 불교와 관련된 사자성어인 계란유골, 오비삼척, 신상필벌, 노익장, 배수지진 아수라장, 아비규환 등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출처 및 참고 - 국어 1등급 어휘력, 김선아, 마더텅)

 

 

 

 

[어휘.사자성어] 수면 잠과 관련된 한자 어휘 사자성어 오침 오수 가장 오래 자는 동물

 

[어휘.사자성어] 수면 잠과 관련된 한자 어휘 사자성어 오침 오수 가장 오래 자는 동물

오늘은 수면 잠과 관련된 한자 어휘와 사자성어를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우리는 항상 일정하게 잠을 청하지만 왜 잠을 자는지에 대한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는데요. 어휘를 설명하기에 앞

nocturne13.tistory.com

 

 

 

[사자성어.어원] 새로운 시작과 관련된 사자성어. 프리지아 꽃말 어원

 

[사자성어.어원] 새로운 시작과 관련된 사자성어. 프리지아 꽃말 어원

오늘은 새로운 시작과 관련된 사자성어와 프리지아의 꽃말과 어원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사계절 쉽게 접할 수 있는 프리지아는 화사한 노란빛만큼 향기도 달콤하지요. 프리지아의 특성 바

nocturne13.tistory.com

반응형